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1. 3. 2 (화) 새벽 1시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비용 장수명!” 전기차용(EV) 전지 보호 기술 개발!

UNIST 조재필 특훈교수, 신개념‘코발트-보라이드’전극(양극) 코팅 원천 기술 개발
저렴한 상온 코팅으로 상용 양극재 수명·열안정성 극복해… Nature Energy 게재

한 번 충전으로 오래 달리는 전기차 배터리(리튬이온전지) 개발이 탄력을 받게 됐다. 국내연구진이 대용량 전극(양극재)을 보호하는 코팅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신규 코팅물질을 쓴 배터리 셀은 수백회의 충전·방전 이후에도 재료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며, 상용 양극재 대비 약 20%나 향상된 수명을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의 권위 학술지인 Nature Energy에 3월 2일자(현지시각)로 공개됐다.

UNIST (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조재필 특훈교수 연구팀은 배터리 수명을 저해하는 양극재 입자의 미세균열과 화학적 불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코팅기술을 개발했다. 상온에서 입자 표면뿐만 아니라 입자 내부까지 코팅 가능한 혁신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대용량 배터리 양극 소재로 꼽히는 하이니켈 소재는 고용량 발현이 가능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하지만 충·방전이 반복되면서 소재 입자 내부에 미세균열이 생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전해액과의 부반응 때문에 수명이 급격히 감소한다.

*하이니켈소재: 니켈(Ni)함량이 80%이상인 소재. 배터리 양극재는 배터리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데 비싼 코발트 함량은 낮고 니켈함량이 높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현재 생산 중인 모든 소재 표면에 코팅제를 발라 700 °C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방식을 쓰고 있지만, 이는 성능 저하와 공정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림1. 개발된 코팅법이 입자 내부(결정립계)까지 코팅 하는 모식도와 실제 현미경 사진

연구팀은 보호제인 ‘코발트-보라이드 (CoxB)’ 화합물을 양극재 입자 표면뿐만 아니라 입자 내부까지 골고루 침투시킬 수 있는 상온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코발트-보라이드 (CoxB)’ 물질이 하이니켈 양극 구성 성분인 산소와 강한 결합을 이루는 원리로 상온 코팅이 가능하다. 주로 입자 표면에서 시작된 균열이 안으로 파고들어 입자 내부까지 균열이 생기는데, 새로 개발된 코팅법을 쓰면 입자 안팎을 모두 보호 할 수 있어 수명 유지 효과가 뛰어나다.

그림2. 개발된 코팅법을 적용한 양극재를 썼을 경우 배터리 수명 유지 효과

연구진은 코팅제를 쓴 하이니켈 양극재와 상용 인조흑연 소재를 음극재로 쓴 배터리를 제조하고 코팅제의 성능을 평가했다. 실험 결과 500회 충전 및 방전 후에도 기존 용량의 95%에 이르는 성능을 보였으며, 이는 일반 하이니켈계 소재 대비 약 20% 향상된 수명 유지율이다.

제1저자인 윤문수 UNIST 에너지공학과 박사과정생은 “하이니켈계 소재는 45°C 이상의 고온에서 미세 구조 붕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데, 새로 개발한 코팅 법으로 이 문제도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개발된 코팅 물질이 하이니켈 양극소재의 구조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원리와 현상도 이론계산과 원자단위의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규명했다.

지도교수인 조재필 특훈교수는 “현재 상용화된 하이니켈계 양극소재는 습식코팅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있으나, 잠재적으로 이미 등록된 미국특허의 침해 가능성이 아주 크고, 고온 합성이라 생산비용 상승 문제가 있다.” 며 “ 신규 개발된 코팅법을 적용한 양극재 대량 합성공정 개발 시, 기존 코팅 공정 대비 적어도 20% 이상의 비용 절감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美MIT(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쥐 리(Ju Li)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끝)

논문명: Reactive boride infusion stabilizes Ni-rich cath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 1228

에너지화학공학과: 조재필 특훈교수 (052) 217 2910

  • 그림1. 개발된 코팅법이 입자 내부(결정립계)까지 코팅 하는 모식도와 실제 현미경 사진
  • 그림2. 개발된 코팅법을 적용한 양극재를 썼을 경우 배터리 수명 유지 효과
 

[붙임] 연구결과 개요

 1.연구배경

전기자동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한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의 가격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양극소재 분야에서는 비싼 코발트 사용을 최소화하며 높은 용량을 발현하는 하이니켈 소재(Ni 함량 80% 이, NCM)가 차세대 소재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충전/방전 과정 중, 각 하이니켈 소재 단일입자의 비등방성 수축/팽창 및 전해액과의 부반응으로 인해, 이차입자 양극소재 내에 미세균열 (intergranular cracking)이 발생하게 되며, 그 결과, 배터리의 수명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양극소재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핑(새로운 원소를 도입) 및 코팅 (새로운 화합물을 입자 표면에 도입) 공정 등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하이니켈 양극소재의 이차입자 내 미세균열 (intergranular cracking)의 발생 및 전해액과의 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신규 ‘코발트-보라이드 (CoxB)’ 코팅을 개발했다. 또 신규 코팅이 적용된 하이니켈 양극과 상용화 인조흑연 기반 음극을 고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에 도입하여 개선된 수명 성능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상온에서 ‘코발트-보라이드’ 물질을 합성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이니켈계 양극 표면에 고르게 코팅을 하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는 이차입자 뿐만 아니라 이차입자를 구성하는 일차입자 사이의 결정립계 까지 고르게 코팅물질을 도포한다는 점에서 기존에 이차입자 표면만을 코팅하는 기술과는 차별점이 있다.

연구팀은 코팅 과정 중, 환원재를 매개로 합성된 ‘코발트-보라이드’는 양극 표면에서 성장을 하고 계면을 따라 지속적인 화학반응(reactive wetting process)을 통해 결정립계 까지 분포한다는 것 그리고 코팅물질이 반복적인 충전/방전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투과 전자 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제1원리 계산 (First-principle calculations)을 통해 합성된 ‘코발트-보라이드’ 물질과 하이니켈 양극소재의 주성분인 산소가 선택적으로 강한 결합을 형성한다는 것을 규명했으며,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이차입자 표면 뿐만 아니라 결정립계 까지 코팅물질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혔다.

동시에 이 연구를 통하여 코팅소재가 양극 소재의 표면구조 변화 및 산소 탈리 등과 같은 열화현상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규명했다. 연구팀은 In-situ XRD (실시간 X선 회절분석)을 통해 신규 코팅이 도입된 하이니켈 양극소재에서 여전히 비등방성 수축 및 팽창의 원인인 H2-H3 상전이가 충전과정 중에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코팅하지 않은 양극소재에 비해서 미세균열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에 착안해 양극소재-전해액 계면에서 양극으로 부터 산소 탈리 및 표면 구조붕괴에 관여하는 부반응 억제가 미세균열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중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 투과 전자 현미경 및 전기화학 질량 분광계 (Differential Electrochemical Mass Spectrometry, DEMS) 분석이 사용됐다.

신규 코팅소재가 적용된 하이니켈 양극소재는 45°C 고온 수명뿐만 아니라 고용량 배터리의 500회 충전 및 방전 후에도 기존용량의 95%에 준하는 성능을 보였다. 이는 일반 하이니켈계 소재 대비 약 20% 향상된 수명 유지율이다. 연구팀은 고온 뿐만 아니라 500회 충전 및 방전 후에도 일반 하이니켈계 양극 소재 대비, 이차입자의 깨짐현상과 더불어 전이금속 용출현상이 현저히 감소했음을 주사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및 유도 결합 플라즈마 분광 분석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ICP-OES)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이를 통해 신규 코팅물질이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전해질을 비롯한 음극의 성능 열화를 억제하는데 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 적용된 ‘코발트-보라이드’ 코팅물질은 양극소재의 표면 뿐만 아니라 결정립계 까지 도포되어, 소재 내에서 발생하는 미세균열 발생 및 부반응 문제를 효과적으로 보완하였다. 또 배터리의 전극 소재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서,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전해액 및 음극 부식을 크게 개선하였다. 

3. 기대효과

이번에 개발한 ‘코발트-보라이드’ 코팅 기술은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소재에 적용할 경우, 상용화된 양극소재 대비 20% 향상된 수명 유지율이 달성 가능하다. 이 양극소재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자동차 뿐만 ESS 용 리튬이차전지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붙임] 그림설명

 

그림1. 코발트 보라이드 화합물 (CoXB)이 적용된 Ni계 양극소재 미세구조 모식도.

CoXB 코팅물질이 Ni계 양극소재의 이차입자의 최외각 표면을 비롯한 일차 입자간 결정립계에 확산하여 분포함. 일반 Ni계 양극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SEM, 좌), CoXB 코팅물질이 적용된 Ni계 양극 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SEM, 우).

 

그림2. CoXB-NCM 양극을 적용한 셀과 일반 NCM양극을 적용한 셀 성능 비교

음극을 인조흑연으로 채택하고, 양극을 각각 CoXB-NCM 그리고 일반 NCM 으로 적용한 셀의 사이클당 용량 및 (쿨롱)효율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CoXB-NCM/흑연’ 셀은 ‘일반 NCM/흑연’에 비하여, 500사이클 기준 약 20% 가량 향상된 수명 유지율을 보인다. 효율이 ‘일반 NCM/흑연’에 비하여 ‘CoXB-NCM/흑연’에서 높은 수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통해 부반응이 억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