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0. 12. 28 (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공위성 가뭄 실시간 감시 기술 개발

UNIST·美 NASA 연구진, 인공위성 측정 토양수분 자료 ‘혼합’ 기술 개발
시공간적 한계 극복해 가뭄 준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Remote Sens. Environ 논문 게재

인공위성 관측 자료와 모델 시뮬레이션 자료를 혼합해 지구 곳곳의 가뭄을 감시(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농작물 작황을 예측하거나 대형 산불 발생을 선제적으로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도시환경공학과 서은교 박사(現 조지메이슨대 연구원)와 이명인 교수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함께 인공위성이 관측하는 토양수분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지구 규모의 대용량 자료를 신속하게 처리해 가뭄을 실시간에 가깝게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가뭄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뭄 정도(토양 수분 부족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과 유럽의 인공위성들은 마이크로 파장대의 전파를 사용해 지표층 최대 5cm 정도의 깊이 까지 토양 속 수분 정보를 알아낸다. 하지만 관측 가능한 수분 정보에 시·공간적인 제약이 있어 쓰임새가 제한적이었다. 관측에 쓰이는 마이크로 파장대의 전파가 식물 생장에 중요한 뿌리층 수 십 cm 깊이까지 도달 할 수 없고, 인공위성이 자전하는 지구의 극궤도를 돌아 관측지역의 공백이 넓기 때문이다.

[연구그림] 자료동화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토양 수분 변수의 성능 비교

연구팀은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토양 수분 정보를 모델 시뮬레이션 자료에 ‘혼합’(자료동화)하는 방식으로 토양 수분 정보의 정확도를 높였다. 모델 시뮬레이션은 강수량, 복사열, 지표온도, 바람 등의 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해 뿌리층을 포함한 지구 전체 토양 수분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 있다. 이 때문에 인공위성에서 직접 관측한 토양 수분 정보와 모델 시뮬레이션 자료를 혼합하면 보다 넓은 범위에서 정확한 토양 수분 정보 생성이 가능하다.

실제 과거 북미 지역에서 발생했던 가뭄 정보를 이용해, 자료 동화 방식으로 생산된 토양 수분 정보와 인공위성 관측 정보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자료동화 방식 생산 정보의 가뭄 모니터링 정확도가 높았다.

제1저자인 서은교 박사는 “자료 동화를 위해 ‘지역 앙상블 변환 칼만 필터링 기술’을 이용했다”며 “이를 통해 정확도 높은 토양 수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최적의 자료 ‘혼합 비율’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뭄은 직접적으로 농작물 피해나 물 부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고, 전 지구적으로 곡물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자연재해다. 게다가 지구온난화로 가뭄 주기가 짧아지고 강도가 심화되고 있어 가뭄 모니터링과 사전 예측이 점차 중요해 지고 있다.

이명인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가뭄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가뭄을 중장기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도 쓰일 수 있을 것” 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원격탐사분야 최고 학술지인 리모트 센싱 오브 인바이론먼트(Remote Sensing of Environment)에 12월 9일자로 온라인 공개돼 출판을 앞두고 있다. 연구 수행은 기상청과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의 '기상·지진씨앗기술개발연구' 지원으로 이뤄졌다. 

논문명: Assimilation of SMAP and ASCAT soil moisture retrievals into the JULES land surface model using the Local Ensemble Transform Kalman Filter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 1228

도시환경공학과: 이명인 교수 (052) 217 2813

  • [연구그림] 자료동화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토양 수분 변수의 성능 비교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날씨를 예측하는 기상모델이나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기후모델과 같은 수치예보시스템에서 지면(land) 초기화 기법(시뮬레이션에 입력하는 초기값을 찾는 것)은 대부분 특점 시점의 관측 자료를 강제력(지면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강수량, 기온, 바람, 복사량)을 이용한 적분값으로 생산한다.

그러나 초기화에 사용되는 지면 자료는 오프라인 실험에서 산출된 토양수분 자료는 관측 강수량 자료의 불확실성, 지면 모수화 오차 등으로 신뢰성 문제가 있다.

최근 인공위성의 마이크로파(microwave) 센서를 이용하여 추출한 토양 수분 자료를 지면 모델에 자료동화1) (Data assimilation)하는 방식의 고도화된 지면자료 생산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위성이 생산하는 자료를 이용하면 전지구적 예측 모형에서 초기장으로 사용되는 초기자료의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일반적 지면 자료는 모든 지역과 시간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위성으로는 이 한계를 극복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연구내용  

이번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위성자료에서 제공되는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여 ‘50km JULES 지면 offline 모델’2)에 EnKF(앙상블 칼만 필터 기반)의 자료동화(assimilation)기법을 통해 지면 재분석 자료를 생산했다.

특히 가용 가능한 여러 위성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자료동화 시스템에서 산출된 토양수분 자료를 검증하고 성능평가 수행했다. 이를 통해 토양 표면의 수분 뿐만 아니라 뿌리층 깊이의 수분 정확도도 자료 동화를 통해 향상 시킬 수 있음 확인했다.

또 자료동화 성능을 진단할 수 있는 assimilation metrics를 이용하여 자료동화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주로 위성자료의 성능이 자료동화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관측의 반영 정도를 나타내는 칼만상수와 자료동화에 사용되는 위성관측자료 개수가 자료동화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3. 기대효과

토양수분 관련된 다양한 위성자료를 사용해 토양수분 자료동화에서 산출된 자료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이번 연구를 통해 예측시스템에서 모의하는 지표면 변수의 예측 성능 향상 기대할 수 있다. 또 개선된 지면자료를 이용하여 폭염, 가뭄과 같은 특이 기상 현상을 대기-지면 상호작용 측면에서 이해하고, 원인 진단을 통한 계절예측시스템 개발3) 및 예측성능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다.

 

[붙임] 용어설명

1. 자료동화 (Data assimilation)

자료동화는 수치모델의 입력자료인 분석장(Analysis field)을 만드는 과정이다. 분석장은 외부강제력에 의해 수치모델에서 생산된 배경장(Background field)과 현재 시간의 관측자료, 그리고 두 자료의 오차를 산출하여 그 비율에 따라 분석장을 생산한다.

2. 50km JULES 지면 offline 모델

지면의 상태를 시뮬레이션 하는 모델의 한 종류. 지면을 한 면이 50km인 바둑판 모양의 격자점 나눠 시뮬레이션 한다. 

3. 계절예측시스템 (Seasonal Forecast System)

계절예측시스템은 대기권, 수권, 지권, 빙권으로 구성되는 기후시스템의 사용하여 계절내 시간규모의 기후변수에 대한 예측을 하는 시스템이다.

 

[붙임] 그림설명

 

 

그림1. 지면자료동화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토양수분 변수의 성능비교: (a) 지면 자료동화를 통해 생산된 표층 토양수분 자료의 성능. (b) 지중(뿌리 근처) 토양수분 자료의 성능. 자료동화를 거친 인공위성 자료의 정확도가 자료동화를 거치지 않은 경우(회색)보다 더 높다.(c) SMAP위성자료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북미지역 토양수분 성능 개선도. (d) ASCAT위성자료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북미지역 토양수분 성능 개선도. 빨간색점이 많을수록 자료 동화를 거친 인공위성 자료의 품질이 우수함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