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1. 04. 15 (목)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0 나노미터 광학 소자” 제조 기술 개발.. 나노 공정 기술의 한계 극복!

UNIST 김대식 특훈교수팀, 금속 미세 틈 기반 고효율 광학소자 개발
반도체 초미세 소자 제조 등에도 응용 가능....Adv. Opt. Mater. 논문 게재

나노 공정 기술 개발 속도가 더뎌지고 있다. 나노 공정은 고성능 반도체 칩 개발 등 초정밀 산업을 위한 핵심기술이지만, 초미세 구조 공정 단위가 0에 가까워질수록 기술 개발 속도 또한 한계치에 수렴해 가고 있기 때문이다. 더 이상 초미세 구조로 줄여 나가는 것이 쉽지 않다면, 아예 0부터 구조를 쌓아나가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연구그림]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및 작동 원리

UNIST(총장 이용훈) 물리학과의 김대식 특훈교수와 그 연구팀은 이 같은 발상에서 착안해 0 나노미터(nm, 10-9m)부터 시작하는 초미세 틈 구조(zero gap) 제작 공정을 개발했다. 이 ‘제로 갭 구조’를 잘 휘어지는 기판에 만들면 안테나 등에 쓸 수 있는 초고효율 광학 능동 소자로 작동한다.

연구진이 개발한 제로 갭 구조는 얇은 금속 층으로 이뤄져있다. 기판위에 두 금속 층을 서로 인접하게 쌓을(증착) 경우 경계면에서만 초미세 균열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했다. 같은 금속 물질을 서로 다른 조건에서 기판 위에 쌓았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기판을 휘게 해 당기는 힘(장력)을 가하면 0 나노미터에 가까운 틈새가 생기지만 장력을 제거하면 두 금속 층이 연결된 상태가 된다.

*나노(nano) 공정: 회로 폭을 100㎚(나노미터, 10-9m로 머리카락 하나를 수만 개로 쪼갠 수준임) 이하로 줄여 반도체등을 만드는 공정

 

이처럼 열고 닫을 수 있는 제로 갭(틈) 구조는 전자기파(빛) 투과도가 1에 가까운 ‘on’과 10-5 정도인 ‘off’ 상태를 오가는 능동 광학 소자로 쓸 수 있다. 틈이 열려 있을 땐 축전 효과에 의해 틈 내부에 전기장이 강하게 증폭돼 전자기파가 높은 비율로 투과하지만, 틈이 일부만 닫히더라도 축전 기능이 사라져 투과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이다. 스위칭의 효율을 나타내는 on/off 비율은 무려 105에 달하며, on/off 전환을 무려 10,000번 이상 반복한 이후에도 성능을 그대로 유지했다.

*축전효과: 틈을 사이에 둔 금속층이 마치 전극처럼 작용해 그 사이에서 전하가 쌓이는 현상

 

김대식 특훈교수는 “틈 구조를 이용한 광학소자는 확실한 ‘단락’(on-off)이 존재하는 전기 회로 개념이 적용돼 스위칭 효율이 높다”며 “복잡한 나노 공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소자로 즉각 활용하기에도 수월하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구성 물질을 바꿔 광학신호를 변조하는 경우 물질의 유전율(3~4)과 공기의 유전율(1) 차이가 크지 않아 광학 소자의 효율이 낮았다.

*유전율(유전상수): 외부 전기장에 반응해 물질 내에서 반대 방향의 전기장이 생기는 정도를 나타는 값. 물질 고유 값인 유전상수에 따라 달라진다. 진공의 유전상수는 1이다. 통과하는 물질의 유전율에 따라 빛의 진행 속도가 달라진다.

 

[연구그림]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특성분석

공동연구원인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정지윤 교수는 “마이크로파 및 테라헤르츠 파뿐만 아니라 중·근적외선 영역에서도 매우 효율적인 전자기파 단락이 가능하다”고 설명하며 “5G 및 6G 통신에 활용되는 마이크로파와 테라헤르츠파 제어를 위한 차세대 능동 소자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편, 0 나노미터 광학소자 제작 기술은 반도체 소자 제작에도 쓰일 수 있다. 금속 대신 쉽게 제거(식각) 가능한 고분자 물질 등으로 초미세 틈 구조를 만들고 이 틈 사이에 반도체 물질을 증착하면 1 나노미터 미만의 폭을 가진 소자 제작이 가능하다. 삼성, 인텔, TSMC 등의 반도체 기업의 소자 집적화 기술이 한계에 이른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차세대 기술로 응용 가능하다.

이번 연구는 광학 소자 분야의 세계적인 저널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즈’ (Advanced Optical Materials)에 3월 24일자로 공개됐다. 한국연구재단 (NRF)의 지원을 받아 UNIST와 서울대, 강원대학교의 공동 연구로 수행됐다.

논문명: A transformative metasurface based on zerogap embedded template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 1228

물리학과: 김대식 교수 (052) 217 2037

  • [연구그림]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및 작동 원리
  • [연구그림]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특성분석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나노 공정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수 나노미터(nm, 10-9m), 혹은 그보다 더욱 작은 금속 구조물의 제작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나노 공정의 경우 기기의 분해능에 따른 최소 선폭의 한계가 존재하여 수 나노미터 미만의 패턴을 만드는 것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한편, 금속 박막에 생기는 균열을 이용한 나노 패터닝의 경우 ‘0 나노미터’에서 시작하는 틈 구조이므로 이론적으로 1 나노미터 미만의 패턴 크기를 만들 수 있으나, 원하는 형태와 틈의 너비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금속 박막에 일어나는 균열을 원하는 모양으로 패터닝하고 나아가 틈의 너비를 100 나노미터 이상부터 0 나노미터까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고효율 마이크로파 스위칭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는 휘어지는 기판 위에 두 금속 층을 서로 다른 조건 하에 증착하고, 기판에 장력을 가할 경우 두 금속 층의 접촉면으로만 균열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금속 틈 구조는 너비를 100 에서 0 나노미터로 조절함으로써 투과도를 0.85에서 10-5까지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으며 10,000번 이상 작동 후에도 소자가 망가지지 않는 높은 내구성을 보인다. 

3.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 소개한 제작법은 비싸고 복잡한 공정 장비 없이도 1 나노미터 미만 선폭의 나노구조를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도 높아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틈에 의한 전자기파의 투과 및 차폐는 마이크로파 뿐 아니라 테라헤르츠 및 적외선에서도 매우 효율적인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5G/6G 통신 제어를 위한 차세대 능동 소자로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

[붙임] 연구결과 개요, 용어설명

 

그림 1.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및 작동 원리. (a) 유연한 기판 위 첫 번째 금속 박막 패터닝. (b) 패턴 옆에 두 번째 금속 박막 증착. (c) 장력(당기는 힘)을 가해 틈 구조 생성. 두 금속 층이 성질이 다르므로 균열이 첫 패턴 가장자리에 생성되며, 틈의 너비는 수백 나노미터에서 0 나노미터까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

 

그림 2.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특성분석. (a) 4인치 웨이퍼(wafer) 크기로 제작된 소자의 사진. (b-e) 기판을 구부리거나 (on) 펴주는 (off) 것에 따른 틈 구조의 열림과 닫힘. (f) 제작된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스위칭 특성 (on/off 비율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