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박태주"

[Short News] 언론이 주목한 교수들… 백정민, 이상영, 박태주, 박종화

[Short News] 언론이 주목한 교수들… 백정민, 이상영, 박태주, 박종화

《편집자 주: UNIST에서 진행 중인 독특한 연구에 주목한 언론 기사들을 소개합니다. 번개 치는 원리에 착안한 ‘마찰전기 발전기’부터 개구리에서 찾아낸 ‘관절염 치료 유전자’, 폭발 않고 오래 쓰는 ‘종이 배터리’, 울산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게놈코리아 프로젝트’까...

세포의 안테나, ‘섬모’ 옳게 만드는 유전자 찾다

세포의 안테나, ‘섬모’ 옳게 만드는 유전자 찾다

‘세포의 안테나’ 역할을 하는 섬모(Cilia)를 만드는 유전자와 그 작동원리가 밝혀졌다. 선천성 유전병인 섬모질환(Ciliopathy)을 완화하거나 치료할 가능성이 열렸다. 박태주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다양한 섬모의 형성과 기능에 필요한 새로운 유전자와 그 기전을 규명...

UNIST·아주대 의대 연구팀, 연골 퇴행성 손상 원인 규명

UNIST·아주대 의대 연구팀, 연골 퇴행성 손상 원인 규명

연골은 한 번 손상되면 재생이 어렵다. 노화가 그 대표적 원인으로 꼽혔는데, 최근 세포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쌓여 연골 손상을 악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UNIST(총장 이용훈) 생명과학과 박태주 교수팀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양시영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Short News] 1월의 UNIST, 수상과 선정으로 반짝!

[Short News] 1월의 UNIST, 수상과 선정으로 반짝!

《편집자 주: 2021년 1월도 어느새 그 끝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새해가 빠르게 흘러갔지만 UNIST에는 좋은 소식들이 계속 이어졌는데요. UNIST Newscenter에서 이달의 끝을 밝히는 기쁜 소식을 정리했습니다.》 ■ 김동섭 정보바이오융합대학장, 중소벤처기업부...

‘관절염’ 고치는 법, ‘개구리’ 연구로 찾았다

‘관절염’ 고치는 법, ‘개구리’ 연구로 찾았다

관절염을 치료할 유전자를 개구리 연구로 찾아냈다. 연골(軟骨)은 한 번 손상되면 쉽게 회복되지 않는데, 이 유전자를 조절하면 연골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향후 관절염 세포치료제나 바이오 신약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박태주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

UNIST 대학원생 11명, ‘휴먼테크 논문대상’서 입상

UNIST 대학원생 11명, ‘휴먼테크 논문대상’서 입상

UNIST(총장 정무영) 대학원생 11명이 삼성전자에서 주최하는 ‘제23회 휴먼테크 논문대상’에 입상했다.   이번 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는 이동규(지도교수 송현곤), 남우승(지도교수 이경한), 이환희(지도교수 권혁무)씨가 은상을 수상했고, 김주희(지도교수 박장...

“개구리 유전자로 난치병 잡아야죠!”

“개구리 유전자로 난치병 잡아야죠!”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뛰어오르는 개구리(jumping frog)와 ‘Jumping geneomes’이라는 문구가 장식했다. 오랫동안 실험동물로 이용됐던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laevis)의 유전체가 해독된 결과가 실렸기 때문이다. 2009년부터 7개국...

권태준 교수, 실험동물 ‘아프리카발톱개구리’ 유전체 해독!

권태준 교수, 실험동물 ‘아프리카발톱개구리’ 유전체 해독!

100여 년간 실험동물로 각광 받아온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laevis)’의 유전체(genome)가 해독됐다. 인간 유전자의 기능을 찾아내거나, 암 등의 인간 질병을 연구하는 새로운 모델로 개구리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날 전망이다. 권태준 생명과학부 교수가...

내 얼굴은 어디서 왔는가?… ‘개구리’에  답 있다

내 얼굴은 어디서 왔는가?… ‘개구리’에 답 있다

눈이 크고 턱은 갸름한데 콧대는 제대로 살지 못했다. 하늘을 향해 뚫린 콧구멍이 큰 눈과 어우러져 귀여운 인상을 남긴다. 첫눈에 반하기는 어려운 모습이지만 진가를 알면 좋아할 수밖에 없다. UNIST 첨단생체소재연구동 223호에 살고 있는 주인공은 바로 ‘아프리카발톱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