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폐수 처리 용도로 개발된 촉매 기술이 울주군 과수 농가를 돕는 ‘대박’ 기술로 거듭났다. 울주군 상북면에서 배, 키위 등을 재배하는 김상직(52) 씨. 김 씨는 ‘과산화수소 농법’을 활용해 과수 농장을 운영 중인데, 이 농법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할 일본 산 촉매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촉매는 일본의 독점으로 국내에 공급돼 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컸다. 촉매는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시켜 산소 발생을 증가시키는데, 김 씨는 농작물에 공급하는 물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고, 이 촉매를 함께 넣어 과산화수소가 분해될 시 발생하는 산소량을 크게 높였다. 그 결과 식물 뿌리에 산소를 원활히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돕고, 병해를 방제할 수 있었다. 김 씨는 촉매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작년 5월 지역에 위치한 UNIST(울산과기원, 총장 정무영)에 기술적 도움을 요청했다. 당시 연구부총장으로 재임했던 정무영 UNIST 총장이 몇 차례 농장을 방문했고, 촉매 분야의 석학인 이재성 UNIST 교수(에너지 및 화학공학, 교학부총장)가 지원에 나섰다. 이 교수는 염색 공장의 폐수 처리를 위해 오래전 개발한 촉매가 일본 산 촉매와 동일하게 화학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 촉매를 김 씨에게 6월 제공했다. 이 교수가 제공한 촉매도 산소 발생을 촉진시키는 촉매로써 김 씨는 과산화수소 농법에 필수적인 촉매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됐다.
김 씨는 UNIST의 과기원 출범을 맞아 과산화수소수 농법으로 시험 재배한 특별한 박을 정무영 초대총장에게 선물했다. 이 박은 UNIST 촉매 기술이 접목돼 보통 박보다 3배 이상 크다. 김 씨는 “우리 울주군에 UNIST가 있어 지역 주민으로서 자긍심을 가진다”며 “과기원으로 새롭게 출범하는 UNIST의 대박을 기원하며 대박을 선물했다”고 말했다. 김 씨는 앞으로 UNIST의 촉매 기술을 키위 농사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김 씨는 “UNIST의 촉매 기술은 지역 농민에게는 대박 기술”이라며 “일본 산 촉매보다 효과가 우수한 UNIST 촉매를 키위 농사에 적극 활용해 울산을 대표하는 과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끝) |
|
![]() |
UNIST 홍보대외협력팀 newscenter@unist.ac.kr TEL : 052)217-1234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