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바닷속 모랫바닥에 사는 ‘가오리’는 지느러미를 자유자재로 움직여서 모래 같은 이물질을 털어낸다. 이 모습에 영감을 얻어 물질표면의 오염을 막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정훈의 교수팀과 POSTECH(총장 김무환) 이상준 교수팀은 자석에 잘 달라붙는 소재를 이용해 가오리 지느러미를 모방한 ‘움직이는 표면’을 개발했다. 이 표면을 의료기기나 해양시설, 선박 등에서 액체에 닿는 부분에 적용하면,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물질표면에 미생물 같은 오염물이 달라붙지 않도록 막는 ‘방오(防汚, Antifouling) 기술’에는 자연모사기법이 자주 이용된다. 매미 날개의 독특한 표면구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미생물을 제거하는 구조를 개발하는 것처럼 자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효과적인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기존에는 주로 생명체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응용하거나 미세구조를 본떴는데, 이 경우 화학물질이 분해되거나 표면이 마모되면 기능을 잃어버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름 형상의 반복적인 변화를 이용하는 기술이 연구되었으나, 이 또한 이미 부착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원천적으로 미생물의 표면 부착을 막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
정훈의-이상준 교수팀은 표면 자체의 특성이 아닌 ‘표면의 움직임’을 모방해 기존 자연모사 방오 기술의 한계를 극복했다. 가오리 지느러미가 파도타기를 하듯 연속적으로 바뀌며 이물질을 털어내는 모습에서 실마리를 얻어 움직이는 방오 표면을 만든 것이다. |
제1저자로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고한길 UNIST 기계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가오리의 경우 지느러미 모양이 변하면서 그 표면에 소용돌이 흐름인 ‘와류’가 형성된다”며 “와류는 오염물질이 지느러미 표면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지느러미 위에는 와류뿐 아니라 다른 힘도 만들어진다. 표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이다. 이 힘은 지느러미 표면을 마치 빗자루로 쓸어내듯 훑어서 오염물질의 부착을 막는다. |
연구팀은 자석에 반응하는 복합소재(Magnetoresponsive composite material)로 만들어진 ‘인공근육’으로 가오리 지느러미의 움직임을 구현했다. 자석(자기장)이 이동하면 자석 위에 있는 인공근육이 수축하도록 만든 것이다. 인공근육이 수축하는 깊이와 주기를 조절해 오염물질의 부착을 최소화하는 조건도 찾아냈다. 공동 제1저자인 박현하 UNIS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새로 개발된 ‘움직이는 방오 표면’은 박테리아로부터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했다”며 “가오리 지느러미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강력한 와류와 전단응력이 유도되어 박테리아가 달라붙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억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정훈의 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움직임을 이용한 기술은 기존의 움직이지 않는 방오 시스템의 구조 및 성능적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라며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오염 방지가 필요한 의료기기나 해양 구조체, 선박 표면 등에 적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11월 30일(토)에 게재됐다. 연구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자연모사혁신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논문명: Undulatory topographical waves for flow-induced foulant sweeping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1. 연구배경 자연계 생물이 가지는 방오(防汚, Antifouling)1) 특성은 ‘생체적합성’과 ‘지속성’이 뛰어나며, 장기적으로 활동하기 좋은 특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존 자연모사 방오 연구들은 주로 자연계 표면의 물질적인 측면이나 정적 구조에 집중했을 뿐, 표면 형상의 변화나 동적인 측면에서는 크게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표면에서 움직임을 생성할 수 있는 ‘자기장 반응 복합 다층 구조’를 제안했다. 개발된 자기 반응 복합 방오 구조는 표면 근처에 와류(渦流, Vortex)2)를 유도해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쓸어내어 박테리아 같은 오염물의 초기 부착을 근본적으로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동적 표면 형상 변화를 보이는 자기장 반응 복합 구조는 화학적 개질 또는 나노 구조 없이도 바이오 필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2. 연구내용 본 연구는 역동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오성 구조 개발에 대한 것으로, 자연계 생물 중 ‘가오리’의 지느러미 움직임에서 영감을 받아 진행됐다. 자기 반응성 복합재(magnetic field-responsive composite)의 동적 표면 형상 변화(dynamic surface topographical change)를 사용해 강한 와류와 높은 전단응력(剪斷應力, Shear stress)3)을 유도하고 이에 기반해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방오성 표면은 피부표면 역할을 하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UA), 인공근육역할을 하는 자기반응성 복합재4) 등으로 구성돼 있다. 자기반응성 복합재는 유연한 고분자와 강자성(자석에 달라붙는 성질)을 띠는 카르보닐철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 외부자기장에 반응한다. 이번에 개발된 방오구조에서는 자기장에 반응해 인공근육의 수축이 일어나는데, 이 수축된 형상이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유체의 흐름(유동, 流動)이 발생된다. 이 때 발생되는 유동은 와도(vorticity,와류의 크기)와 전단응력(shear stress)을 동시에 가지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와도와 전단응력은 방오(anti-fouling)효과를 증대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연구팀은 입자영상유속계(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5), 유한요소법(FEA)6)등을 이용해, 방오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움직임을 고안했다. 그 결과 동적 방오 표면의 변형 깊이(H)와 주기(T)의 조절을 통해 표면의 유동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와도(vorticity)와 전단응력(shear stress)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박테리아의 움직임을 추적해 형상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유동의 표면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공 근육층 수축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강력한 와류와 전단응력이 박테리아가 표면으로 접근하는 것 자체를 차단해 우수한 오염 방지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한 요소분석법(FEA)을 통해 자기장-구조 변형-유동 발생-유체 내 오염물질 거동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결과와도 일치 했다.
3. 기대효과 해당 연구는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오염 방지가 필요한 의료기기나 해양 구조체, 선박 표면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형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자기장 기반 작동을 사용했으나, 외부의 유체 흐름 또는 기타 환경적인 힘을 이용해 표면 변화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런 수동적 메커니즘을 활용하면 더 넓은 범위로 적용 가능한 동적 방오 표면을 고안할 수 있다. |
[붙임] 용어설명 |
1. 방오(Anti-biofouling) 오염 방지의 약자로 박테리아를 비롯한 미생물과 미생물로 이뤄진 얇은 막(생물막)이 표면에 붙지 못하게 하는 것. 2. 와류(Vortex) 유체의 회전운동에 의해 주류와 반대 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흐름. 본 연구에서 와류는 표면에 대한 오염물질 접근을 방해하는 방오 기능의 주요 요소로 분류됨. 3. 전단응력(Shear stress) 표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한 응력. 본 연구에서는 방오 표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힘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함. 4. 자기반응성 복합재(Magnetoresponsive composite) 자기장에 의해 변형되도록 제작한 소재로, 강자기성 미세 입자와 유연 탄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음. 5. 입자 영상 유속계(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 광학 원리를 이용해 유동장 내부 흐름 패턴을 시각화해 여러 지점에서 흐름 속도를 동시에 계측하는 유동가시화 실험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설계된 방오 구조의 표면 형상 변화에 따른 주변 유동 관측을 위해 사용함. 6. 유한요소법(FEA, Finite element analysis) 해석 대상을 유한한 숫자의 ‘요소’로 분할해 각 영역에 관한 계산을 해나가는 시뮬레이션 기법. 본 연구에서는 자기장-구조 변형-유동 발생-유체 내 오염물질 거동을 복합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사용함. |
[붙임] 그림설명 |
그림1. 가오리 모사 동적 방오 구조와 작동 원리. (좌측상단) 가오리의 지느러미 움직임 이미지, 지느러미 단면 조직 확대 이미지(빨강: 근육, 파랑: 콜라겐과 뼈), 오른쪽 상단은 지느러미 표면상의 나노 구조 SEM 이미지. (우측상단) 가오리 지느러미 움직임에 따른 주변부 와류 형성. (좌측하단) 방오성 다층 복합 구조(움직이는 표면)의 단면 확대 사진. (우측하단) (i) 외부 자기장 이동에 따른 동적 표면 변화 전달 개념도 및 (ii) 동적 표면 변화에 의한 오염물질 접근 방지 개념도. |
그림2. 다층 복합 구조의 동적 표면 형상 변화 단면 연속 촬영. (A) 구형(spherical) 자석 이동에 따른 동적 표면 형상 변화 흑백 촬영 이미지. (B) 형광 염색된 동적 표면 형상 변화 촬영 이미지.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