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19. 07. 13 (토)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빛-물질 사이 상호작용’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UNIST 박경덕 교수팀, ‘플렉시톤’에너지 제어하는 나노 현미경 개발
‘근접장’ 광학현미경 페러다임 전환…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

LED나 태양전지와 같은 반도체 소자는 ‘빛과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개발된다. 여기에는 물체 표면에 머무는 빛(근접장 빛)을 활용해 파장보다 작은 세계를 관찰하는 ‘근접장 나노광학현미경’이 큰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한 발 나아가 빛과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관찰하는 방법이 개발돼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근접장 빛(near-field optics): 공간을 통해 진행하지 않고 물체 표면에 국소화 되어있는 빛. 빛을 물체 표본에 비춰 표본을 통과한 빛이 대물렌즈에 의해 확대된 실상을 맺고, 이 실상을 접안렌즈를 통해 재확대된 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를 근접장 광학 현미경(near-field optical microscope)이라 한다.

 

UNIST 자연과학부의 박경덕 교수는 미국 콜로라도대와 메릴랜드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플렉시톤(plexciton)’을 만들고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해, 빛과 물질 사이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관찰하는 신개념 나노 현미경을 개발했다. 플렉시톤은 반도체 내에서 만들어지는 준입자인 ‘엑시톤(exiton)’과 금속 내에서 진동하는 자유전자 덩어리인 ‘플라즈몬(plasmon)’이 강하게 결합한 상태다. 이번 연구에서는 플렉시톤 상태에서 방출되는 다양한 빛의 파장을 상온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준입자: 다입자(多粒子)집단에서 볼 수 있는 입자의 운동형태의 하나로, 여러 개의 입자가 한 개의 입자처럼 행동하는 것. 금속 내의 전도전자(傳導電子)나 액체와 같은 다수 입재전자 또는 분자의 집단에서는 입자 간에 힘이 작용하므로 개개의 입자는 독립해서 운동할 수 없다.

 

엑시톤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OLED 같은 발광소자에 쓰이는 준입자로, 빛이 반도체 내부로 들어가면서 만들어진다. 빛이 반도체로 들어가면, 광자(빛의 입자)를 만난 반도체 물질 속 전자가 움직이고 이때 전자가 빠져나온 구멍(정공)이 생긴다. 이 정공이 전자와 결합을 이루는 준입자가 엑시톤인 것이다. 엑시톤이 방출하는 빛을 이용해 소자를 만들 수 있다.

플렉시톤은 엑시톤과 플라즈몬이 ‘강한 결합’을 이룬 상태다. 플렉시톤이 방출하는 빛은 엑시톤과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새로운 차원의 소자를 만들 후보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플렉시톤의 정확한 성질은 아직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박경덕 교수팀은 엑시톤 준입자를 만드는 ‘단일 양자 광원’과 플라즈몬을 발생시키는 ‘금속 탐침’을 이용해 플렉시톤 상태를 만들고 정확히 분석했다. 상온에서 동적인 플렉시톤 상태를 분석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ec%97%b0%ea%b5%ac%ea%b7%b8%eb%a6%bc-%ed%94%8c%eb%a0%89%ec%8b%9c%ed%86%a4-%ea%b4%91%eb%b0%a9%ec%b6%9c-%ec%8b%a4%ed%97%98%eb%aa%a8%ec%8b%9d%eb%8f%84%ec%a2%8c-%eb%b0%8f-%ec%97%90%eb%84%88%ec%a7%80

연구팀은 자체 제작한 원자힘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를 변형한 플라즈모닉 나노 광학 공진기(Plasmonic nano optical resonator)’로 플렉시톤을 생성했다. 이 장치는 기판이 금(Au)으로 이뤄져 있으며, 나노 광학 안테나 역할을 하는 금(Au) 탐침이 장착돼 있다. 이 탐침은 나노미터(nm, 1 nm는 10억 분의 1 m) 단위로 간격 제어가 가능하며, 내부에는 단일양자점(CdSe/ZnS)이 위치한다. 단일양자점에 빛을 쪼여 엑시톤을 만들고, (Au) 기판과 탐침의 상호작용으로 플라즈몬이 발생하게 설계한 것이다.

연구진은 플라즈모닉 나노 광학 공진기를 이용해 상온에서 엑시톤과 플라즈몬의 강한 결합을 유도했다. 그 결과, 플렉시톤 상태가 나타났으며 실시간으로 발광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플렉시톤 상태가 되자 단일양자점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른 두 에너지 상태로 갈라졌다. 이는 향후 새로운 광전자 소자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박경덕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분석 장비는 빛과 물질 간 상호작용을 강한 결합 영역으로 유도하고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며 “나노 세계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관찰하는 근접장 광학현미경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고 연구 의미를 짚었다.

그는 이어 “플렉시톤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플랫폼을 소자로 응용할 경우, 양자컴퓨터와 정보소자는 물론 초고휘도, 초소형, 초고속으로 파장 제어가 가능한 신개념 디스플레이로 폭넓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에서 발행하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지에 7월 12일자로 게재됐다.

논문명: Tip-enhanced strong coupling spectroscopy, imaging, and control of a single quantum emitter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장준용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1228

자연과학부: 박경덕 교수 (052) 217-2121

  • [연구그림] 플렉시톤 광방출 실험모식도(좌) 및 에너지 구조도(우)
  • [연구그림] 광방출 스펙트럼(좌) 및 실험값과 이론값 그래프(우)
  • [연구진사진] 박경덕 교수가 나노금속 탐침에서 플라즈몬을 생성시키고 있다
  • 00000236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플라즈몬1)엑시톤2)의 결합 강도(coupling strength)를 결합 시스템의 손실 에너지보다 크게 할 경우, 강한 결합(strong coupling) 영역에 도달한다. 이때 ‘부분 빛-부분 물질’인 준입자 상태, 즉 플렉시톤3)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차세대 양자 센싱, 계측, 정보 처리를 위한 핵심 구성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강한 결합 연구에 사용된 모든 플라즈모닉 나노 광학 공진기4)는 정적인(static) 구조이므로 양자 광원과 결합 강도를 조절하거나 결합 구조를 최적화하는 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했다.

 

2. 연구내용

연구팀은 자체 제작한 쉬어 포스(shear-force) 타입의 원자힘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5)에 나노 광학 안테나 역할을 하는 금(Au) 탐침을 장착했다. 금(Au) 기판과 나노미터(nm, 1 nm는 10억 분의 1 m) 단위 정밀도로 능동적 간격 제어가 가능한 플라즈모닉 나노 광학 공진기를 제작했다.

제작한 능동형 나노 광학 공진기 내에는 CdSe/ZnS 단일양자점을 위치하게 해, 엑시톤과 플라즈몬의 강한 결합에서 나타나는 플렉시톤 상태를 상온에서 유도했다.

또한, 탐침 증강 강한 결합 분광기(tip-enhanced strong coupling spectroscopy)’6)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결합 강도에 따라 변화하는 플렉시톤 방출7) 스펙트럼(plexciton photoluminescence spectrum)을 실시간으로 측정했다.

강한 결합 영역에서는 약한 결합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단일 에너지 자발 광 방출 신호와 달리, 라비 스플리팅(Rabi splitting)8)에 의해 두 에너지 레벨의 광 방출 스펙트럼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9) 시뮬레이션과 이론적 모델링을 통해 검증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나노 광학 공진기의 수직 간격과 수평 위치를 정밀 조절했다. 이로써 양자 광원과 결합 강도를 능동 제어하고 플렉시톤 광발출의 에너지 제어와 약한 결합– 강한 결합 간 스위칭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시했다.

 

3. 기대효과

개발한 TESC 분광기는 빛-물질 간 상호작용을 강한 결합 영역으로 유도하고,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근접장 나노 현미경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상온에서 플렉시톤 광방출의 증강과 발광 에너지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시된 플랫폼을 소자로 응용할 경우, 양자컴퓨터와 정보 소자는 물론 초고휘도, 초소형, 초고속으로 파장 제어가 가능한 신개념 디스플레이로 폭넓은 응용이 기대된다.

 

[붙임] 용어설명

1. 플라즈몬(plasmon)

금속 내의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유사 입자를 말한다. 금속의 나노 입자에서는 플라스몬이 표면에 국부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 플라스몬(surface plasmon)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엑시톤 (exciton)

절연체 또는 반도체 내에서 전자와 양공이 결합하여 만든 준입자다. 즉, 정전기력으로 인하여 결합한 전자-양공 쌍이며, 준입자이다.

 

3. 플렉시톤 (plexciton)

플라즈몬과 엑시톤이 결합한 준입자를 말한다.

 

4. 플라즈모닉 나노 광학 공진기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로 제작한 광 공진기(optical resonator)를 말한다.

 

 5. 쉬어 포스 타입 원자힘현미경(shear-force type atomic force microscopy)

쿼츠 튜닝 포크에 탐침을 부착해 시료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시료 표면에 주사해 3차원 이미지를 측정하는 현미경 방식을 말한다.

 

6. 탐침 증강 강한 결합 분광기(tip-enhanced strong coupling spectroscopy)

탐침 증강 효과를 유도해 강한 결합 영역에서 물질의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현미경을 말한다.

 

7. 광방출(photoluminescence)

물질이 빛에 의해 자극을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현상을 말한다.

 

8. 라비 스플리팅(Rabi splitting)

공진기에 결합된 원자 혹은 준입자 등의 들뜬 상태 에너지 레벨이 갈라지는 현상.

 

9.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편미분 방정식이나 적분, 열 방정식 등의 근사해를 구하는 한 방법이다.

 

[붙임]그림설명

 

그림1. (A) 강한 결합 플렉시톤 광방출 실험 모식도. (B) 약한 결합에서 광방출 에너지 구조도(노란색 선)와 강한 결합 영역에서의 플렉시톤 생성 및 광방출 에너지 구조도(초록색 선). 강한 결합 영역에서는 에너지 레벨이 두 개로 갈라진다.

그림2. (A) 실험적으로 관찰한 플라즈몬과 엑시톤의 결합 강도에 따른 양자점 탐침 증강 광방출 스펙트럼. (B) 플라즈모닉 나노 광학 공진기가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진 양자점 엑시톤들과 강한 결합 영역에서 생성하는 플렉시톤 광방출 모드들의 실험결과()와 계산 결과()가 잘 일치함을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