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0. 3. 10(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IoT 시대에 딱 맞는, 사람 지문만큼 작은 전원

이상영 UNIST 교수팀, 정밀 프린팅으로 전자 부품 일체형 ‘슈퍼커패시터’ 제작
전자기기 IC칩의 독립 구동 기대… ‘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

사람 지문의 폭만큼 작아 전자 칩(chip)에도 일체화 할 수 있는 ‘초소형 슈퍼커패시터’가 개발됐다. 이를 각 부품에 적용하면 독립적 구동이 가능해,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이끌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상영 교수팀은 전자 부품들과 일체화할 수 있는 칩 형상의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Microsupercapacitor)’를 개발했다. 제작과정을 프린팅 공정으로 단순화하고, 프린팅 정밀도를 높여 부품 손상 없이 일체형 초소형 전원 시스템을 완성했다.

[대표사진] 지문 폭만큼 작은 단위전지 이미지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는 탄소 소재의 활성탄에서 전자가 붙고 떨어지는 현상을 이용해 전기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는 장치다. 리튬을 쓰는 이차전지에 비해 출력이 크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특히 반도체 제작 공정을 통하면 초소형화도 가능해 IoT 기기나 입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등에 적합하다. 초소형 슈퍼커패시터를 전자 부품에 직접 연결해 ‘전원 일체형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반도체 제작 공정 중 발생하는 열이나 화학물질에 의해 전자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 전자 부품에 직접 슈퍼커패시터를 결합하기는 어려웠다. 잉크젯 프린팅으로 전자부품 위에 슈퍼커패시터를 결합하는 방식도 정밀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그림] 전기수력학 프린팅을 이용한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제조 모식도

이상영 교수팀은 전기수력학 프린팅(Electrohydrodynamic jet-printing)’ 기법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전극물질과 전해질을 잉크처럼 써서 부품 위에 찍어내는 것은 잉크젯 프린팅과 동일하지만, 정전기적 힘으로 잉크가 번지는 현상을 줄여 정밀도를 높였다. 일반 잉크젯 프린팅 기법은 잉크를 ‘뿜어내기’ 때문에 각 물질이 퍼지게 되는데, 정전기적 힘을 이용한 새로운 기법은 잉크를 ‘잡아당겨’ 번짐이 적다. 이 기법을 쓰면 선폭 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이하 까지 정밀하게 프린팅 가능하다.

제1저자로 논문에 참여한 이권형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전기수력학 프린팅 기법으로 1제곱센티미터(㎠)에 단위전지를 54.9개까지 제작할 수 있었고, 같은 면적에서 65.9볼트(V)의 출력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대표사진] 전기수력학 프린팅으로 동전보다 작은 칩위에 36개의 전지를 직렬연결함

연구팀은 이 기법을 이용해 동전보다 작은 칩(8x 8) 위에 전지 36개를 만들고, 직렬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이 전지들은 80의 온도에서 잘 작동해 실제 전자 부품의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도 견딜 수 있다. 또 이 전지들은 병렬이나 직렬로 자유롭게 연결 가능해 소형기기에 맞춤형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이상영 교수는 “IC칩처럼 좁은 기판 위에 전지를 고밀도로 집적함으로써, 공간 제약 없이 전지 성능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기술”이라며 “좁은 공간에 전지를 집적하는 기술은 슈퍼커패시터뿐 아니라 다른 전기화학 시스템과 장치에 확장 적용 가능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자(도약)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연구성과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발행하는 다학제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36일자로 게재됐다.

논문명: Ultrahigh areal number density solid-state on-chip microsupercapacitors via Electrohydrodynamic Jet-Printing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장준용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1228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이상영 교수 (052) 217-2948

  • [대표사진] 지문 폭만큼 작은 단위전지 이미지
  • [대표사진] 전기수력학 프린팅으로 동전보다 작은 칩위에 36개의 전지를 직렬연결함
  • [연구그림] 전극 프린팅 과정
  • [연구그림] 전기수력학 프린팅을 이용한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제조 모식도
  • [연구그림] 초소형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의 단위전지
  • [연국그림] 단위전지가 집적화된 칩형 전지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초소형 전자기기, 웨어러블 컴퓨터 등 미래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원으로써 마이크로 스케일(micro-scale) 전원이 주목을 받고 있다.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Microsupercapacitor)’는 크기가 작고, 수명이 길며, 출력이 높다는 특성을 가져 초소형전원으로써 가장 주목받고 있다. 일반 이차전지는 리튬 이온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충·방전하지만, 슈퍼캐패시터는 탄소 소재의 활성탄에 붙는 전자의 물리적 흡·탈착을 이용해 충·방전한다. 일반 이차전지와 비교하면 에너지 밀도(충전량)는 적지만, 순간적인 고출력을 낼 수 있고 수명도 길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된 대부분의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연구는 반도체 제작 공정인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거치는 복잡성으로 인해 ‘디바이스 일체형 초소형 전지’ 구현이 불가능했다. 또 기존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는 실제 초소형 전자기기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출력(전압, 전류)도 구현하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기반의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도 발표가 됐지만, 프린팅 정밀도의 한계로 여전히 초소형화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2. 연구내용

이번 연구에서는 ‘디바이스 맞춤형/일체형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구현을 위해서 ‘전기수력학 프린팅(Electrohydrodynamic jet-printing; EHD jet-printing) 기반의 칩형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동전보다 작은 크기의 칩 안에 수십 개의 초소형 슈퍼커패시터를 집적화할 수 있다.

전기수력학 프린팅은 잉크젯 프린팅보다 수~수십 배 높은 정밀도를 갖는 차세대 프린팅 기법이다. 연구팀은 전기수력학 프린팅 방식을 통한 전지 제작이 가능하도록 전지의 구성요소들을 잉크 형태로 제조하고, 각 재료의 분산성 및 물리적 특성을 전기수력학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조절했다.

활성탄 기반의 전극 잉크 제조를 위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의 정전기적 반발력에 의한 높은 분산성을 갖는 잉크를 구현했다. 또 다양한 제작/구동 환경에서 전지의 구동 및 좁은 공간에서의 집적화를 위해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기반의 프린팅 가능한 고체상 겔 전해질을 설계했다. 좁은 공간에 초소형 전지를 여러 개 프린팅한 이후, 자외선을 쪼여 전해질을 굳힌 것이다. 그 결과 강한 진동에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십 개의 전지를 집적화하고 직렬연결할 수 있었다. 전기수력학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전극은 최소선폭(Feature size)10마이크로미터()로써, 현재까지 개발된 프린팅 기반의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중 가장 미세한 값을 보인다. 이러한 소재와 구조, 공정의 특징 덕분에 미세한 패턴으로 전지를 디자인할 수 있다. 또 디바이스 구동 전압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직렬/병렬연결이 가능하다.

궁극적으로, 동전보다 작은 크기(0.8x 0.8)의 칩 위에 36개의 전지를 집적화 및 직렬연결함으로써 기존에 보고된 적 없는 가장 높은 단위면적당 전지밀도(54.9 cells/)와 단위면적당 구동전압(65.9 V/)을 달성했다. 또 정상적인 슈퍼커패시터 전지 거동을 보이며, 10000회 충·방전을 반복해도 용량이 감소하지 않았으며, 80℃ 고온에서도 전지 특성이 유지됐다.

 

3. 기대효과

이번 연구의 결과물은 전기수력학 프린팅을 이용해 초소형 칩 위에 제작한 전지다. 이는 IoT 시대에 필수적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구동에 가장 큰 걸림돌 중의 하나였던 전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다.

고온·진공 상태에서도 안정한 본 전지는 기존의 칩 제작 공정과 연계돼도 전기화학적으로 문제가 없을 것이며, 실제 칩이 처할 수 있는 구동환경인 고온, 진동 상태에서도 안정하게 에너지 저장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프린팅을 이용한 전지의 구조 및 배열 디자인 최적화를 통해 디바이스의 요구 조건에 최적화된 전지를 구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좁은 공간 내에 초소형 전지를 집적화하는 원천기술은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뿐 아니라, 다른 전기화학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확장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향후 디바이스 맞춤형 초소형전원 구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붙임] 용어설명

1.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Microsupercapacitor)

전극 표면에서 전자와 이온의 흡/탈착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슈퍼커패시터를 초소형화한 전지로써 IC카드, 소형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사용된다. 일반적 이차전지보다 수명이 길고 출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2.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반도체 제작 공정에 사용되는 미세공정기법으로 산화공정, 포토공정, 식각공정, 박막공정, 배선공정 등 여러 단계의 공정으로 이뤄진다.

3. 전기수력학 프린팅(Electrohydrodynamic jet-printing)

노즐과 기재 사이에 가해지는 전기장에 의해 잉크를 프린팅하는 차세대 초정밀 프린팅 기법으로, 기존의 잉크젯 프린팅 대비 수~수십 배 높은 정밀성을 가진다.

4.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methyl cellulose)

셀룰로오스 골격에서 하이드록시 기능기가 카르복시메틸 기능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지칭한다.

5. 집적화

기능의 직접 연결을 목적으로 좁은 공간 내에 다수의 부품을 결합해 제조하는 일.

 

[붙임] 그림설명

 

그림1. 전기수력학 프린팅을 이용한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제조 모식도. (a) 집전체가 패터닝된 실리콘 칩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전극과 전해질을 프린팅한 이후, 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고체화함으로써 초소형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제조가 가능함. (b) 이 공정을 작은 칩 내에 집적화함으로써 초소형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2. 전극 프린팅 과정. 칩형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를 구성하는 전극 잉크가 노즐을 통해 집전체 위에 정밀하게 프린팅되고 있다.

 

그림3. 초소형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의 단위전지. (a-c) 사람 지문과 비슷한 크기의 단위전지는 칩 기판 위에 깍지형 전극이 서로 교차하고 있는 형태이며, 그 위로 고체상 겔 전해질이 도포돼 있다. (d) 제조된 단위전지는 정상적인 전기화학 거동을 보이며, (e) 이를 적절히 연결해 마이크로 LED에서 요구하는 출력특성을 구현했다.

 

그림4. 단위전지가 집적화된 칩형 전지. (a) 동전보다 작은 크기의 칩 내에 36개의 단위전지를 집적화했다. 제조된 전지는 높은 단위면적당 전지 밀도(54.9 cells/㎠) 및 단위면적당 최대 구동전압(65.9 V/㎠)을 달성했다. (b) 회로 기판 내에 일체화함으로써 칩형 전원으로써 적용 가능성을 보여줬으며, (c) 다양한 전압 범위에서 구동 가능성 및 (d) 10000회 충·방전의 수명특성과 80℃에서 구동 가능한 높은 열적 안정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