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1. 08. 30 (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귀금속 쪼개 쓴 ‘단원자 촉매’ 반응성 조절 가능한 합성법 개발!

UNIST 주상훈 교수팀, 단원자 촉매의 배위구조 조절하는 합성 기술 개발
단원자 촉매로 귀금속 함량 줄일 수 있어·다양한 촉매 개발 응용.. 앙게반테케미 게재

UNIST·KAIST·포항방사광가속기 공동연구팀이 귀금속을 잘게 쪼개 쓸 수 있는 단원자 촉매 합성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단원자 촉매의 반응성 조절이 가능한 합성법이다. 이 합성법은 촉매에 쓰이는 값비싼 귀금속의 함량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촉매 개발에도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 주상훈 교수 연구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KAIST 화학과 김형준 교수팀, 포항방사광가속기의 이국승 박사팀이 참여했다.

단원자 촉매는 금속 원자가 담체(지지체) 표면에 하나씩 흩뿌려진 형태의 촉매이다. 금속 원자 각각을 모두 반응점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같은 중량의 귀금속을 쓰더라도 더 효율적이다.

[연구그림] 배위구조 조절 모식도 및 배위 구조 조절 촉매의 현미경 이미지

하지만 단원자 촉매는 촉매 활성, 선택성과 같은 반응성 조절이 까다롭다. 중심금속을 감싼 분자나 이온인 리간드(ligand) 종류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단원자 촉매의 반응성은 중심 금속과 리간드가 결합해 이루는 배위구조에 매우 민감한 특성이 있다.

주 교수 연구팀은 리간드 종류를 쉽게 바꾸는 단원자 촉매 합성 방법을 개발했다. 촉매 합성 과정에서 금속 전구체(원료)에 남아 있는 리간드를 다른 종류의 리간드로 교환하는 방식이다. 실제 백금족 귀금속인 로듐(Rh)에 결합한 잔여 리간드(CO)를 다른 리간드(NHx)로 교환했을 때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촉매 활성(반응속도)은 최대 30배까지 차이가 났으며, 반응 선택도 또한 3배 차이를 보였다.

[연구그림] 로듐 단원자 촉매의 리간드 조절에 따른 촉매 구조 및 반응성 변화

한편, 단원자 촉매는 리간드로 둘러싸인 금속 전구체를 담체에 고정시킨 뒤, 전구체 리간드를 제거해 합성한다. 기존에는 금속과 담체간 결합을 조절해 배위구조를 바꾸려는 시도가 많았다.

또 이번에 개발된 합성 방법은 리간드를 여러 번 반복해서 교체할 수 있어(가역반응) 조절된 배위 구조를 재조정 할 수도 있다.

제1저자인 김재형 박사는 “원하는 반응성을 얻기 위해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금속 전구체의 잔여 리간드를 바꾸는 새로운 방식으로 배위구조를 원하는 데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이번 연구로 입증했다”며 “다양한 금속 원소와 담체 물질을 이용한 촉매 개발에도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이국승 박사팀은 단원자 촉매의 배위구조 해석 연구를 수행했다. KAIST의 김형준 교수팀은 촉매 반응성 변화의 원인을 이론 계산을 통해 구체적으로 찾아냈다. 이는 배위구조에 따라 촉매와 반응물 중간체간의 흡착 에너지가 변화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상훈 교수는 “미래 화학 기술의 핵심 소재인 단원자 촉매 개발을 위해서는 단원자 촉매만의 독특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로 단원자 촉매의 잔여 리간드가 촉매의 반응 활성과 선택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져 단원자 촉매 개발에 탄력을 받게 됐다”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 분야 권위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에 8월 4일자로 온라인 출판됐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및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논문명: Reversible Ligand Exchange in Atomically Dispersed Catalysts for Modulating the Activity and Selectivity of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 1228

화학과: 주상훈 교수 (052) 217 2522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촉매는 80% 이상의 화학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현대 화학 공정의 핵심 기술이다. 현재 산업에서 이용되는 촉매는 대부분 금속 나노 입자가 담체(금속 촉매 입자를 지지하는 물질)에 담지된 불균일계 촉매이다. 불균일계 촉매는 안정성이 높고 분리 공정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금속 입자의 표면 원자만이 반응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낮은 원자 활용률을 보인다. 불균일계 촉매의 낮은 원자 활용률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를 줄여서 원자 활용률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담체 표면에 금속 원자를 완전히 분산시킨 단원자 촉매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단원자 촉매는 기존의 불균일계 촉매가 갖는 분리의 용이성과 균일계 촉매(촉매의 상이 반응물 및 생성물과 같은 상, ex 액체 촉매+액체 반응물)가 갖는 높은 원자 활용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기존 나노 입자 촉매에서 보이지 못했던 반응성을 나타내어, 촉매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금속 원자를 완전히 분산 시킨다고 해서 항상 좋은 촉매 반응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단원자 촉매의 경우, 금속-담체 간 배위 구조 및 금속의 산화수에 따라 반응성이 크게 변한다. 따라서 단원자 촉매의 반응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배위 구조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이 때문에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를 조절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담체 혹은 담체의 전구체를 조절하여 촉매-담체간 계면을 조절하거나, 열적 활성화 과정의 온도를 변화시켜 반응성이 좋은 배위 구조를 얻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시행착오적 방식으로, 배위 구조의 합리적인 조절이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를 목적에 맞게 설계할 수 있는 합성 방법이 필요하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를 합리적으로 설계하고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금속 원자를 담체에 분산 및 고정시킨 후, 배위자(리간드) 교환 반응을 통해 잔여의 금속 전구체 배위자를 원하는 배위자로 치환시켰다. 가역적인 배위자 교환 반응 덕분에, 반복적인 배위자 변화가 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속종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배위자가 조절된 다양한 구조의 촉매를 얻을 수 있었다.

배위 구조 변화에 따라 중심 금속의 산화수도 조절되었는데 이는 단원자 촉매의 반응성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로 확인되었다. 로듐 단원자 촉매에 CO가 배위되었을 경우, 로듐이 부분적으로 환원된 형태를 띄었다. 반면 NHx가 배위되었을 경우, 로듐이 부분적으로 산화된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산소환원반응에서 CO가 배위된 로듐 단원자 촉매는 NHx가 배위된 촉매에 비해 30배 높은 활성을 보이고 1/3배의 과수 선택도를 보였다. 중심 금속을 이리듐과 백금으로 바꾸었을 때도 같은 경향으로 촉매 반응성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여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단원자 촉매의 일반적인 촉매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3.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는 배위자 교환 반응을 통해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를 조절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여태까지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 조절을 위해서는 금속-담체 간 결합을 조절하려는 시도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식의 틀을 깨고 금속 전구체의 잔여 배위자와의 반응을 통해 구조를 조절함으로써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보여주었다. 이는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 조절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원자 단위에서 촉매의 구조 및 반응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단원자 촉매가 현재 열·전기·광촉매 반응 등 다양한 촉매 반응에서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여러 촉매 반응에 폭 넓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어 단원자 촉매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할 것으로 예상된다.

 

 

[붙임] 그림설명

 

그림1. 단원자 촉매의 배위 구조 조절 모식도(상단)와 배위 구조가 조절된 로듐 단원자 촉매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하단)

 

그림2 로듐 단원자 촉매의 리간드 조절에 따른 촉매 구조 및 반응성 변화. (좌측) X선 흡수 분석을 통해 얻은 로듐의 배위 구조를 변화 보여주는 그래프. (중앙) 금속 전구체의 잔여 리간드 조절 모식도. 리간드 종류(CO, NHx)를 가역적으로 바꿀 수 있다. (우측) 리간드가 조절된 로듐 단원자 촉매의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활성(전류밀도)과 반응선택성 (과수선택도) 그래프. 잔여 리간드 종류에 따라 전류밀도는 최대 30배, 반응선택성은 3배 차이가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