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장애물달리기 선수처럼 DNA 위를 폴짝폴짝 뛰어다니며 손상을 찾는 단백질의 이동 원리가 밝혀졌다. 신속하게 이동하며 손상을 파악하는 이 원리를 이용하면 암을 비롯한 다양한 유전질환의 치료법에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정무영) 생명과학부 이자일 교수팀은 IBS(원장 김두철) 유전체항상성연구단 올란도 쉐러 교수팀(Orlando Schärer, UNIST 특훈교수)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XPC-RAD23B’ 단백질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
XPC-RAD23B 단백질은 우리 몸속에서 DNA 손상을 탐색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 단백질이 어떻게 손상 부위를 찾는지는 확인된 바가 없었다. 연구진은 ‘DNA 커튼’*이라고 불리는 단분자 분광학 기술을 이용해 DNA 위에서 움직이는 XPC-RAD23B 단백질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이 단백질이 DNA를 따라 움직이며 손상 부위를 확인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DNA 위의 다른 단백질을 피하기 위해 폴짝폴짝 뛰어다니는 것도 관찰됐다. |
*DNA 커튼(DNA Curtain): 수백 개의 DNA를 커튼처럼 펼친 후에, 각 DNA와 단백질을 형광을 이용해 이미지를 관찰함으로써, DNA 위에서 단백질들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방법. 단백질과 DNA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천나영 연구원은 “XPC-RAD23B은 다른 단백질을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30억 개에 이르는 DNA의 손상 부위를 빠르게 찾을 수 있었던 것”이라며 “이를 이용하면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DNA 손상을 빠르게 알아내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자외선이나 유독물질에 쉽게 손상되고 변형된다. 이런 손상에도 돌연변이를 갖지 않는 건, 우리 몸속에서 손상된 DNA를 빠르고 정확하게 원상 복구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절제 복구(NER)’가 계속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 복구는 다양한 단백질들의 상호작용으로 진행되는데, XPC-RAD23B 단백질이 손상 부위를 확인하는 게 시작점이 된다. 연구진은 이번 발견이 DNA 손상으로부터 유래하는 피부암, 색소성건피증 등 다양한 유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자일 교수는 “현재 현미경 기법으로는 세포핵 내에서 일어나는 단백질과 DNA의 상호작용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서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며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DNA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과 포스코 청암펠로우십,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뉴클레익 에시드 리서치(Nucleic Acid Research, IF: 11.56)’에 8월 2일(금)자로 온라인 게재됐으며, 중대한 발견(Breakthrough Article)으로 주목받았다. * 논문명: Single-molecule visualization reveals the damage search mechanism for the human NER protein XPC-RAD23B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1. 연구배경DNA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생체분자다. 사람의 DNA는 대략 30억 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돼 세포핵 내부에 존재한다. DNA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손상을 입게 되는데, 특히 자외선 혹은 화합물질 등에 노출되면 염기쌍에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염기쌍의 변화는 유전정보를 변형해, 암이나 유전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 우리 몸은 이를 막기 위해 염기쌍의 변화를 원래대로 복구하는 DNA 손상 복구 기전을 진화적으로 보존해왔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서 변형된 염기쌍의 변화는 ‘뉴클레오타이드 절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 NER)’이라는 과정에 의해서 복구된다. NER은 다양한 단백질들이 복합체(Complex)를 이뤄, 여러 단계를 거치며 진행된다. 이중 가장 중요한 단계는 염기쌍의 손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 역할을 맡는 단백질은 XPC-RAD23B이다. 이 단백질은 30억 개에 달하는 사람의 유전자를 살피고 이중 변형된 한두 개의 염기쌍을 찾는다.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지만, 실제 XPC-RAD23B는 세포 내에서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 단백질이 어떻게 이런 빠르고 정확한 인식을 할 수 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2. 연구내용이번 연구에서는 XPC-RAD23B를 정제한 후, 이를 단분자 분광학 기법인 ‘DNA커튼’ 기술을 이용해 관찰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XPC-RAD23B가 DNA 위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DNA커튼 기술은 나노공정기술, 마이크로유체제어기술, 형광이미징 기술을 융합한 고속대량(High-throughput) 이미징 기술로, 직접적으로 단백질과 DNA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때문에 특정한 단백질들에 국한되지 않고, 수많은 단백질을 보편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연구진은 DNA 커튼을 이용해, XPC-RAD23B가 DNA 위를 1차원 확산을 통해서 움직이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XPC-RAD23B가 DNA 위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깡충깡충 뛰면서 움직인다(Hopping)는 것을 관찰했다. 뛰면서 움직인다(Hopping)는 것은 이 단백질이 DNA에 계속 붙어있는 것이 아니라, 미시적으로 DNA에서 떨어졌다 다시 붙는 방식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말한다. DNA에서 떨어졌다 다시 붙는 이런 움직임 덕분에 XPC-RAD23B는 DNA 위에 결합된 다른 단백질들을 통과(Bypass)해서 움직였고, 그 결과 더 빠르게 DNA 손상 부위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제 XPC-RAD23B와 다른 단백질의 충돌실험을 진행해 움직이는 과정에서 다른 단백질을 통과할 수 있음을 직접 증명하기도 했다. 더불어 NER에 의해 복구되는 염기쌍 손상, ‘CPD(Cyclobutane Pyrimidine Dimer)’가 포함된 DNA를 제작해 XPC-RAD23B가 1차원 확산을 통해 이를 인식하는 것도 확인했다. 또 이 과정을 정량적인 데이터를 통해서도 확인했다. 3. 기대효과이번 연구는 NER에 의한 DNA 손상 복구 과정에서 XPC-RAD23B가 어떤 분자 기전으로 DNA 손상 부위를 발견하는가를 단분자 분광학 기술인 DNA커튼을 이용해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 XPC-RAD23B의 복구 과정을 밝힌 것은 이를 통해 심각한 유전질환인 색소성건피증, 피부암 등을 유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반이 될 수 있다. 한편 DNA커튼 시스템은 다양한 DNA-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수 있는 보편적인 시스템이다. 이를 이용하면 체내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DNA 대사 작용들의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을 밝힐 수 있어 다양한 관련 연구를 진행할 토대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
[붙임] 용어설명 |
CPD(Cyclobutane Pyrimidine Dimer)DNA를 이루는 네 개의 염기 중 하나인 싸이민(thymine)이, 염기서열에서 연속적으로 두 개가 있을 때, 자외선은 이 두 개의 싸이민을 공유결합으로 연결한다. 특히 싸이민을 이루는 링 구조가 평행하게 결합하면서 연결된 형태를 CPD라고 한다. CPD는 DNA의 복제를 막거나 복제 과정 중에 염기서열의 변형을 야기한다. 단분자 분광학(Single-molecule Spectroscopy)전통적인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은 한 튜브 내에 다수의 분자를 넣고 그 평균적인 효과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법은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주효하지만, 분자들이 가지는 세부 상태나 동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기는 쉽지 않다. 단분자 분광학은 생체분자 각각을 관찰하는 새로운 실험기법으로, 기존의 측정방법에서 관찰할 수 없었던 세부 특성을 관찰할 수 있으며, 쉽게 동역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분자들의 움직임과 분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할 방법을 제공한다. 뉴클레오타이드 절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 NER)DNA 손상복구 기전 중 하나로 자외선에 의해서 발생하는 CPD 혹은 DNA 염기에 결합된 화합물 등을 제거하여 염기쌍을 원래대로 복구하는 기전이다. 이 기전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면, 색소성건피증(Xeroderma Pigmentosum)이라는 질병에 걸리는데, 이 질병은 낮에 햇볕(자외선)을 쬐면 피부가 심각하게 손상되며, 피부암 발병률이 수십 배 높다. 이 기전은 손상된 염기가 있는 DNA 가닥을 도려낸 후에, 반대편 가닥을 이용해서 새로이 염기쌍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정보의 손실 없이 DNA 손상을 복구한다. |
[붙임] 그림설명 |
.그림1. DNA커튼을 이용한 XPC-RAD23B의 움직임 관찰과 충돌 실험 (A) DNA커튼 시스템의 개략도. 다수의 DNA가 나노 장벽 사이에 잘 배열돼 있으며, 형광체가 표지된 XPC-RAD23B를 넣어 DNA 위에서의 움직임을 형광 이미징으로 관찰한다. (B) XPC-RAD23B 분자 하나의 시간에 따른 DNA 위에서의 움직임. XPC-RAD23B가 1차원 확산과정을 통해서 DNA 위를 움직인다는 것을 볼 수 있다. (C) XPC-RAD23B와 다른 단백질의 충돌실험에 대한 개략도(위)와 실제 XPC-RAD23B가 폴짝폴짝 뛰어다니며 다른 단백질을 넘어가는 것을 보인 움직임(아래) 그림 2. XPC-RAD23B가 DNA위에서 손상부위(CPD)를 찾는 과정을 그린 개략도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