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1. 03. 25 (목)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고효율 배터리 시스템 개발!

UNIST 연구진, 전극 물질 성능 개선으로 13.2% 에너지 효율 기록
리튬이온배터리 고속충전에도 응용가능.... ACS Energy Lett. 표지 선정

버려지는 실내조명(빛)으로 배터리를 충전해 쓰는 에너지 재활용 시대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조명 불빛의 충전 효율을 크게 끌어올린 전극 소재가 새롭게 개발됐기 때문이다.

UNIST(총장 이용훈) 송현곤·권태혁 교수 연구팀은 실내조명을 이용한 에너지 효율을 13.2%까지 끌어올린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이제껏 개발된 광 충전 시스템 중 최고 기록인 11.5%를 훌쩍 뛰어넘는다.

*에너지효율: 외부로부터의 빛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저장했다가,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효율. (=에너지 변환·저장 효율)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과 구분된다.

 

[연구그림] 전기화학적 자극을 통한 결정 정렬 및 입자 크기 향상

연구진은 전극소재인 리튬망간산화물(LiMn2O4)에 리튬 이온을 더 빠르게 집어넣는 방법으로 충전효율을 높였다. 리튬망간산화물에 전기화학적 자극을 줘 입자들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그 크기를 키움으로써, 리튬 이온이 전극에 더 많이, 더 빨리 저장될 수 있도록 했다.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입자의 방향 정렬성과 크기개선이 확인됐다. 특히 입자 하나의 크기가 기존 26 nm(나노미터, 10-9)에서 34 nm로 커졌다.

개발된 광 충전 이차전지 시스템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발전기)와 발전으로 얻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가 합쳐진 시스템이다. 리튬 이온이 배터리 전극에 단위 시간당 더 많이 저장될수록 충전 효율이 높다. 연구진은 이 같은 시스템을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11.5%의 높은 에너지 변환·저장 효율을 기록한 바 있다.

*염료감응 광(태양)전지: 일반적인 실리콘 태양전지 등과 달리 어두운 밝기(저조도) 빛을 통해서도 전기 생산 효율이 높다. 빛이 있을 때만 발전하기 때문에 이를 저장해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식물 잎의 엽록소라는 염료가 빛을 흡수해 전자를 만드는 원리에서 착안한 전지다.

 

[연구그림] 염료감응형 광 충전 배터리의 원리

제1저자인 이명희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박사는 “리튬망간산화물은 일반적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일어나는 반응 외에 리튬이온을 저장하는 또 다른 반응 경로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결정 구조를 정렬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공동 제1저자인 김병만 UNIST 화학과 연구조교수는 “실제로 리튬이온을 추가로 넣는 반응에서는 결정구조가 정육면체 구조(cubic)에서 정방정계 구조(tetragonal)로 바뀌게 된다”며 “충·방전으로 이런 변화가 반복되면서 입자를 정렬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튬이온배터리: 리튬이온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 각종 전자기기나 전기차의 배터리로 쓰이고 있다.

 

한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실내조명 발전은 실리콘 태양전지 등과 달리 어두운 밝기(저조도) 빛으로 전기 생산이 가능하지만, 빛이 없는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시스템이 함께 필요하다.

권태혁 교수는 “실내조명 발전은 조명으로 버려지는 전기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기술일 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과 달리 장소, 날씨, 시간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며 “개발된 일체화된 시스템 사용할 경우 실내조명으로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송현곤 교수는 “간단한 전기화학적 자극만으로도 저장전극 물질의 동역학 성질을 개선해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증가시킨 것이 주효했다”며 “이 물질은 리튬이온배터리의 고속 충전 등에서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의 권위 학술지인 ACS Energy Letters의 표지 논문(supplementary cover)으로 선정돼 출판될 예정이다. 연구 진행은 ㈜한국전력공사(KEPCO)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논문명: Electrochemically Induced Crystallite Alignment of Lithium Manganese Oxide to Improve Lithium Insertion Kinetics for Dye-Sensitized Photorechargeable Batteries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 1228

에너지화학공학부: 이명희 박사 (052) 217 2962

  • [연구그림] 염료감응형 광 충전 배터리의 원리
  • [연구그림] 전기화학적 자극을 통한 결정 정렬 및 입자 크기 향상
  • [연구그림] 결정이 정렬된 전극을 적용한 광충전 배터리와 이차전지(리튬이온전지)의 성능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발전) 동시에 이를 저장하는 광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Photo-rechargeable batteries, PRBs)가 함께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화석연료에 기반한 에너지 생산 기조가 탈 화석연료로 바뀌면서 방대한 에너지를 갖는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디바이스의 연구 역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태양광은 막대한 에너지에도 불구하고 장소나 시간(ex: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빛 입사각에 민감해 시간에 따라 발전효율이 크게 달라짐)의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 반면 실내조명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에너지를 공급해 줄 수 있는데, 이러한 실내조명을 이용한 고효율의 실시간 에너지 하베스팅 및 저장 디바이스 (Dye-sensitized photorechrageable batteries, DSPBs)를 본 연구진이 발표한 바 있다. DSPB의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한 LiMn2O4 (LMO) 저장 물질의 경우, 선행연구를 통해 그 결정이 전기화학적으로 정렬됨을 발견하였고, 이 정렬된 결정을 갖는 LMO가 DSPB의 에너지 변환 및 저장 효율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본 연구로부터 확인하였다.

 

2. 연구내용

리튬망간산화물 스피넬(Lithium manganese oxide spinel)인 LiMn2O4, (LMO)의 리튬 삽입 반응(LiMn2O4 + Li+ + e- → Li2Mn2O4 (L2MO))을 활용하면 이 물질을 염료감응형 광충전 이차전지 (dye-sensitized photorechargeable batteries, DSPBs)의 저장 전극으로 쓸 수 있다. 빛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로 저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LMO 내부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정렬된 결정립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해 결정의 크기를 증가시켰으며, 그 결과 LMO의 동역학적 성질이 개선되어 DSPB의 실내조명을 이용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효율이 13.2%까지 증가됐다. 이는 보고된 최고의 효율이다.

이러한 결정의 정렬은 오직 LMO의 3 VLi/Li+ 반응에 기인하는데, 이 영역의 반응은 리튬이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4 VLi/Li+ 영역의 반응과는 달리 입방정계 (cubic)와 정방정계 (tetragonal) 사이의 결정 구조 변화가 있기에 가능하다.

이때, Mn3+ 이온의 Jahn-Teller 뒤틀림에 의한 3d 오비탈 궤도의 추가 에너지 레벨 분할이 일어나 Mn3+ 이온의 격자 내 움직임이 좀 더 쉬워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한 결정 정렬은 리튬 이온의 LMO 내 삽입 반응을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동일한 충전시간이더라도 더 많은 전자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전체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킨 것이다.

또한, 불안정한 Jahn-Teller 뒤틀림을 동반하는 3V 반응은 LMO 입자에 두세 겹의 그래핀 코팅(LMO@Gn)을 함으로써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3V 반응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LMO@Gn 만이 결정 정렬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3. 기대효과

본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바는 (1) DSPB의 에너지 변환 충전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실내조명을 밝히고 버려지는 에너지의 재사용 효율 증가, (2) LMO 활물질 내로의 리튬이온 삽입 반응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DSPB 뿐만 아니라, LMO의 리튬이차전지 전극으로서의 율속(충방전 속도에 개선에 따른 용량 유지율) 특성 개선이다.

실내조명에서의 높은 효율은 도시 건물 운용에 있어 탈 화석연료 시대를 앞당기고, 신재생에너지 사용 분위기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리튬이차전지로서의 높은 율속 특성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서 요구되는 이차전지의 고속 충전에 대한 발빠른 대응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용어설명

1. 에너지 변환·저장 효율(ηoverall)

외부로부터의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 형태로 저장 후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효율로 정의되며, 아래와 같이 정량적 수식으로 표현된다.

* ηoverall = EdCh / Pin Aactive τCh = QdCh VdCh / Pin Aactive τCh

(EDdCh: 방전에너지, QdCh: 방전량, VdCh: 방전전압, Pin: 빛 세기, Aactive: 광전극 유효면적, τCh: 충전시간)

2. LMO4 VLi/Li+ 반응

LMO에서 리튬이온이 빠져나왔다(탈리)가, 다시 삽입되는 반응으로 Li/Li+ 기준점으로부터 4V(전압) 영역에 자리하며,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리튬이차전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이다.

LiMn3+Mn4+O4 (LMO) ↔ Mn4+Mn4+O4 (MO) + Li+ + e− 

3. LMO3 VLi/Li+ 반응

LMO에 리튬이온이 삽입되었다가, 다시 탈리되는 반응으로 Li/Li+ 기준점으로부터 3V 영역에 자리하며,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결정 구조가 불안하여 (4번. Jahn-Teller 참고) 리튬이차전지에는 보통 사용하지 않는다.

LiMn3+Mn4+O4 (LMO) + Li+ + e− ↔ Li2Mn3+Mn3+O4 (L2MO)

4. Jahn-Teller 뒤틀림

분자 구조 내에서 대칭성이 파괴되어 뒤틀리는 현상으로, 전자적으로 축퇴한 비선형 분자는 불안정해진다. LMO의 경우 3V 반응을 진행하면서 이러한 Jahn-Teller 뒤틀림이 발생한다. 

5. 율속 특성

충전 및 방전 속도를 높임에 따른 배터리의 용량 유지율.

 

[붙임] 그림설명

 

그림 1. 염료감응형 광충전 이차전지 (Dye-sensitized photorechargeable battery, DSPB)의 구조 및 작동 원리. 빨간색 화살표는 빛으로 인해 광전극(PE)에서 전자가 생성되고 저장극(SE)에 저장되는 흐름을, 파란색은 방전시 방전전극(DE)으로의 전자의 흐름을 나타낸다.

 

.

그림 2. 전기화학적 자극을 통한 결정 정렬 및 입자 크기 향상. 결정(입자) 정렬 및 크기 증가로 충전성능이 좋아진다. 입방정계 (cubic)와 정방정계 (tetragonal) 사이의 결정 구조 변화가 있는 3V 반응에서만 결정 정렬이 일어난다.

 

그림 3. 결정이 정렬된 LMO를 사용한 DSPB LIB의 성능. 결정이 정렬된 LMO (L34 및 L34*)를 사용한 경우 실내조명에서의 효율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모든 조명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빛 세기가 약할수록 결정 정렬의 효과가 크다. 또한, LIB(리튬이온배터리)의 율속 특성을 보면, 4VLi/Li+ 반응과 3VLi/Li+ 반응 모두 빠른 속도로 리튬이 삽입되는 상황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