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공개즉시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효율 광촉매 최적화 구조 빛으로 읽어내 설계한다!

UNIST·KAIST 교수진, 1차원 촉매 모텔시스템과 분광분석 기술로 촉매 내 반응 동역학 밝혀
복합 촉매 설계 방향성 제시·수소 생산 광촉매 ,이산화탄소 자원화 촉매 응용...ACS Catal.게재

고효율 수소 발생 광촉매로 알려진 금속-반도체 복합 나노 구조체의 이상적인 구조가 밝혀졌다. 초고속 분광분석 기술을 활용해 자체 디자인한 광촉매 모델시스템을 분석한 덕분이다. 고성능 광촉매 설계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UNIST 화학과 권오훈 교수팀은 KAIST 송현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금속-반도체 복합 나노 구조체(이하 복합 나노 구조체) 내에서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 동역학을 밝혀냈다. 또 이를 기반으로 복합 나노 구조체를 이루는 금속과 반도체간 이상적인 비율 구조를 제시했다.

복합 나노 구조체는 빛을 흡수하는 반도체 나노입자와 우수한 촉매 반응 특성을 지닌 금속 나노입자로 구성된 유망 수소 발생 광촉매이다. 복합체에 빛을 쪼이면 반도체 나노입자에서 전하쌍(전자, 정공)이 만들어지고 음전하인 전자가 금속 나노입자로 이동해 금속 표면에서 물이 수소로 분리되는 촉매 반응이 발생한다. 하지만 복합체 내 복잡한 전하의 이동 동역학 때문에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설계 원리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그림] 분석에 사용된 모델시스템과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공동연구팀은 모델시스템을 디자인하고, 이 안에서 일어나는 전하 이동 경로를 분석해 반응 동역학을 알아냈다. 고안된 모델시스템은 반도체 나노막대 끝 금속 나노입자가 붙어 있는 형태다. 금속 나노입자가 반도체 막대 양 끝단에 모두 붙은 아령 모양, 반도체 막대 한쪽 끝에만 금속 나노입자가 붙은 성냥 모양 모델시스템을 각각 만들어 이를 비교 분석했다. 모델시스템은 KAIST 송현준 교수팀이 만들었다.

두 모델시스템으로 수소발생 실험을 한 결과 수소생산 효율은 금속 나노입자 수보다는 금속 나노입자 대비 반도체 나노막대의 길이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금속 나노입자 하나당 반도체 나노막대의 길이가 15 nm 일 때 가장 효율이 높았다.

모델시스템의 전하 이동 경로 분석에는 권 교수팀의 초고속 분광분석 기술이 쓰였다. 전하의 이동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간접적으로 읽어내는 기술이다.

[연구그림] 복합촉매의 전하이동 모식도와 최적 구조

구체적 원리는 다음과 같다. 빛을 받아 생긴 전하쌍이 반도체 나노막대에 머물 때 반도체 나노막대가 빛을 발산하는데, 이 빛의 수명을 초고속 발광 분광법(Time-resolved emission spectroscopy)으로 관측하면 전하가 반도체 나노막대에서 금속 나노입자로 이동하는 속도를 알 수 있다. 또 초고속 흡광 분광법(Time-resolved absorption spectroscopy)을 통해서는 생성된 전하가 소멸될 때까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들 초고속 분광분석 기술은 수백 펨토초(10-13초)까지 끊어 읽을 수 있는 시간분해능을 갖고 있다.

[연구그림] 이번 연구를 통해 제시한 전하이동 경로

분석 결과, 복합 나노 구조체의 반도체 나노막대 길이가 증가하면 반도체에서 금속으로 이동하는 전하의 속도가 느려졌다. 또 나노 구조체 모양과는 관계없이 금속 나노입자 한 개당 나노막대의 길이가 같을 때 전하 이동 속도가 동일했다. 또 나노 구조체에서 전하가 금속 나노입자에 오래 머무름을 확인했고, 반응속도론을 통해 금속에 갇힌 전하가 광촉매 반응의 핵심 입자임을 밝혀냈다.

제1저자인 박원우 연구원(화학과)은 “전하 이동 경로 분석결과, 반도체 나노막대가 길어지면 전하의 이동 속도가 느려 전하가 반도체 나노막대 내 전하 덫(charge trap)에 갇히는 확률이 커져서 효율이 떨어지고, 짧을 경우에는 반도체 내에서 생성되는 전하의 숫자 자체가 줄어서 효율이 감소한다”며 “이 둘의 상충성 때문에 나노입자 하나당 반도체 나노막대의 길이가 약 15 nm일 때 복합 나노 구조체의 구조가 최적화 된다”고 설명했다.

권오훈 교수는 “체계적으로 고안한 모델시스템을 통해 수소생성 반응의 핵심 요소를 밝혀냈고, 이상적인 광촉매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라며 “수소 생산, 이산화탄소 환원 등의 다양한 광촉매의 최적화된 구조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 것”으로 평했다.

이번 연구는 촉매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ACS 카탈리시스(ACS Catalysis)에 게재되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삼성종합기술원, 사우디 아람코-카이스트 이산화탄소 관리 협력 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논문명: Optimal Length of Hybrid Metal-Semiconductor Nanorods for Photocatalytic Hydrogen Generation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김학찬 팀장, 양윤정 담당 (052) 217 1228

화학과: 권오훈 교수 (052) 217 5424

  • [연구그림] 분석에 사용된 모델시스템과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 [연구그림] 이번 연구를 통해 제시한 전하이동 경로
  • [연구그림] 복합촉매의 전하이동 모식도와 최적 구조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이 대두되며 많은 국가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수소는 높은 에너지 밀도(142 kJ/g)를 지니고, 부산물로 오직 물만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미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아왔다. 수소를 얻기 위한 다양한 생산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특히 무한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로부터 친환경 연료인 수소를 생산하는 광촉매 수소에너지 생산은 가장 이상적인 친환경 방식이다.

여러 광촉매 수소생성 물질 가운데, 금속-반도체 복합 나노 구조체(이하 복합 나노 구조체)를 지닌 광촉매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는 반도체와 촉매 활성을 지닌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우수한 광촉매 효율을 보인다. 하지만 복잡한 전하 이동(charge transfer), 분리(separation), 이완(relaxation) 과정으로 인해 전하의 이동 동역학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복합 나노 구조체의 광촉매 메커니즘을 밝혀 이를 토대로 촉매의 구조 최적화가 필요하다.

2. 연구내용

복합 나노 구조체에서 광촉매 반응은 반도체가 빛을 흡수한 뒤 생성된 전하가 금속 입자 쪽으로 이동을 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순서로 일어난다. 본 연구진은 전하이동 동역학을 관찰하고 광촉매 메커니즘을 정확히 밝히기 위해 1차원 형태의 복합 나노 구조체를 모델시스템으로 삼았다. 이는 반도체 나노막대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 금속 나노입자를 선택적으로 성장시킨 성냥(single-tipped nanorod), 아령(double-tipped nanorod) 형태의 모양을 지닌다(그림 1).

KAIST 연구진은 다양한 길이를 갖는 성냥, 아령 형태의 복합 나노 구조체를 성공적으로 제작하였고, 성냥, 아령형태의 촉매의 나노막대의 길이에 따른 촉매 성능 차이를 측정하였다. 이 때 복합 나노 구조체의 모양과 관계없이 약 15 nm 당 하나의 금속 나노입자를 가지고 있을 때 가장 좋은 촉매 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UNIST 연구진은 초고속 분광 기법을 활용하여 전하의 이동 동역학과 반도체, 금속 내의 전하 이완 동역학 및 촉매 효율 증가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복합 나노 구조체에서의 전하 분리 및 이동 과정은 순식간에 일어난다. 이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수백 펨토초(10-13초) 수준의 시간 분해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진은 여기-탐침(pump-probe) 방식을 도입한 초고속 흡수 분광법과 초고속 발광 분광법을 이용하여 전하의 실시간 동역학을 포착하였다.

연구진은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전하의 이동경로(그림 2A)를 제시하였고, 나노 구조체의 모양 및 길이에 따른 반도체에서 금속으로의 전하의 이동, 갇힘, 이완 등의 속도 상수를 얻어냈다. 그 결과 복합 나노 구조체에서 반도체 나노막대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하이동 속도가 느려짐을 확인하였고 복합 나노 구조체의 모양과는 관계없이 금속 나노입자 한 개당 반도체 나노막대의 길이가 같을 때 전하이동 속도가 동일함을 발견했다(그림 2B). 또한 복합 나노 구조체에서 전하가 금속 나노입자에 오래 머무름을 확인하였고, 반응속도론을 통해 금속에 갇힌 전하가 광촉매 반응의 핵심 입자임을 밝혀냈다.

복합 나노 구조체를 구성하는 반도체 나노막대의 길이가 증가하면 금속 나노입자로 이동하는 전하의 속도가 느려진다. 이 때 전하의 이동속도는 반도체 내 전하 덫(charge trap)에 갇히는 속도와 경쟁 관계에 있으므로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전하가 덫에 갇히는 확률이 증가하게 되어 전하가 금속으로 도달하는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반면에 나노막대의 길이가 길어지면 빛의 흡수량은 증가한다. 따라서 길이가 긴 복합 나노 구조체의 경우 빛을 받은 초기에 생성되는 전하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다. 그러므로 복합 나노 구조체의 길이에 따라 감소하는 전하이동 비율과 증가하는 전하생성 양이 광촉매 효율에 서로 상충적으로 작용하여 나노막대의 길이가 약 15 nm일 때 복합 나노 구조체의 구조가 최적화된다(그림 3).

3. 기대효과

본 공동연구는 1차원 반도체-금속 복합 나노 구조체에서 최적의 반도체 나노막대 길이를 찾았고 광촉매 활성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향후 이상적인 광촉매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광촉매 수소생성부터 이산화탄소 광환원 반응까지 다양한 광촉매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용어설명

1. 전하 이동 (Charge transfer)

두 개 이상의 분자 혹은 물질 내에서 전달되는 전하의 흐름을 뜻한다.

2. 전하 분리 (Charge separation)

두 개 이상의 분자 혹은 물질의 계면에서 광 유도된 음전하와 양전하간의 분리를 뜻한다. 반도체-금속 복합 나노 구조체에서는 반도체에서 빛의 흡수에 의해 만들어진 음전하가 금속 계면으로 이동하여 양전하와 분리되며 분리된 음전하는 금속 나노입자에서 광촉매 반응을 일으킨다.

3. 전하 이완 (Charge relaxation)

광자의 흡수에 의해 유도된 전하가 다시 바닥상태로 이완되는 것을 뜻한다.

4. 여기-탐침 방식 (Pump-probe method)

여기-탐침 방식은 짧은 레이저 펄스를 사용하여 초고속 현상을 측정하는 기법이다. 초고속 분광학, 초고속 현미경학과 같은 초고속 현상을 관측하는 연구에서에서 활용되고 있다. 짧은 펄스폭을 가진 여기 (pump)빔이 시료에 영향을 미치면, 다양한 물리적 현상들이 유발된다. 짧은 펄스폭을 가진 탐침(probe) 빔으로 시료에 유도된 물리적 현상을 포착하게 되는데, 경로 차 생성기를 통해 여기 빔과 탐침 빔 사이의 시간 차이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시간의 함수로 탐침 빔의 신호를 측정하면, 여기 빔으로부터 유도된 물리적 현상의 반응 동역학 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초고속 발광 분광법 (Time-resolved emission spectroscopy)

물질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돌아올 때 방출하는 빛을 시간 단위로 측정하는 기법이다

6. 초고속 흡광 분광법 (Time-resolved absorption spectroscopy)

물질이 빛에 의해 여기가 되었을 때 기존의 바닥상태와는 다른 흡광도를 가지게 된다. 이때 여기상태와 바닥상태와의 흡광도 차이를 시간 단위로 측정하는 기법이다.

 

[붙임] 그림설명

 

그림 1. 분석에 사용된 모델시스템과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전하 이동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1차원 형태의 복합 나노 구조체를 모델시스템으로 사용하였다. 이때 반도체 나노 막대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 금속 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성장시켜 성냥(single-tipped nanorod), 아령(double-tipped nanorod) 형태의 복합 나노 구조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성냥, 아령형태의 복합 나노 구조체의 나노막대의 길이를 조절하였고, 이를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했다.

 

그림 2. 제시한 금속-반도체 복합 나노 구조체 내에서의 전하이동 경로 모식도와 속도상수. 연구진은 초고속 분광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전하의 이동경로(A)를 제시하였고, 복합 나노 구조체의 모양 및 길이에 따른 반도체에서 금속으로의 전하의 이동, 갇힘, 이완 등의 속도 상수(B)를 얻어냈다. 또 구조에 따른 수소 발생 성능도 밝혔다. (C,D)

 

그림 3. 복합 촉매의 전하이동 모식도와 . 1차원 반도체-금속 복합 나노 구조체의 촉매 활성도를 측정하였을 때 금속 나노입자 한 개당 나노막대의 길이가 15 nm 일 때 가장 좋은 촉매 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고속 분광법을 통해 빛에 의해 생겨난 전하의 이동, 분리, 이완 동역학을 확인하였고 최적의 길이의 원인이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전하이동 비율과 증가하는 전하생성 양의 상충적인 현상의 결과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