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19.08. 27 (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처를 더 빨리 치료할 새로운 방법 찾았다!

UNIST 박성호 교수팀, 대식세포 활성 조절하는 TNF-SREPB2 경로 규명
특정 단백질 억제로 상처 치료하는 방향 제시… 이뮤니티(IMMUNITY) 발표

류머티즘 같은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만성 염증 환자들의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는다. 그런데 최근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면 상처를 빠르게 치유하는 새로운 경로가 발견돼 만성 염증 환자의 상처 치료에 새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정무영) 생명과학부의 박성호 교수는 미국 HSS(Hospital for Special Surgery, 정형외과 전문병원) 연구진과 공동으로 ‘SREBP2’라는 단백질이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대식세포의 역할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혔다. SREBP2는 본래 세포의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었다.

염증 반응은 상처가 아물기 위한 자연스러운 회복 과정 일부이다. 염증세포가 나서서 유해균을 잡고 손상 부위를 재생하는 활동을 진행하면서 상처가 치료되는 것이다. 이때 활약하는 대표적인 면역세포가 대식세포다. 이 세포는 상처재생 초기에 염증반응을 일으켜 들어온 유해균을 죽이는 역할을, 후기에는 상처 부위의 재생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류머티즘 같은 만성 염증을 앓는 환자들의 경우는 대식세포에 의한 재생(염증 후기)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다. 기존 환자 몸에 있는 염증이 치료 경로를 교란하기 때문이다.

상처 치유과정에서 염증세포를 상처 부위로 불러들이는 ‘염증매개인자’가 쓰인다. 대식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염증세포를 불러들이는 TNF (종양괴사인자)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TNF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 반응은 주로 염증 초기(유해균 처리)를 중심으로 연구돼, 상처 치료에 중요한 염증 후기(재생) 메커니즘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염증 후기 반응으로 갈수록, TNF에 의해 SREBP2 단백질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단백질은 염증성 표적 유전자에 결합하면서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 반응을 지속해 상처 회복을 더디게 만든다는 내용도 규명했다.

%ec%97%b0%ea%b5%ac%ec%82%ac%ec%a7%84%ea%b5%ad%eb%b6%80%ec%a0%81-srebp%ec%9d%98-%ec%96%b5%ec%a0%9c%ea%b0%80-%eb%a7%8c%ec%84%b1-%ec%97%bc%ec%a6%9d-%ec%a7%88%ed%99%98%ec%9d%84-%ea%b0%96%eb%8a%94

연구진은 이를 역으로 이용해 SREBP2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면 대식세포의 재생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실제로 SREBP2 단백질 생성을 국소적으로 억제한 쥐와 대조군 쥐의 피부에 상처를 내고 재생속도를 비교한 결과, SREBP2 단백질 생성을 억제한 쥐의 상처 회복이 빨랐다.

박성호 교수는 “이번 연구로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한다고 알려진 SREBP2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알아내고, 상처 치료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향후 자가면역질환자들의 상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 물질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면역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인 이뮤니티(Immunity)에 8월 20일자로 출판됐다. 연구수행은 미국국립보건원(NIH)과 미국 피부경화증재단(SFI)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논문명: The Cytokine TNF promotes transcription factor SREBP activity and binding to inflammatory genes to activate macrophages and limit tissue repair.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장준용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1228

생명과학부: 박성호 교수 (052) 217-5203

  • [연구그림] 대식세포의 활성 상태 조절을 위한 후기 염증 반응과 SREBP2의 역할
  • [연구사진]국부적 SREBP의 억제가 만성 염증 질환을 갖는 쥐의 상처 치유를 가속화함.
  • [연구진사진] 박성호 교수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염증성 사이토카인1)(cytokine,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을 통틀어 일컫는 말)에 의한 대식세포2)의 활성 변화는 다양한 질환에서 염증 반응 조절의 핵심요소다. 그동안 주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3)에 의한 초기 염증 반응은 비교적 잘 알려져 왔다. 그러나 대식세포의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고, 많은 염증성 질환과 연관된 후기 반응을 연구한 내용은 부족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 사토카인의 한 종류인 TNF에 대한 후기 대식세포 반응을 조절하여 염증성 질환을 완화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작의 발견했다.

TNF에 의해 유도되는 후기 염증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반의 RNAseq, 단일세포 RNAseq, ATACseq, ChIPseq을 이용하여 대식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인간 대식세포에서 나타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는 초기 염증 반응과는 달리, 후기 반응에서 전사인자4)SREBP25)단백질과 콜레스테롤 관련 유전자를 증가시킨다. SREBP2 단백질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염증성 표적 유전자에 결합하고 이를 활성화한다. 대식세포의 M1 분극을 촉진하여 염증반응 지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대식세포에서 TNF-SREBP 경로를 억제하면 M2 대식세포 분극을 유도할수 있고, 상처 치유를 촉진한다. 실제로 만성염증을 가지고 있는 실험용 쥐에 상처를 내고 SREBP2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 했을 때 활성을 억제한 쥐의 상처 회복속도가 대조군보다 빠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NF-SREBP 경로는 염증과 관련된 손상된 조직 복구를 위한 새로운 표적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3. 기대효과

자가 면역 질환과 같이 만성 염증성 질환을 갖는 환자의 상처는 정상인의 상처에 비해 더디게 치유된다. 본 연구는 대식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TNF-SREBP 경로의 새로운 기능을 밝혔으며, 이로 인해 만성 피부 상처의 회복을 지금보다 더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용어설명

1. 사이토카인 (Cytokine)

세포에 의해 분비되어 세포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작은 크기의 단백질을 의미한다. 사이토카인은 호르몬과 같이 세포내의 신호를 다음 단계로 전달하고 세포 기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특히, 다양한 면역세포 조절에 필수적이며, 사이토카인의 생산과 반응의 이상은 다양한 면역질환으로 이어진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면역체계에서 염증을 발생시키는 사이토카인을 말한다. 반대로 재생을 촉진하는 항염증 사이토카인이 있다.

 

2. 대식세포 (Macrophage)

대식세포는 염증, 면역 반응 및 조직 복구에 관여하는 선천적 면역세포이다. 대식세포는 주변 환경의 자극에 반응하여, 상반된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를 대식세포의 분극이라 한다. M1 분극화는 염증을 유발하고, M2 분극화는 염증을 억제하며 조직재생을 촉진하는 상이한 역할을 한다. 미생물, TNF, IFNgamma는 대식세포를 숙주 방어에는 중요하지만 조직 파괴 특성을 갖은 염증성(M1) 상태로 분극시킨다. 반면, IL-4, IL-13, IL-10 및 글루코 코르티코이드는 대식세포를 조직 복구를 촉진할 수 있는 치유성 (M2) 상태로 분극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피부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TNF (Tumor Necrosis Factor, 종양괴사인자)

TNF(종양괴사인자)는 전신 염증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세포 신호 전달 단백질)이며, 모든 염증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한 종류이다. T세포, NK세포, 호중구, 비만세포, 호산구 및 뉴런과 같은 많은 세포 유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지만,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대부분을 생산한다. 주요 역할은 다양한 면역세포의 조절이며, 그 생산과 조절의 이상은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암, 건선, 알츠하이머 병을 포함한 수많은 인간 질병에 연루되어 있다.

  

4.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란 활성화되었을 때 어떤 진핵세포 유전자 근처의 반응요소(response element)라는 DNA의 특정부위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단백질을 말한다.

 

5. SREBP2(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factor)

SREBF2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전사인자로서, 콜레스테롤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일으켜서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제어한다. 이 유전자는 다양한 단일 뉴클레오타이드 다형성(SNP)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몇몇 질환의 위험도를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붙임] 그림설명

 

그림 1. 대식세포의 활성 상태 조절을 위한 후기 염증 반응과 SREBP2의 역할. 우리몸이 건강할 때, 즉 항상성 조건(Homeostasis)에서 SREBP2는 주로 콜레스테롤 및 스테롤 대사산물을 조절함(왼쪽). 염증상태(inflammation) 후기 에서는 염증 사이토카인인 TNF가 SREBP2를 유도하며, 이 때 SREBP2는 콜레스테롤 경로 외에 염증 반응과 인터페론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함.(오른쪽)

 

그림 2. 국부적 SREBP의 억제가 만성 염증 질환을 갖는 쥐의 상처 치유를 가속화함. TNF 과다발현 쥐에서 SREBP 억제한 경우(Bet)와 대조군(CTL)에서 상처치유 속도비교(좌측그림). 과다발현 쥐에서 SREBP 억제한 경우(Bet)와 대조군(CTL)에서 H&E 염색 사진이미지 (오른쪽) SREBP가 억제된 경우 염색(H&E) 이미지에서 염증반응이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