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17. 03. 31.(금)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고 안정성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석상일 UNIST 교수팀, 사이언스(Science) 30일자 논문 게재
21.2% 효율, 1000시간 유지되는 핵심 소재 및 저가 제조기술

제작비용이 낮고 효율은 높아 차세대 태양전지의 강력한 후보로 떠오른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에 높은 내구성까지 추가될 전망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UNIST(총장 정무영)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석상일 교수팀이 세계 최고의 안정성을 가진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이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는 핵심소재를 개발하고, 저가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 30일(미국 현지시간)자 사이언스(Science) 저널에 발표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값싼 무기물과 유기물을 결합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를 가지면서도 화학적으로 쉽게 합성되는 소재로 만든 태양전지를 뜻한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두 개의 양이온과 하나의 음이온으로 이뤄진 독특한 결정 구조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값싼 화학소재를 저온에서 용액 공정을 통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광전변환 효율이 22%으로 높아 기존 실리콘 단결정계 태양전지 수준의 높은 효율(~25%)을 낼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로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다.

태양전지 소재별 특징 및 광전변환 효율 비교

  • 실리콘 단결정계 태양전지: 광석에서 고순도의 태양전지용 실리콘을 제조하는 데 대규모 투자와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제조비용이 비싸다. (현재 최고효율: 약 25%)
  • 유기태양전지: 화학합성과 인쇄공정을 적용할 수 있어 저가로 제조가 가능하지만, 효율과 광안정성이 낮다는 게 단점이다. (현재 최고효율: 약 12%)
  • 염료감응태양전지: 효율이 비교적 높고 저가로 제조 가능하지만,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안정성 문제가 있다. (현재 최고효율: 약 13%)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무기물과 유기물이 혼합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물질을 이용한 태양전지로 효율이 높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현재 최고효율: 약 22%)

석상일 교수팀은 이전에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기술을 선도해왔다. 이번 연구는 이전의 성과(구조, 공정, 신조성 등)을 기반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의 이전 연구성과

  •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플랫폼 구조 기술(Nature Photonics ‘13.5)
  • 매우 균일하고 치밀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제조 신규 용액 공정 기술(Nature Materials ‘14.7)
  • 고효율을 위한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상 안정화 신조성 개발(Nature ‘15.1)
  •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형성을 위한 신규 공정 기술 개발(Science ‘15.6) 등

이번 연구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고효율화(21.2%)와 높은 광안정성을 모두 만족하는 광전극 소재를 저온에서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광안정성은 빛에 오랫동안 노출돼도 재료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성질을 말한다.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자외선을 포함한 태양빛에 1000시간 이상 노출돼도 안정적으로 효율을 유지했다. 광전극 소재의 합성도 기존(900℃ 이상의 고온)보다 훨씬 낮춘 200℃ 이하에서 진행할 수 있어 제작을 한층 수월하게 만들었다.

더 나아가 연속적이며 대량생산 공정이 가능한 ‘핫-프레싱(hot-pressing) 공법’을 새롭게 제안했다. 핫 프레싱 공법은 온도와 압력을 가해 두 물체를 단단히 점착시키는 방법이다. 이 기술은 고효율‧고안정성‧저비용의 방법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새로운 태양전지 제조 방법론이다.

석상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새롭게 합성된 광전극 소재와 핫-프레싱이라는 공법을 결합해 제조비용을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낮출 것”이라며 “21% 이상의 높은 광전효율과 뛰어난 광안정성을 모두 만족하는 무-유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를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내 연구진의 고유 기술로 이뤄낸 이번 성과는 지난 20여 년간 저가 공정 전략을 내세운 기존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의 낮은 효율과 안정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결과”라며 “대면적 연속공정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상용화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석상일 UNIST 교수가 주도해 한국화학연구원(1저자: 신성식 박사(現 MIT 박사 후 연구원), 공동교신: 노준홍 박사(現 고려대학교 교수)) 등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 지원은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런티어사업(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과 기후변화대응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끝)

  • 논 문 명: Colloidally prepared La-doped BaSnOelectrodes for efficient, photostable perovskite solar cells
  • 저자정보: 석상일 교수(교신저자/UNIST), 신성식 박사(제1저자/한국화학연구원, 現 MIT), 노준홍 박사(공동교신저자/한국화학연구원, 現 고려대학교)

붙임 : 연구결과개요, 연구 이야기, 용어설명, 연구자 이력사항

자료문의

홍보팀: 장준용 팀장, 박태진 담당 (052)217-1232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석상일 교수 (052)217-2946

  • 석상일 교수
  • 연구그림1_LBSO 분말과 용액 성능 그래프 등
  • 교수님 프로필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태양전지는 무한한 청정 태양에너지를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변환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현재 태양전지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효율이 높지만 고도의 기술과 다량의 에너지가 필요해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낮은 가격으로 제작 가능해 많은 연구가 진행됐던 유기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와 같은 기존의 차세대 태양전지들은 여전히 효율이 낮아 대규모로 상용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짧은 연구 역사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유기 및 염료 감응태양전지의 효율을 뛰어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 그룹에서 2013년 Nature Photonics지에 보고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플렛폼 구조 기술과 2014년 Nature Materials지에 보고한 극도로 균일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제조 용액 공정 기술, 2015년 Nature 및 Science 지에 보고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효율을 위한 연구에 더해 고내구성을 만족하고자, 기존에 사용해왔던 광전극 소재를 “La-doped BaSnO₃(BLSO)”로 대체했다. 이로써 고효율과 고내구성을 모두 만족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었다. 참고로 BLSO는 란타넘(La) 원자가 바륨주석산화물(BaSnO₃)의 바륨(Ba)를 일부 치환한 반도체 산화물 소재를 말한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 신규 설계한 “La-doped BaSnO₃(BLSO)”는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물질로 기존에도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통상의 방법으로는 BLSO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에 적용할 수 없었다. BLSO가 900℃ 이상의 고온에서 제조 가능하고, 비교적 저온에서 이 물질을 합성한다고 해도 광전극으로 사용할 만큼 분산성을 가진 균일 박막 제조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위 Crystalline Superoxide-Molecular Cluster(CSMC)라는 매우 독특한 중간상을 합성했고, 이것을 전극으로 코팅한 후 500℃ 이하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광전극을 만들었다. CSMC는 보통 한 개의 산소 이온으로 이뤄진 음이온과 달리 두 개의 산소로 이뤄진 음이온이 결정을 이루는 데 참여한 형태를 뜻한다. 중간상은 최종 결정상이 되기 전 중간 단계의 결정상을 뜻한다. 

그림 1. (왼쪽 위) 본 연구에서 제조한 LBSO 분말과 용매에 분산된 용액, 그리고 이를 기판에 코팅한 박막, (오른쪽 위) LBSO 분말의 저온 제조를 위한 CSMC 구조 그림, (왼쪽 아래) 본 연구를 통해 제조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 (오른쪽 아래) 1000시간 동안 1 sun에서 연속 광조사 후의 효율 변화. 1000시간 후 약 7%의 효율 저하만 나타났다. 그림 1. (왼쪽 위) 본 연구에서 제조한 LBSO 분말과 용매에 분산된 용액, 그리고 이를 기판에 코팅한 박막, (오른쪽 위) LBSO 분말의 저온 제조를 위한 CSMC 구조 그림, (왼쪽 아래) 본 연구를 통해 제조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 (오른쪽 아래) 1000시간 동안 1 sun에서 연속 광조사 후의 효율 변화. 1000시간 후 약 7%의 효율 저하만 나타났다.

 

상기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방법은 대량으로 나노입자의 제조가 가능하면서 유기용매에서 분산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 용액을 기판에 코팅한 코팅막의 경우 매우 치밀하고 균일한 박막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효율도 MA(Methylammonium)PbI₃ 페로스카이트를 사용해 제조한 태양전지 중에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기록하면서, 자외선을 포함한 전체 태양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1000시간 동안 단지 6.7%만 효율 감소가 일어나 광안전성에서 세계 최고의 결과를 도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기대효과

이번 연구는 저온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고안정성과 고효율을 만족할 수 있는 핵심 광전극 소재에 대한 제조방법과 저가 대응이 가능한 핫-프레싱 공법을 융합한 결과다. 이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반기술로 활용이 기대된다. 또한 3개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된(다성분계) 산화물 결정체를 용액상의 저온에서 합성되는 경로와 원리를 규명해 이 분야의 학문 발전에도 큰 할용이 기대되고 있다.

 

[붙임] 연구 이야기

이번 성과, 무엇이 다른가?

효율 21%이상, 광안정성 1000시간 이상을 만족하는 새로운 광전극 소재와 이를 활용해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어디에 쓸 수 있나?

고효율이며 저가격인 태양전지 제조에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대면적이며 연속 제조공정을 위한 상용화 기술과 결합해 화석연료와 경쟁력 있는 신재생 에너지 기술에도 다양하게 활용 가능합니다.

연구를 시작한 계기는?

효율과 내구성을 모두 만족하는 새로운 광전극 소재의 개발과 저가의 페로스카이트 제조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실용화를 위한 과제는?

대면적이며 연속으로 제조(넓은 면적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용화 공정 개발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 산업적, 경제적 파급효과는?

신기후변화 경제 체제로의 전환에 꼭 필요한 미래 태양전지 기술로 상용화를 위한 기술 성숙이 된다면 큰 파급효과가 기대됩니다.

신진연구자를 위한 한마디

기존 기술과 새로운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유연하고 창의성 있는 사고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길을 열 수 있다고 봅니다.

 

[붙임] 용어설명

1. 사이언스 (Science)

○ 미국에서 발행되는 세계 최고의 권위와 높은 영향력 지수를 가진 융합기술 분야 전문 학술지.(2015년도 SCI 피인용지수: 34.661)

2.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 천연광물인 CaTiO₃와 같은 결정구조를 갖고 있는 AMX₃화합물에 대해 러시아 과학자인 페로브스키의 이름을 따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이라고 부름. 여기서 A, M은 금속 양이온이고 X는 할로겐화물(halide) 또는 산화물(oxide)을 포함하는 음이온.

○ AMX₃구조는 정육면체 단위격자의 꼭짓점에 크기가 큰 양이온(A)이 있고(8×1/8) 가운데 크기가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양이온(M)이, 각 면 중앙에 음이온(X)이 존재하는(6×1/2) 구조. 페로브스카이트는 A와 B, X에 어떤 원자(또는 작용기) 가 있느냐에 따라 수백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다. 압전, 유전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산업적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물질임.

○ 본 연구에서의 페로브스카이트는 A자리에 유기물인 Methylammonium이 위치하고 M 자리에 lead, X자리에 halide 가 자리 잡은 무기물과 유기물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화합물임.

3. -프레싱 공법

○ 온도와 압력을 가하여 두 물체를 단단히 점착 시키는 방법.

4. 이종접합

○ 같은 소재간의 접합인 동종 접합과 달리 다른 종류의 소재간의 접합을 의미, 페로브스카이트는 무기물, 유기물, 무/유기 혼성물 간의 이종접합을 이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