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단백질 덩어리인 효소의 활성이 내부 금속이온의 종류별로 달라지는 원인이 밝혀졌다. 효소 속에 미량 포함된 금속이온이 결합의 입체적 구조를 바꿔 효소 활성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로 효소의 활성도를 조절하는 방식의 신약 개발이나 금속이온과 단백질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연구에 큰 진전이 기대된다. |
*금속보조인자: 효소 속에 미량 포함돼 효소의 작용을 조절하는 금속. 보통 이온상태로 존재한다.
|
UNIST(총장 이용훈) 물리학과의 김철민·김채운 교수 연구팀은 탄산탈수효소 활성부위의 3차원 구조변화를 추적해 효소 속 금속이온(금속 보조인자)이 효소 반응을 조절하는 새로운 매커니즘을 제시했다. 탈산탈수효소는 이산화탄소(반응물)를 혈액에 잘 녹는 탄산형태(생성물)로 바꾸는 것을 돕는 효소다. 자연 상태에서 이 효소는 아연 이온(Zn2+)을 포함하고 있다. 이 아연 이온을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 다른 금속이온으로 바꾸면 효소의 성능(활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번 연구로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됐다. 김채운 교수는 “효소 내에 미량 포함된 금속 이온이 광범위하고 섬세한 작용을 통해 효소 활동을 총괄하는 지휘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금속 이온 주위의 ‘입체적 기하구조’(배위결합 기하구조)가 효소의 활성 정도를 결정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입체적 구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효소 활성을 조절한다. 하나는 입체적 구조가 반응물(이산화탄소)이 효소에 달라붙고 생성물(탄산)이 효소에서 떨어지는 비율(속도)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반응물이 효소 활성 부위 잘 달라붙고 생성물은 잘 떨어져야 효소의 활성이 높다. 또 입체구조가 주변 물 분자의 구조와 배치를 섬세하게 조절하는 방식으로도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효소 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는 반응물을 생성물로 바꾸는 반응에 직접 참여하거나 반응물과 생성물이 지나다니는 통로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
*탈산탄수효소(Carbonic anhydrase): 이산화탄소를 탄산(중탄산이온과 수소이온)으로 바꾸는 반응을 돕는 촉매. 세포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혈액 녹을 수 있는 탄산형태로 바꿔준다. 또 혈액산성도와 체액의 양 등을 조절한다. 탄산탄수 효소 작용 이상으로 산성혈증, 골석화증, 녹내장(체액 과다)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있다.
|
연구팀은 ‘고압력 급속 냉각 기법’을 이용해 효소 반응이 일어나는 짧은 순간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 기법은 김채운 교수팀이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방식이다. 효소에 이산화탄소(반응물) 기체를 주입한 뒤 급격히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반응 순간을 포착한다. 연구팀은 4종류의 금속이온을 갖는 효소, 금속이온이 없는 효소 결정을 이 기법으로 제조하고, X-선 결정학 기법으로 분석해 위와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제1저자인 김진균 자연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효소 반응의 중간단계를 포착하기 위한 수년 간의 집요한 노력의 결과물"이라고 전했다 |
김철민 교수는 “금속이온의 역할을 ‘루이스 산’(Lewis acid)으로 한정하면, ‘원자가 전자수’가 동일한 구리 이온(Cu2+), 코발트 이온(Co2+) 등을 보조인자로 사용했을 때 효소 활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금속 보조인자의 또 다른 역할을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
*루이스산(Lewis acid): 화학반응에서 전자쌍을 받는 수용체. 탈산탈수효소 내 아연은 2가 양이온 상태(Zn2+)로 존재한다. 때문에 극성분자인 물 분자의 산소로부터 전자쌍을 받는다. 이로 인해 물 분자가 수소이온(H+, 양성자)과 수산화이온(OH-)으로 분리된다. 수산화이온은 이산화탄소를 중탄산이온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9월 11일자로 발표됐다. 논문명: Elucidating the role of metal ions in carbonic anhydrase catalysis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1. 연구배경 탄산탈수효소는 활성 부위에 아연 이온을 금속 보조인자1)로 갖는 금속 단백질로, 물에 잘 녹지 않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잘 녹는 탄산의 형태로 바꾸는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이 효소는 비교적 구조가 단순해 활성 부위(반응이 일어나는 부위)2)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됐다. 또 금속 보조인자별로 다양한 값의 (각각 100%, ~50%, 2%, 0%) 효소 활성을 보이기 때문에 모델 단백질로 적합하다. 이뿐만 아니라 몸속 세포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혈액에 녹여 폐까지 전달하고 혈액의 산성도를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생리·의학적으로도 연구가치가 높다. 2. 연구내용 연구팀 아연, 코발트, 니켈, 구리 이온을 금속 보조인자로 갖는 탄산탈수효소와 금속 보조인자가 없는 상태의 주효소(apoenzyme, 단백질로 구성된 부분)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탄산탈수 효소(단백질) 결정을 만들었다. 이를 위해 김채운 교수팀이 자체 개발한 고압력 급속냉각법 (high-pressure cryocooling method)를 이용했다. 이렇게 준비한 탄산탈수효소 결정을 X-선 결정학 기법을 이용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금속 보조인자에 따라 해당 금속 보조인자를 착이온(complex ion)으로 하는 배위결합의 기하구조3)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기하구조가 사면체인 경우 기질(반응물)인 이산화탄소가 포착되고, 팔면체인 경우 생성물인 탄산이온이 포착(생성물 제거 지연 의미)되고 두 개의 삼각뿔이 대칭을 이루는 경우 기질과 생성물 어느 쪽도 포착되지 않는 등, 이제껏 예상하지 못했던 현상을 관측했다. 이를 통하여 탄산탈수효소의 활성 도중에 활성부위에 나타나는 반응의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금속단백질의 금속 이온이 루이스 산(Lewis acid)4)으로써의 역할만 한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적정한 금속 이온의 존재가 배위결합의 기하구조를 안정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기대효과 금속단백질의 활성부위에서 나타나는 화학반응의 동역학을 높은 시공간적 분해능을 써서 밝혀낸 본 연구의 결과는 촉매작용에 있어 금속 보조인자의 역할에 대한 보편적이면서도 심도 있는 이해를 증진시켰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의의가 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단백질의 촉매기능의 최적화를 비롯하여 단백질공학, 생명공학 모든 분야에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약물표적의 발굴, 금속유기골격체(metal organic framework) 관련 연구는 물론, 거대분자의 물성과 생리의학적 활성에 대한 이론·계산화학, 시스템생물학 연구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붙임] 용어설명 |
1. 금속 보조인자 효소에 첨가되어 효소의 작용을 돕는 화학적인 금속 물질. 단백질 효소에 붙어 효소가 활성을 나타내도록 도움을 줌. 2. 효소 활성부위 효소의 한 부분으로서 기질(반응물)이 결합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곳. 효소 활성 부위에 반응물이 잘 흡착되고 생성물은 빠르게 제거되는 것이 효소의 촉매 작용 효율을 결정한다. 3. 배위결합의 기하구조 금속이나 배위화합물에서 ‘착이온(complex ion)’에 해당하는 중심 원자를 둘러싸는 가장 가까운 원자들이 이루는 기하구조. 탄산탈산효소의 경우 아연이온이 착이온이 된다. 배위결합은 원자가 전자쌍을 공유하는 공유결합 (일반적 두 원자가 각 원자에 속해 있던 전자를 공유하여 공유 전자쌍을 형성)의 일종으로, 공유하는 전자쌍(전자 2개)이 모두 특정 원소로부터 오는 결합이다. 4. 루이스 산 (Lewis acid) 화학반응에서 전자쌍을 받는 수용체를 일컫는 표현. 탄산탈수효소 내 아연은 2가 양이온 상태로 존재한다. 때문에 극성분자인 물 분자의 산소로부터 전자쌍을 받는 루이스산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물 분자가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으로 분리된다. 수산화이온은 이산화탄소를 중탄산이온으로 바꾸는 직접적 역할을 한다. |
[붙임] 그림설명 |
그림1. 탄산탈수효소의 (A) 3차원 구조와 (B) 활성 부위의 모식도. 아연 이온은 히스티딘 잔기(histidine residues)에 의해 고정돼있다. 소수성 잔기들은 소수성인 이산화탄소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출입 통로(entrance conduit)는 기질(이산화탄소)와 생성물(탄산), 물 분자가 오가는 통로다. 다섯 개의 물 분자들로 안정(고정)되어 있다. 친수성 잔기(hydrophilic residues)는 친수성인 물 분자들이 결합하여 붉은색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양성자 전달(proton transfer) 경로를 만드는 공간이다. |
그림2. 각 조건별 이산화탄소가 가해지기 전과 후 탄산탈수효의 활성 부위의 3차원 구조(배위결합 기하구조). (A) 금속 보조인자가 제거돼 단백질만 남은 경우. 아연 이온을 금속 보조인자와를 갖는 경우와 비슷한 물 분자 배열을 보인다. 이산화탄소가 가해진 경우 기질인 이산화탄소가 포착된다. (C) 자연 상태인 아연(Zn) 이온을 보조인자 갖는 경우. 배위 결합 기하구조가 삼각뿔(tetrahedral) 구조를 보이다. 이산화탄소가 가해진 경우 이산화탄소가 포착된다. (E) 코발트(Co) 이온을 보조인자로 갖는 경우. 기하구조는 삼각뿔(tetrahedral) 구조를 보이지만,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면 배위결합의 기하 구조가 8면체(octahedral)로 바뀌뀐다. 생성물인 탄산이온이 포착된다. (생성물이 탈락 지연) (G) 니켈(Ni) 이온을 보조인자로 갖는 경우. 팔면체(octahedral) 구조를 보이며, 생성물인 탄산이온이 포착된다. (I) 구리(Cu) 이온을 보조인자로 가지는 경우, 삼각쌍뿔(trigonal bipyramidal) 구조를 보이며, 이산화탄소가 가해져도 기질과 생성물 어느 것도 포착되지 않는다.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