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15. 04. 27. (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UNIST, 세계적 연구자․최첨단 시설 갖추고 글로벌 수준 도약

27일,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준공식 및 IBS 연구단 개소식 개최
탄소 및 나노소재 연구 강화… 울산 전략산업과 협력, 신성장 동력 창출

UNIST(총장 조무제)의 연구 역량이 한층 더 높아진다. 최첨단 연구시설이 본격 가동되고, 세계적 연구자가 이끄는 IBS(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도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이를 공식적으로 알리는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준공식 및 IBS 연구단 개소식’이 27일 오후 2시 UNIST에서 개최됐다.

UNIST가 울산광역시(시장 김기현)와 함께 건립한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은 그래핀을 포함한 저차원 탄소나노재료 분야의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연구관은 2013년 3월에 착공해 작년 5월 건물을 완공하고 지난 1년간 내부 장비 구축 작업을 거쳐 이번에 공식적으로 문을 연다.

사업비는 총 245억 원이 투입됐고 연면적 5,731.98㎡에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지어졌다. 지하 1층은 특수실험실, 지상 1층은 공용 분석 기기실 및 연구지원 공간, 지상 2층에서 4층은 화학․물리학․재료공학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시설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 연구관을 운영하는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센터에는 21명의 교수가 소속돼 UNIST 나노 소재 부분의 특화 및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울산 지역 기업들과 협력 모델을 마련하고, 국제 공동연구도 추진하면서 글로벌 거점 연구센터로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교류 기관은 독일 프라운호퍼ICT 연구소,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중국 과학원 등이다.

세계적 석학인 콘스탄틴 노보셀로프(Konstantin Novoselov, 2010년 노벨상 수상자), 김필립(하버드대 교수), 키안 핑 로(Kian Ping Loh, 싱가폴 국립대 교수) 등과도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백종범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센터장은 “그래핀 및 탄소섬유 등 탄소재료의 기초 연구뿐 아니라 응용 연구에도 집중해 고품질 그래핀의 대량 생산,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 및 고분자 복합재료 연구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며 “그래핀 관련 일부 기술은 상용화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울산의 지역 전략산업인 자동차, 전지, 정밀화학 분야에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준공식에 참석한 김기현 울산시장은 “차세대 핵심소재로 주목받는 저차원 탄소 나노소재 사업은 국가적으로 중요하다”며 “이뿐 아니라 울산의 연구 인력 유입 및 산업 수도 울산의 격을 높이는 국제적 거점 센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6일 정부에서 확정 발표한 ‘그래핀 사업화 촉진 기술 로드맵’과 연계해 오는 10월, 지역차원의 로드맵을 확정해 시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더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의 준공식과 더불어 IBS(기초과학연구원) 캠퍼스 연구단 3곳의 개소식도 진행됐다. 정부가 ‘노벨상 프로젝트’로 추진하고 있는 IBS 연구단은 최대 10년간 총 1000억 원을 지원하는 국가 대형연구사업이다. UNIST는 전체 24개 연구단 중 3곳을 보유해 KAIST(4)와 POSTECH(4) 다음으로 많은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2013년 11월 로드니 로드니 루오프(Rodney Ruoff) 교수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를 시작으로, 2014년 1월 스티브 그래닉(Steve Granick) 교수의 ‘첨단 연성 물질 연구단’, 2014년 12월 명경재 단장이 주도하는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이 UNIST에서 출범했다. 특히 루오프 교수는 저차원 탄소혁신 소재 연구센터에도 소속돼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이 세계적인 성과를 내는 데 도움 받고 있다.

김두철 IBS 원장은 “UNIST는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24명 중 3명을 유치하는 한편, 전폭적인 지원을 앞세워 캠퍼스 연구단을 빠르게 성장시켰다”며 “IBS 연구단이 위치할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은 기존의 출연연이나 대학에서 수행하기 어려웠던 중·장기 집단연구 및 융합연구가 가능한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무제 UNIST 총장은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이 본격 가동되고, 3개 IBS 연구단이 개소하는 등 글로벌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며 “UNIST는 한국의 연구역량을 높이는 것은 물론 산업수도 울산의 취약했던 R&D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시키겠다”고 말했다.

이 날 준공식과 개소식에는 김기현 울산시장을 비롯해 김두철 IBS 원장, 송재호 경동도시가스 부회장, 이치윤 (주)덕양 사장, 전상민 POSTECH 교수, 김경진 DGIST 교수, 강상수 경상대 교수, 최인순 신라대 교수, 란 니(Ran Ni) 암스테르담(Amsterdam)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자료문의

홍보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박태진 담당 (052)217-1232, 010-8852-3414

연구기획팀: 오숭록 팀장, 권도헌 담당 (052)217-1172

  •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준공식 및 IBS 연구단 개소식
  •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준공식 및 IBS 연구단 개소식 2
  •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준공식 및 IBS 연구단 개소식_조무제
  •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준공식 및 IBS 연구단 개소식_김기현
 

[붙임]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준공식 및 IBS 연구단 개소식 개최(안)

□ 행사 개요

  • 일       시: 2015년 4월 27일(월) 14:00~15:10
  • 장       소: UNIST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정문
  • 행사주관: UNIST
  • 참석인원: 총 150명(*참석자 명단 참고)※ 참석자 명단
 

[붙임] 2.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연구관 개요

□ 주요 현황

  • 설립목적: 그래핀 포함 저차원 탄소나노재료 분야 학제 간 융합 공동연구 활성화
  • 규 모: 5,700㎡(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 특수실험실 10구역, 공용분석실 1실, 일반실험실 3실
  • 특수실험실: 4D Microscope, STM, UPS/XPS, E-Beam, FIB, Squid VSM, HR-TEM, AFM-Raman/AFM, Solid NMR, 서버룸
  • 공용분석실: 공용분석기기실
  • 일반실험실: 탄소재료 소자/공정실험실, 탄소재료 응용실험실, 탄소재료 합성실험실
  • 건설기간: 2013년 3월~2014년 5월
  • 건 설 비: 총 245억 원(정부 200억 원, 울산시 35억 원, UNIST 10억 원)
  • 조직·인력: 소속 교수 21인

□ 추진 전략

  • 특성화 전략: 본 연구센터를 통해 UNIST 나노소재 부분을 특화시키고 관련 교수진들의 통합적인 융합연구 추진
  • 시너지 효과: UNIST 연구지원본부(중앙기기센터)의 인프라 이용해 연구개발 시너지 효과 
  • 산·학·관 공동 협력 모델 창출
  •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 공동연구 진행
  • 해외 유치 과학자들의 적극적 활용(로드니 루오프, 크리스토퍼 비엘라프스키)

□ 사업 내용

  1. 초경량 기능성 차량구조용 그래핀-고분자 복합소재 기술 개발
  • 그래핀 소재를 기능화하고 고도 분산시키는 친환경 공정기술을 개발
  • 자동차, 전기전자제품, 기능성 포장재 분야 등 다기능 소재 관련 원천 기술 개발
  • 해당 분야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관련 제품 시장 선점 및 부가가치 제고
  • 제품 경량화 및 고분자 재료 사용량 절감에 따른 환경보호 및 제품수명 연장
  1. 그래핀 대량 합성 및 기능화 기술 개발
  • 그래핀을 대량 제조할 화학적 방법 중 최고품질 그래핀 제조 기술
  • 지구에 매장량이 제한된 전자소개 실리콘 및 인듐틴옥사이드(ITO) 대체 가능
  1. 그래핀-고분자 복합재료 해석 기술 개발
  • 나노 복합체 해석 프로그램에 의한 나노 공정기술 및 설계 기술 향상
  • 나노 및 마이크로 규모의 해석 기술의 새로운 응용 분야 도출
  • 설계 기술 향상으로 나노 복합체 제품 생산 기간 및 단가 축소, 성능 및 신뢰성 향상
  • 초정밀 가공, 세라믹, 반도체, 우주 항공산업 등 품질관리 및 생산성 향상에 따른 관련 국내 산업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향상 
 

[붙임] 3. UNIST IBS 캠퍼스 연구단 유치 현황

※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 현황(2014.12.15 연구기획팀)

□ 선정연구단 연구분야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