Search results for "곽상규"

UNIST 곽상규·최은미 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신입 일반회원 선정

UNIST 곽상규·최은미 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신입 일반회원 선정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상규 교수와 전기전자공학과 최은미 교수가 공학 분야 최고 권위 단체인 한국공학한림원 신입 일반회원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신입 회원은 연구업적이 뛰어난 경력 15년 이상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4단계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발한다....

저밴드갭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최고효율 달성했다!

저밴드갭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최고효율 달성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능을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성연 교수팀은 고려대학교 곽상규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주석–납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양자점층을 접합해 태양전지...

안정성 높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안정성 높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높은 효율로 장시간 구동 가능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와 그린 수소 생산 기술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성연·류정기·장지욱 교수팀은 고...

약물 내성 극복 가능한 항암치료 기술 개발했다!

약물 내성 극복 가능한 항암치료 기술 개발했다!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항암치료 기술이 개발됐다. 향후 화학적 항암 치료제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암세포 리소좀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이 극복 가능한 항암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이중 고체전해질계면(SEI) 층의 정확한 구조 밝혀냈다!

이중 고체전해질계면(SEI) 층의 정확한 구조 밝혀냈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 고려대(총장 김동원) 화공생명공학과 곽상규 교수와 미국 라이스대학교(Rice University) 하오티안 왕(Haotian Wang) 교수팀은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Cryogenic electron mic...

빛으로 이온 거동 제어하는 맥신 이온채널 개발!

빛으로 이온 거동 제어하는 맥신 이온채널 개발!

이온은 생명체 내에서 신호전달과 기능조절에 필수적이다. 최근 생물학적 이온 채널을 모사하여 다양한 외부 자극(전기, pH, 빛, 압력 등)에 반응하는 다양한 인공 이온채널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고현협 교수팀은 고려대 곽...

종양의 산성도(pH)를 암세포 표적 치료 열쇠로 사용!

종양의 산성도(pH)를 암세포 표적 치료 열쇠로 사용!

암세포로 이뤄진 종양은 약산성(pH 5.6~6.8)을 띤다. 이 특성을 이용해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항암 치료물질이 개발됐다. 이 물질은 종양 환경에서 끊어져 암세포로 침투한 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일으켜 암세포만 골라 죽인다. 유자형 화학과 교수팀은 종양...

암세포가 만든 에너지 분자로 암세포 죽인다!

암세포가 만든 에너지 분자로 암세포 죽인다!

암세포에 침투해 암세포 에너지원(ATP)을 제거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항암 치료 기술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암세포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암세포 APT와 결합해 거대 분자덩어리는 만들어내는...

홍합의 수중 접착력 모방해 해수전지 성능 높인다!

홍합의 수중 접착력 모방해 해수전지 성능 높인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홍합의 뛰어난 수중 접착력을 모방한 해수전지용 바인더 물질을 개발해 전지 전극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곽상규 교수 연구팀과 함께했다. 해수전지의 양극은 탄소 섬...

전기차 주행거리 늘리는 “고용량 장수명”배터리 음극소재 개발!

전기차 주행거리 늘리는 “고용량 장수명”배터리 음극소재 개발!

전기차 주행거리를 대폭 늘릴 수 있게 됐다. 고용량 음극 소재 상용화의 걸림돌인 내구성 문제가 해결됐기 때문이다. 한 번 충전해 달리는 최대 거리는 탑재된 배터리 용량에 비례하는데, 이 음극 소재는 상용 흑연소재 대비 최대 3배 이상 용량이 크다. 또 수백 회의 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