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고(古)성당 모자이크 그림처럼 ‘태양전지’로 건축물을 다채롭게 꾸밀 시대가 멀지 않았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넓은 평지나 지붕뿐 아니라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서다.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발전도 가능한 이런 기술은 앞으로 태양전지 수요를 더 높일 전망이다. |
UNIST(총장 직무대행 이재성) 에너지화학공학부의 장성연 교수팀은 국민대학교 (총장 임홍재) 응용화학부 도영락 교수팀과 공동으로 건축물 외벽에 부착이 가능한 ‘풀컬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실제 건물에 적용하기 유리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
*풀컬러(Full Color): 빨강, 초록, 파랑(RGB) 조합을 통해 약 168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색상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결정의 한 형태이며 최근 차세대 태양전지의 광활성(태양광을 받아 전자를 만드는 부분) 소재로 주목받고 있음 |
태양전지는 대부분 태양광 파장 중 가시광선을 ‘흡수’해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반면 우리가 보는 사물의 색상은 그 사물이 ‘반사’하는 가시광선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태양전지에 색상을 입히려면, 가시광선 일부를 반사하도록 만들어야 하므로 태양전지가 흡수할 수 있는 파장대가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기존 태양전지에 색상을 구현하면 효율이 낮아진다.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는 발전효율이 태양광이 전지로 들어오는 각도(입사각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런 이유로 건물 외벽처럼 태양광이 비스듬하게 들어오는 장소에는 설치하기 어렵다. 다양한 장소에서 태양전지로 전기를 얻기 어려운 이유다. |
공동연구팀은 빛 반사 영역을 최소화한 ‘나노 필터’와 입사각의 영향을 받지 않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이용해 두 문제를 해결했다. 나노 필터가 빛 반사 파장과 각도를 최소화한 덕분에 태양전지는 색상을 띠면서도 최대한 많은 태양광을 흡수했다. 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태양광 입사각이 달라져도 발전효율 저하가 거의 없어 일정한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실제 나노 필터를 적용한 풀컬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은 19%에 이르렀다. 실리콘 산화물(SiO₂)과 타이타늄 산화물(TiO₂)을 겹겹이 쌓은 나노 필터는 빨강, 초록, 파랑을 아우르는 다양한 파장대의 빛 반사가 가능하면서도 그 범위를 매우 좁게(반치폭 30㎚ 이하)로 구현할 수 있다. 이 덕분에 태양전지가 반사로 잃어버리는 빛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구진은 실리콘 산화물과 타이타늄 산화물을 쌓는 방식을 조정해 파장 간섭에 따른 추가적인 반사 현상도 줄였다. |
*나노 필터(nano filter):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두께를 지닌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코팅해 특정 파장을 반사하도록 제조한 필터 *반치폭(half-width): 산 모양으로 된 분포를 나타내는 곡선(이번 실험에서 반사되는 파장대 영역)에 있어서 최대치의 1/2에 대응하는 분포의 폭 |
나노 필터에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도 추가했다. 자외선이 가진 높은 에너지는 태양전지를 ‘노화’시키는 주범인데, 이 부분을 나노 필터로 제거한 것이다. 그 덕분에 태양전지의 안정성은 더욱 높아졌다. 장성연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다양한 색상의 태양전지는 매우 선명한 색깔을 구현하면서도 광전변환 효율과 안정성이 높다”며 “건축물 외벽에 적용할 경우 미적 감각을 살리면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두 목표를 달성해, 향후 건축 분야에서 새로운 수요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는 나노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ACS Nano’ 10월호에 출판됐다. 연구수행은 한국연구재단(NRF)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논문명: Stable and Colorful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a Nonperiodic SiO₂/TiO₂ Multi-Nanolayer Filter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1. 연구배경 현재 건축물에는 실리콘 태양전지가 태양광을 직사로 받을 수 있는 건물의 옥상에 위치하여 건물 내의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발전성능은 태양광의 입사각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하루 중 최적 발전 가능 시간은 3.5시간 정도이다. 그뿐만 아니라 기상상태로 인해 낮은 조도가 형성될 때의 발전성능은 일조량이 많을 때 비해 현저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건물의 옥상뿐만 아니라 외벽에도 태양전지를 설치함으로써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하지만, 실리콘 태양전지는 입사각 의존도가 높고 색상구현이 어려워 이를 실현하기에 적당하지 못하다. 기존의 차세대 태양전지의 색상구현은 광활성 소재의 흡수 거동을 제어하여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려는 노력이 대부분 이었고, 이 경우는 태양광 흡수가 효과적이지 못하여 소자의 광전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광흡수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2. 연구내용 연구팀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지닌 무기소재들을 나노미터 수준에서 다층으로 막을 구성하여 특정한 파장대만을 반사할 수 있는 나노반사필터를 개발하고 이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하여 적, 녹, 청색의 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새로 개발된 나노반사필터의 경우 기존의 반사필터에 비해 반사하는 파장의 폭이 매우 좁아 보다 선명한 색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의 폭이 좁음으로 인해 소자의 태양광 흡수도 최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O2/TiO2 다층박막층의 두께를 비대칭적으로 구성하여 기생반사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반사되는 파장대 이외의 파장들은 모두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자외선 영역대를 모두 반사하여 태양전지소자의 수명을 크게 증대시켰다. SiO2/TiO2 다층박막으로 된 반사필터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하여 광전변환 효율이 ~19%에 이르는 소자를 개발하였으며 이때 반사필터에 의한 효율감소가 ~6% 정도로 색상구현으로 인한 효율감소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태양전지 소자의 장기안전성도 나노필터의 자외선 차단 효과로 인하여 30% 이상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3. 기대효과 태양광의 입사각에 대한 영향이 없고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의 개발은 건축물에 대한 응용범위를 확대하여 자체적으로 필요전력을 해결할 수 있는 제로 에너지 빌딩의 구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연구에서 개발된 나노반사필터의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다른 유, 무기 박막태양전지에도 적용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붙임] 용어설명 |
1. 광전변환효율 태양전지가 조사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효율
2.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의 한 형태이며 최근 차세대 태양전지의 광활성 소재로 주목받고 있음
3. 나노반사필터 나노미터 두께를 지닌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코팅하여 특정 파장을 반사하도록 제조한 필터
4. 제로 에너지 빌딩 빌딩 내 다른 추가적 전력공급 없이 건물에서 생산된 전력이 소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빌딩 |
[붙임] 그림설명 |
그림 1. 풀컬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 및 색상발현 (a) 나노반사필터를 지닌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 (b)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소자의 전자현미경 단면도, (c) 적색 태양전지, (d) 녹색 태양전지, (e) 청색 태양전지. 전지의 색상은 마치 진주처럼 빛의 반사 각도에 따라 일부 변화함. |
그림 2. 나노필터의 색상구현 결과. (a) 나노필터의 반사 스펙트럼, 파장의 좁은 영역대를 반사함을 볼 수 있다. (b) 반사 스펙트럼의 color coordinate.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