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눈에 착용하는 콘택트렌즈로 혈당을 확인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렌즈에 장착된 센서가 눈물 속 포도당을 감지해 조그마한 LED를 밝히는 방식이다. LED가 켜지면 ‘정상’, 꺼지면 ‘혈당이 높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UNIST(총장 정무영) 신소재공학부의 박장웅 교수팀은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의 변영재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의 이정헌 교수와 공동으로 당뇨병 예방과 진단이 가능한 ‘무선 스마트 콘택트렌즈(wireless smart contact lens)’를 개발해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1월 25일(목)에 발표했다.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 농도, 즉 혈당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 질환으로 각종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관리가 중요하다. 기존 환자들은 혈액을 채취해 혈당을 확인해야 했지만, 최근 눈물로도 혈당을 측정할 수 있어 콘택트렌즈로 당뇨병을 모니터링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공동 연구진은 상용화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물질을 기판으로 사용해 사람들의 거부감을 줄이면서, 혈당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선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만들었다. 기판 위에 ‘고감도 포도당 센서’를 넣어 눈물 속 포도당 농도를 감지하고, 그 결과는 센서와 함께 장착된 ‘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방식이다. 센서와 LED를 작동시키는 전기는 ‘무선 안테나’를 통해 전달된다.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박지훈 UNIST 신소재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무선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기판과 전극이 모두 투명해 사람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면서 “혈당 측정과 표시에 필요한 소자가 렌즈 하나에 집적돼 다른 측정기기 없이도 간단하게 당뇨병을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작동시키는 전기는 외부에서 무선 안테나를 통해 공급된다. 이때 포도당 센서는 눈물 속 포도당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신호를 감지하는데, 혈당이 정상 수준일 때 LED 디스플레이를 밝히도록 설계됐다. 혈당이 정상보다 높으면 LED는 꺼진다. 연구진은 제작된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토끼에 착용시켜 혈당 측정 실험을 진행했다. 토끼는 렌즈 착용에 거부감을 보이지 않았으며, 착용 중인 상태에서 눈물 내 포도당 농도를 증가시키자 LED가 꺼졌다. 특히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렌즈 모양이 조금 달라지거나 눈물 속 다른 물질에 노출돼도 센서를 포함한 다른 부분의 특징이 유지됐다. 박장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와 이런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해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제작한 성과”라며 “실제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유연한 전자소자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만들 수 있음을 선보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 기술을 이용하면 복잡하고 큰 측정기기 없이도 실시간으로 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의료진단 분야에서 각광받을 것”이라며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나 ‘미션 인파서블’에 나오던 첨단 기능을 갖춘 콘택트렌즈를 구현하는 데도 한 걸음 다가갔다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1. 연구배경질병진단을 위해 신체적 변화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전자소자(wearable electronic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적 변화를 보여주는 생물지표(biomarker)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바이오센서 기반의 플랫폼 개발도 활발하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콘택트렌즈 기반의 생체신호 모니터링 기술에는 금이나 ITO(indium tin oxide)을 이용해 전극을 만들어왔다. 그러나 이런 소재들은 불투명하거나 신축성이 부족해 웨어러블 전자소자로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소자를 만드는 소재나 형태에 변화를 줘 신축성을 부여하는 방식이 활발하게 개발 중이다. 또 이런 재료를 이용한 웨어러블 센서 플랫폼 제작을 위한 연구도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축성 전극 소재를 이용해 소프트 콘택트렌즈 위에 ‘안테나-정류회로-포도당 센서(glucose sensor)-LED 디스플레이’를 집적시켰다. 그 결과 눈물로 체내 포도당 진단 결과를 LED로 표시해 간편히 확인하는 플랫폼을 구현해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소자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
2. 연구내용이번 연구에서는 신축성 전극 소재를 이용해 무선 구동용 안테나를 제작하고, 콘택트렌즈 위에 포도당 센서와 정류회로 및 LED 디스플레이를 집적화했다. 포도당 센서는 포도당 농도 증가에 따른 저항 변화에 민감해 사람 눈물 속 포도당 농도가 미세하게 변하는 것까지 감지할 수 있다. 전체적인 스마트 콘택트렌즈의 기판은 소프트 콘택트렌즈 물질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여기에 일반적인 전자소자(포도당 센서, 정류회로, LED)를 집적시키면서도 물리적으로 변형돼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새로운 구조로 설계했다. 사람이 착용했을 때 안정적으로 느끼면서도 유연하면서 투명하게 만드는 구조다. 눈물을 통해 당뇨병을 검진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소자인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검진 결과를 렌즈 내에 집적화된 LED 디스플레이 소자로 즉각 표시한다. 그 덕분에 사용자는 자신의 당뇨병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복잡한 측정기기를 이용해 웨어러블 센서가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고 진단하는 기존의 웨어러블 센서보다 크게 진보된 웨어러블 센서 플랫폼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
3. 기대효과본 연구에서 제작된 콘택트렌즈 센서는 인간이 착용했을 때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또 질병 진단에 이용되는 물질을 무선으로 감지해 검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질병을 감지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발전 가능하며,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소자의 구성요소로도 적합하다. |
[붙임] 용어설명 |
1.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미국과학진흥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에서 창간한 과학학술지다. AAAS에서 발행하는 대표적인 학술지인 사이언스(Science)의 자매지로 2015년에 처음 출판돼 과학 및 공학 관련 융·복합 분야 최고 권위지로 성장 중이다. 2. 안테나특정 영역의 주파수대의 전기 신호를 전자기파로 바꾸거나 그 반대로 전자기파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장치다. 이번 연구에서는 스마트 콘택트렌즈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데 사용했다. 3. 포도당 센서(glucose sensor)눈물 내 함유된 포도당의 농도를 전기적 신호(저항)로 나타내는 전자소자. 이번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위에 포도당 센서를 제작함으로써 비침습적으로 체내 포도당 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했다. 4. 정류회로안테나로부터 받은 교류신호(AC)를 포도당 센서와 LED 같은 일반적인 전자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직류신호(DC)로 바꾸어주는 전자회로. 일반적으로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턴스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
[붙임] 그림 설명 |
그림1. 안테나-정류회로-포도당센서-LED 디스플레이가 집적화된 스마트 콘택트렌즈 모식도와 실제 스마트 콘택트렌즈 사진(위), 토끼가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스마트 콘택트렌즈가 구동되는 장면(아래).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