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일상 속 디자인 혁신 사례 데이터를 활용해 ‘디자인 혁신’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됐다. 디자인 혁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그 정도의 측정 및 평가 방법은 모호했던 기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디자인학과 정연우, 제임스 셀프(James A. Self) 교수 연구팀은 6,269건의 일상적 디자인 데이터를 분석해 디자인 혁신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의미혁신점수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디자인 분야 학술지인 ‘디자인저널(The Design Journal by Routledge)’ 3월호에 게재됐다. 최근 디자인 혁신은 새로운 기술이나 형태와 더불어 의미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정 기능과 제한적 의미만을 지니고 있던 제품에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의미와 기능을 부여해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한가을 연구원은 “단순한 주방용품이었던 와인따개에 발레리나가 춤추는 모습을 접목해 재미를 줄 수 있는 오브제로 그 의미를 더한 알레시(Alessi)의 ‘안나 G(Anna-G)’는 대표적인 디자인 주도 의미 혁신 사례”라며 “이런 혁신을 설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객관적인 평가 방식이 없어 늘 모호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것으로 여겨져 왔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케아 해킹’ 사례에 주목했다. 이케아 해킹은 조립식 가구 제품을 구매해 설명서대로 제작하지 않고, 서로 다른 제품을 조합해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는 행위를 말한다. 최근 이러한 사례를 공유하는 전문 커뮤니티가 생길 정도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들 커뮤니티에 공개된 수많은 제품 해킹 사례는 디자인 혁신 평가의 재료가 됐다. 연구팀은 6,300여개 사례를 수집해 검토했고, 이중 100개의 대표사례를 선정해 의미 변화를 분석 ‧ 평가했다. 이 과정에서 디자인 혁신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5개의 핵심 질문을 구성하고, 그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점수 지표를 도출해냈다. 제임스 셀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일상 속의 디자인 사례가 디자인 혁신을 식별하고 평가하는 객관적 수단으로써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흥미로운 연구”라며 “이번에 개발된 지표는 이론, 학문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제품 디자인이나 마케팅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지난 18일(금) 온라인을 통해 공개됐다. (끝) (논문명: Everyday Design-Driven Innovation: Exploring meaning change in IKEA Hacking) |
|
[붙임] 연구 결과 개요 |
1.연구배경 기술 혁신과 달리 디자인 혁신(Design-Driven Innovation in Meaning)은 새롭고 참신한 제품 상호작용(Interaction), 감성 및 기능 등을 통한 제품 경험의 변화를 의미한다(Norman & Verganti, 2014). 이러한 디자인 중심의 의미 혁신을 설명하기 위한 많은 작업이 진행됐지만, 의미 혁신을 식별하고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인 도구를 제공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때문에 디자인 실무에서 혁신적인 제품 디자인 및 개발에 디자인 연구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 보다 명확한 지침이나 도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져왔다. 2. 연구내용 이번 연구는 두 가지 질문에 대한 탐구를 통해 진행됐다. 첫 번째는 “이케아 해킹(IKEA Hacking) 결과물들을 ‘개념혼합이론(Conceptual Blending Theory)’이라는 렌즈를 통해 ‘디자인 주도 의미혁신(Design-driven Innovation in Meaning)’으로 식별하고 측정할 수 있는가”이고, 두 번째는 “‘일상적 디자인(Everyday Design)’에서 ‘디자인 주도 의미혁신’을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는 수단으로써 ‘개념혼합이론’의 강점과 한계는 무엇인가”이다. 해당 연구는 적극적인 일상적 디자인 활동인 이케아 제품 해킹 사례에 개념혼합이론을 적용해 디자인 혁신을 식별하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총 100건의 이케아 해킹에 대해 개념혼합이론을 적용한 전문 콘텐츠 분석을 실시했고, 그 결과 60건의 의미 변화 사례를 파악했다. 이들 60건에 대해서는 개념혼합이론에서 파생된 5가지 의미 혁신 질문을 바탕으로 한 추가 세부평가를 진행했다. 동시에 이들 사례에 대한 1:1 비교 사용자 평가(User Evaluation)를 진행해 사용자가 느끼는 ‘의미혁신점수(Meaning Innovation Score)’를 도출했다. 이를 통해 전문가 혁신 평가점수와 사용자 혁신 평가 점수를 확보하고 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결론적으로 일상적 디자인의 경우, 이 접근법은 디자인 주도 의미 혁신을 식별하고 평가하는 객관적인 수단으로써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개인적인 편견, 특성, 삶의 경험이 개념적 혼합의 적용과정에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혁신 평가에 필연적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의미 혁신을 평가하기 위한 일상적 디자인의 보다 확장된 시사점에 대한 논의 필요성도 확인했다. 3. 기대효과 이번 연구는 디자인 주도 의미혁신의 일반적 이론을 발전시키고, 특히 디자인 혁신의 학술영역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 개념혼합이론을 기반으로 일상적 디자인 사례의 디자인 혁신을 식별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 이번 연구는 혁신적인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한 디자인 실무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 내용 소개 웹페이지 Everyday Design-Driven Innovation: Exploring meaning change in IKEA Hacking https://autumndesign.wixsite.com/website/%EC%97%B0%EA%B5%AC-%ED%95%9C%EA%B0%80%EC%9D%84?lang=ko |
[붙임] 연구결과 개요, 용어설명 |
1. 디자인 주도 의미 혁신(Design-driven Innovation in meaning) 사람들의 요구(Needs)가 기능(또는 기술) 뿐 아니라 경험(의미)의 형태로도 충족된다는 이론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통해 기존과는 새로운, 또는 확장된 의미의 제품으로 혁신하는 접근방식. 10년 넘게 디자인 회사의 성공사례를 연구한 경영 및 마케팅연구자 Roberto Verganti(2003)가 정의하였다. 2. 일상적 디자인(Everyday Design) 모든 사람이 매일 사용하는 인공물의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일으키는 변형. 개인적 경험, 용도나 환경에 따라 인공물을 변형하는 모든 현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 급히 문을 열어두기 위해 무거운 상자를 문 앞에 두거나, 책을 읽다가 볼펜을 책갈피처럼 사용하는 등의 생활 속 임기응변도 이에 해당한다. 3. 제품해킹(Product Hacking) 대량생산 시스템을 거친 제품(인공물)을 개조대상으로 소비자의 개성이나 사용환경에 맞추어 기성품을 재사용(Re-use), 재조립(Re-manufacture), 재창조(Re-make) 등을 통해 변형시키는 현상 4. 이케아해킹(IKEA Product Hacking) 덴마크 디자인 홈퍼니싱회사 이케아(IKEA)브랜드 제품을 주 재료로 진행하는 제품해킹 |
[붙임] 그림설명 |
그림 1. 개념혼합이론(Blended Theory in Meaning Change) 도식. 그림 2. 연구진이 진행한 이케아 해킹 사례조사 분석표(부분) 그림 3. 연구진이 구성한 5가지 혁신평가 질문 그림 4. 이케아 해킹사례 혁신평가 예시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