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16. 07. 07.(목)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 탄소학계 최고 권위상 수상

14일(목) 미국서 ‘SGL 카본상’수상 예정… 20년 탄소 연구 업적 재확인

로드니 루오프 1

UNIST(울산과기원, 총장 정무영) 석학이 탄소학계 최고 권위상을 수상한다. 이번 수상으로 UNIST 탄소 분야 연구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로드니 루오프(Rodney S. Ruoff) 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 단장)가 14일(목) ‘SGL 카본상(SGL Carbon Award)’를 받는다. 이 상은 탄소소재 관련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업적을 세운 과학자에게 주어지며, 미국탄소학회(American Carbon Society)가 3년마다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루오프 교수는 20년 이상 탄소 연구를 개척해온 세계적 석학이다. 탄소소재의 나노 및 2차원 구조의 이해를 돕고,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등 탄소물질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화학기상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한 그래핀 합성법은 산업적으로도 파급효과가 컸다.

그가 최근까지 발표한 논문은 430여 편에 이르며, 100편 이상의 논문이 100번 이상 인용됐다. 지금은 그래핀에 기반한 물질을 전기적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하려는 연구를 하고 있다.

루오프 교수는 “탄소 재료와 관련된 과학적 성과로 수상하게 돼 영광”이라며 “지금까지 함께 연구한 제자들과 수많은 공동 연구자의 헌신 덕분에 훌륭한 연구가 가능했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그는 이어 “앞으로도 UNIST와 IBS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앞으로도 더 나은 성과를 위해 연구에 전념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SGL 카본상은 독일의 글로벌 탄소소재기업 ‘SGL 카본 그룹’의 후원으로 운영되며, 미국탄소학회가 3년마다 개최하는 국제 카본 콘퍼런스(World Conference on Carbon)에서 수여한다. 올해 국제 카본 컨퍼런스 ‘2016 카본’은 7월 10일(일)부터 15일(금)까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에서 열린다. (끝)

자료문의

UNIST 홍보팀: 장준용 팀장, 박태진 담당 (052)217-1232

IBS 대외홍보팀: 주범수 팀장 (042)878-8125

  • 로드니 루오프 1
  • 로드니 루오프 2
 

[붙임] 수상자 이력사항

1. 인적사항

  • 소 속: UNIST(울산과학기술원)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 단장
  • 전 화: 052-217-2924
  • e-mail: ruofflab@gmail.com

2. 학력사항

  • 1981년: 학사,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화학
  • 1988년: 박사, 일리노이대학교 어버너-섐페인 캠퍼스, 화학물리학

3. 경력사항

  • 1997년~2000년: 워싱턴대학교 부교수
  • 2000년~2007년: 노스웨스턴대학교 정교수
  • 2007년~2013년: 텍사스대학교 정교수
  • 2013년~현(現): 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

4. 수상이력

  • 2009년: 리쉰상(Lee Hsun Lecture Award, Institute of Metal Research)
  • 2011년: 에너지부문 세계과학기술상(World Technology Award for Energy)
  • 2011년: 톰슨로이터 선정 세계 재료과학자 100인 중 16위
  • 2014년: 데이비드 턴불상(2014 David Turnbull Lectureship Award, MRS)

5. 특이사항

1988-1989년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풀브라이트 학자(Fulbright Fellow)로서의 활동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430여 편의 논물을 게재. 화학기상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한 그래핀 합성관련 특허 외 다수의 관련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H-index 지수는 100을 넘어서며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 미국 MRS, ACS, APS 회원으로 활동할 뿐만 아니라, 국내의 학회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