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19. 11. 11 (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불 안 붙고 오래 가는 ‘리튬-황 고체전지’ 프린팅!

UNIST 이상영 교수팀, 성능과 안전성 확보한 리튬-황 전지 개발
프린팅 공정으로 모형 글라이더 날개에 직접 제조… AEM 표지 선정

불 속에서도 안전하게 작동하며, 용량이 커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가 개발됐다. 상용화된 리튬 이온 전지보다 용량이 큰 ‘리튬-황 전지’의 성능과 안전성을 개선한 데다 프린팅 공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어 눈길을 끈다.

UNIST(총장 직무대행 이재성)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상영 교수팀은 프린팅 공정을 이용해 안전성 높은 다형상 전고체 리튬-황 전지(all-solid-state battery)’를 개발했다. 글자나 그림을 사물에 인쇄하듯 전지를 만들어내는 ‘프린팅 공정’과 리튬-황 전지의 고질적 문제인 전지 수명 감소를 해결한 ‘이중층 고분자 전해질’이 핵심 기술이다.

리튬-황 전지는 리튬을 음극재로, 황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전지다. 리튬 이온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약 5배 이상 높지만,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화합물(Polysulfide)이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황화합물이 음극으로 이동해 음극 표면에 얇은 막을 만들면서 전기 흐름을 담당하는 리튬 이온의 움직임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연구그림]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이 도입된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모식도 및 전지 특성

연구팀은 리튬-황 전지의 성능 저하를 두 개의 층으로 이뤄진 젤(Gel) 상태 전해질로 해결했다. 음극에는 황화합물이 음극으로 이동하는 걸 억제하는 전해질을, 양극에는 황의 산화와 환원 반응이 잘 일어나는 전해질을 배치한 것이다. 두 전해질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해 서로 섞이지 않는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김세희 박사는 이중층 고체 전해질을 갖는 리튬-황 전지는 일반적인 액체 전해질을 갖는 리튬-황 전지에 비해 수명 주기가 2배 이상 늘어났다며 “고체 전해질이지만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젤 형태를 썼기 때문에 전지의 기계적‧화학적 안정성이 높으며, 전지 여럿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 작동 전압을 높이기도 쉽다”고 설명했다.

[연구그림]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유연성과 열적 안정성

실제로 이 전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접고 펴기를 반복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LED 램프와 연결된 전지를 가위로 잘라도 램프에 불이 유지될 정도로 안전성도 높았다. 또 전지에 불을 붙이는 실험에서도 끄떡 없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화성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쓴 덕분에 불이 붙거나 폭발하지 않은 것이다.

전고체 리튬-황 전지를 만드는 ‘단계적 프링팅 공정’이 가진 장점도 많다. 원하는 자리에 다양한 모양의 전지를 직접 제조할 수 있어 사각형 배터리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굴곡진 평면 구조인 비행기 날개 위에 알파벳 형상의 리튬-황 전지를 제조해 선보였다.

이상영 교수는 “ 이 연구는 현재 이차전지 분야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인 ‘고용량‧고안전성 전고체전지’를 만드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며, “가위로 자르거나 불을 붙인 상황에서도 정상 작동하는 매우 안전한 바이폴라(Biopolar) 구조를 구현해 고전압 특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프린팅 공정을 이용해 다양한 모양을 갖는 전고체전지를 쉽게 제조할 수 있어, 리튬-황 전지의 실용성을 높이는 크게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 (Advanced Energy Materials)’ 표지 논문 선정돼 1024일자로 출판됐다. 연구 진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자(도약)지원사업과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논문명: All-Solid-State Printed Bipolar Li-S Batteries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장준용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1228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이상영 교수(052) 217-2948

  • [연구그림]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이 도입된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모식도 및 전지 특성
  • [연구그림] 바이폴라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제조 공정 모식도
  • [연구그림]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 중 술폰계 전해질이 포함된 프린팅 전극 물성
  • [연구그림]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 중 에터계 전해질 물성
  • [연구그림] AEM(IF-24.9) 저널 표지 논문 선정
  • [연구그림]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유연성과 열적 안정성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플렉시블(Flexible) 기기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s), 전기자동차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그 전원으로 널리 사용 중인 리튬 이온 전지의 낮은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황 전지1)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아직 몇 가지 문제가 남아 있다. 낮은 전자 전도도와 용량 감소의 원인인 중간 생성물의 형성(Lithium Polysulfide, 리튬폴리설파이드)2), 낮은 작동전압, 액체 전해질로 인한 낮은 안전성 등이 한계다. ‘리튬-황 전지’와 더불어 고에너지‧고안전성 전지 개발을 위한 유망한 기술로서 ‘바이폴라(Bipolar) 구조3)의 전고체 전지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인 리튬-황 전지에 사용되는 액체 전해질은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중간 생성물(리튬폴리설파이드)을 과량 생성한다. 이 물질들은 전지 용량을 줄일 뿐 아니라 전지의 안전성까지 위협한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액체 전해질을 대체할 수 있는 무기 전해질이나 고분자 전해질 같은 고체 전해질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바이폴라 전지는 전지 속 집전체 하나에 음극과 양극 활물질을 모두 바르는 구조로 공간 활용성이 높다. 전지 내의 비활성체인 집전체와 포장 물질을 최소화하다 보니, 단위 전지를 단순히 직렬로 연결해 사용하는 것보다 부피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 바이폴라 전지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고체 전해질’은 바이폴라 전지 구조 내에서 인접한 셀들 사이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막는다. 현재 대부분의 바이폴라 전지 연구들은 무기 전해질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이온 전도도와 입자 간 저항, 유연성 저하, 복잡한 제조 공정 등의 고질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바이폴라 전고체 전지를 실제로 응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연성과 난연성이 동시에 확보된 고체 상태의 섞이지 않는 이중층 구조 전해질을 개발하고, 단계적 프린팅과 광가교4) 공정을 도입해 플렉시블 바이폴라 전고체 리튬-황 전지를 구현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 도입한 이중층 구조의 고체상 유기 전해질은 리튬-황 전지의 고질적인 문제인 전지 내에서의 리튬폴리설파이드 이동을 억제했다. 이는 전지의 용량 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개발된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의 전해질과 이를 포함한 전극의 유변학 물성5)을 조절해 단계적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고온‧고압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쉽고 빠르게 전고체 바이폴라 리튬-황 전지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술폰계 전해질/에터계6) 전해질과 광가교가 가능한 고분자로 구성된다. 황 전극 내부에 유전 상수가 높은 술폰계 전해질을 도입해 황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리튬 전극 쪽에는 에터계 전해질을 도입해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이동을 억제했다. 따라서 리튬-황 전지의 용량 감소 문제를 해결해 우수한 충‧방전 주기 특성을 확보했다. 각 층의 전해질에 포함된 광가교가 가능한 고분자는 전해질과 전극의 유연성 및 기계적 물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조된 프린팅 전극과 전해질은 다양한 형태의 접힘 평가에서도 물리적 변형 없이 구조가 유지됐다. 이러한 유연 특성은 전고체 바이폴라 리튬-황 전지에도 동일하게 적용돼 플렉시블 전고체 바이폴라 리튬-황 전지를 구현했다.

전극과 전해질의 유변학 물성을 조절해 일정 이상의 외부 응력을 받으면, 프린팅이 가능한 틱소트로픽(Thixotropic) 유체7)를 개발했다. 개발된 프린팅 전극과 전해질은 단계적 프린팅이 가능해 다양한 형태(수직, 평면 방향)의 전고체 바이폴라 리튬-황 전지를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2.8V로 낮은 충전 전압을 갖는 리튬-황 전지를 8.4V의 고전압 전지로 제조했다. 또한 모형 글라이더 날개와 같은 제한적인 표면에 프린팅을 통해 전고체 바이폴라 리튬-황 전지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했다.

 

3. 기대효과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고에너지 전고체 리튬-황 전지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유연성을 갖추면서도 고전압인 바이폴라 구조를 가진다는 것도 큰 특징이며, 쉽고 간편한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사용에 한계가 있던 리튬-황 전지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상용화 기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용어설명

1. 리튬-황 전지

리튬을 음극재, 황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기존 리튬 이온 전지 대비 약 6~7배 높은 이론 에너지 밀도를 가짐. 

2. 리튬폴리설파이드(Lithium Polysulfide)

리튬-황 전지의 전기화학 반응 중 생성되는 중간상 물질. 황 전극 및 리튬 전극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킴.

3. 바이폴라 전극 (Bipolar Electrode)

전지의 집전체의 양면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활물질이 도포된 전극. 바이폴라 전지는 개별 전지 1개 내에서 전지 cell 여러 개를 직렬로 연결한 것이다. 전지 내의 비활성체인 집전체와 포장 물질을 최소화하다 보니, 단위 전지를 단순히 직렬로 연결해 사용하는 것보다 부피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

 4. 광가교 (Photocrosslink)

빛을 이용해 고분자를 서로 연결(cross-linking)시키는 반응. 이를 통해 말랑말랑한 고분자를 단단하게 만들 수 있다.

5. 유변학적(rheology) 물성

유변학(rheology)이란 물질의 변형과 흐름을 연구하는 물리과학이다. 주로 액체(유체), 고체 등의 의 탄성, 점도 등에 관한 학문이다. 이번연구에서는 광가교가 가능한 틱소트로픽 유체를 사용했다.

6. 술폰계(sulfone group)/ 에터계(ether group)

특정 반응기 갖는 유기고분자를 지칭하는 명칭

7. 틱소트로픽 유체(Thixotropic Fluid)

전단박화(sheer thinning) 특성을 나타내는 유체. 유체가 전단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때 유체의 겉보기 점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특성을 가짐. 주로 페인트가 이러한 특성을 갖는데, 페인트를 휘저어 주면(전단힘을 주면) 유체의 끈적임(viscosity)이 덜해져(전단박화)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고, 전단힘이 없어지면 다시 원래의 끈적임이 회복돼 흘러내리지 않는다.

 

[붙임] 그림설명

 

그림1. 바이폴라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제조 공정 모식도: 유변학적 물성이 조절된 전극과 전해질을, 원하는 사물 위에 단계적으로 프린팅하는 공정을 써서 전지를 제조하는 방식이다. 사물 위에 직접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림 2.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이 도입된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모식도 및 전지 특성: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연분홍색/연하늘색)을 도입해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이동을 억제해 기존 액체 전해질 대비 우수한 충‧방전 주기 특성을 확보했다. 충방전 주기 값이 2배 이상 좋아졌다.

 

그림 3.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 중 술폰계 전해질이 포함된 프린팅 전극 물성: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조된 전극은 접힘 평가 후에도 물리적 변형 없이 구조가 유지되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며, 난연성을 포함한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보인다.

 

 

그림 4. 이중층 구조의 고체 상태 전해질 중 에터계 전해질 물성: 에터계 전해질과 광가교 고분자로 구성된 신규 고체상 유기 전해질은 스텐실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조되며, 난연성을 포함한 우수한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유연 특성을 보인다.

 

그림 5.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유연성과 열적 안정성: 프린팅을 통해 모형 글라이더 날개와 같은 제한적인 표면 위에 바이폴라 전고체 리튬-황 전지를 구현했다. 제조된 전고체 전지는 접힘 평가, 절단 평가 후에도 LED 램프를 작동시키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유연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