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15. 07. 06.(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UNIST, 체내 면역 반응 비밀 밝혀 난치성 질병 정복에 도전

故 도윤경 교수, 면역 반응에 중요한 ‘폴리큘라 헬퍼 T세포’분화 과정 밝혀
에이즈 등 난치성 질병 예방 백신 개발 가능성 제시해‘Cell Reports’논문 발표

흑사병, 에이즈 , B형 간염 등 난치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 개발의 기초가 마련됐다. 면역 반응에 있어 중요한 세포의 분화 과정이 세계 최초로 규명됐기 때문이다.

이 세포의 이름은 ‘폴리큘라 헬퍼 T세포(T follicular helper cell, 이하 Tfh세포)’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3대 학술지 ‘셀(Cell)’의 자매지인 ‘셀 리포츠(Cell Reports)’에 지난 6월 30일 게재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故 도윤경(여, 43) UNIST(총장 조무제) 교수(생명과학부)는 지난 3월 지병으로 별세해 이번 논문이 도 교수의 마지막 논문이다.

도윤경 교수 연구팀은 체내 면역시스템을 총괄하는 수지상세포의 한 종류인 ‘CD8α-수지상세포’가 특화되지 않은 ‘T세포’를 ‘Tfh세포’로 분화시키는 사실을 최초 발견했다. 세포 분화는 특화되지 않은 세포가 특정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발달되는 과정이다.

‘CD8α-수지상세포’에 의해 분화된 ‘Tfh세포’는 체액 내 항체를 만드는 ‘B세포’를 다시 분화시킨다. 'B세포'는 인체에 침입한 병원체를 기억해 다음에 같은 병원체가 다시 침입하면 이를 제거할 항체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병원체를 제거한다.

공동교신저자인 류성호 순천향대학교 의생명연구원(SIMS) 교수는 “‘Tfh세포’ 분화 과정의 비밀을 밝혀내 백신의 효능을 향상은 물론 새로운 자가면역 치료제 개발의 기반도 마련했다”며 “우리나라의 백신 및 항체 관련 질병 치료제 개발기술의 우위를 선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끝)

논문 명: CD8α(-) Dendritic Cells Induce Antigen-Specific T Follicular Helper Cells Generating Efficient Humoral Immune Responses

자료문의

홍보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이종현 담당 (052)217-1231

순천향대 의생명연구원: 류성호 교수 010-2397-0921

  • 도윤경-교수
  • UNIST_도윤경_교수_연구_그림
  • 도윤경 교수 (2)
  • 교수님 프로필
 

[붙임] 용어 설명

수지상세포

혈액 등에 존재하는 수지상세포는 외부물질이 체내에 침입할 경우 면역계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등 전반적인 방어체계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세포의 모양이 나뭇가지처럼 생겨 수지상(樹枝狀)세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붙임] 참고자료

“당신이 그립습니다. 사랑합니다. 그리고 고맙습니다”

지난 5일(일)은 촉망받는 젊은 여성 과학자 도윤경(여, 43) UNIST 교수가 지병인 난소암으로 타계한지 100일째 되는 날이다. 이날 도 교수를 그리워하는 가족, 동료, 동문들의 추모글이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대학 구성원들은 암 투병 중에도 연구 활동을 쉬지 않던 도 교수를 그리워했다. 

부군인 류성호 순천향대 교수는 “UNIST의 시작부터 함께 해온 도윤경 교수에게 UNIST란 삶의 전부나 마찬가지였다”며 “도윤경 교수가 고통을 참으면서 후학들에게 가르치려고 한 것은 단순한 지식뿐만 아니라 자부심이었다”라고 말했다.

동료인 조윤경 UNIST 생명학부장은 “언제나 밝고, 즐겁게 연구에 매진하던 도윤경 교수를 그리워하는 이들이 많다”며 “도 교수가 우리나라 면역학 연구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는 점에서 아쉬움은 더 크다”고 말했다.

동문인 김상연 동아사이언스 전문기자는 실험으로 밤새우던 지난 대학 생활을 추억하며, 당차고 멋진 대학 후배 도윤경 교수를 추모했다.

도 교수는 세계 최초로 ‘수지상 세포’를 발견해 2011년 노벨상을 수상한 故 랄프 슈타인만(Ralph Steinman) 록펠러대 교수의 제자다. 도 교수는 포스텍에서 학사 과정을, 서울대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국비장학생으로 선발돼 미국 버지니아 의대에서 면역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9년 UNIST의 교수로 부임해 면역학 관련 활발한 연구를 하던 중 지병인 난소암으로 지난 3월 28일 별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