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2. 08. 01. (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OLED TV 찍듯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만든다!.. 최고 효율 기록

UNIST 박혜성 교수팀, 진공 박막 증착공정으로 만든 고효율 장수명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개발
전지 효율 저하 없이 수분·열 자극 보호 기능 뛰어난 피막 활용... Energy Environ. Sci 게재

박막증착 공정 방식으로 만든 최고 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나왔다. 이 방식은 전지를 대량생산하는 데 유리한 방식이어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UNIST(총장 이용훈) 박혜성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고효율· 장수명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진공 박막증착 공정으로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진공 박막증착은 원료 물질을 진공 상태서 증발시켜 기판에 얇게 입히는 방식으로 이미 대형 OLED TV 제조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기술이다.

[대표이미지] 보호피막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조

이번에 개발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태양광-전기 변환 효율이 21.4%를 기록했는데, 이는 진공 박막증착 공정으로 제조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 최고 수준이다. 또 전지 전체를 보호물질로 감싸는 봉지막(encapsulation) 공정 없이도 60~70% 습도에서 1,000시간 전지를 작동시켰을 때 초기 효율의 60% 이상을 유지하는 등 뛰어난 내구성을 보였다.

제1저자인 최윤성 연구원은 “페로브카이트 물질 위에 증착된 보호 피막 덕분”이라며 “이 보호 피막은 수분, 열 자극 보호 효과가 탁월하면서도 기존 보호 피막과 달리 전지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바로 위에 얇은 막(passivation layer)을 형성시켜 수분과 열에 약한 페로브스카이트를 보호한다. 하지만 기존에 보호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루델스덴-포퍼’ 구조 피막은 내부 입자 배열이 불규칙해 전기를 만드는 효율을 떨어뜨렸다. 무질서한 입자 배열 때문에 전하 입자(전자)가 전극까지 제대로 흘러 들어가지 못한 것.

연구팀은 내부 원자의 정렬 방향을 맞춘 보호 피막을 합성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증착 과정에서 박막 형성 속도와 같은 공정 변수를 조절하는 기술을 썼다.

이 보호 피막을 입힌 페로브카이트 태양전지는 수분뿐만 아니라 열 내구성 실험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박혜성 교수는 “박막 증착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상용화 가능한 큰 크기로 제작하는 데 매우 유리한 제조방식”이라며 “이 방식으로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이 20%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무척 고무적”이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이어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진공증착 기반의 보호 피막 기술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탠덤 태양전지(실리콘 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전지를 결합한 전지),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발광다이오드, 광센서 등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에너지와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피인용지수: 39.714)’에 6월 21일 자로 온라인 공개돼 정식 출판을 앞두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논문명: A vertically oriented two-dimensional RuddlesdenPopper phase perovskite passivation layer for efficient and stable inverted perovskite solar cells)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김학찬 실장, 양윤정 담당 (052)217-1228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 (052)217-2563

  • [대표이미지] 보호피막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조
  • [연구그림] 보호피막의 수분, 열 보호 기능 검증
  • [연구그림] 새롭게 개발된 보호피막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구조와 그 성능
  • [연구그림] 이번 연구에서 합성한 보호피막의 구조(우단)와 기존 보호피막 또는 피막의 없는 경우 비교
  • [연구진사진](우측부터) 구동환 연구원(제1저자), 최윤성 연구원(제1저자), 김형민 연구원
  • [연구진사진] 박혜성 교수
  • 교수님 프로필
 

[붙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페로브스카이트1) 태양전지는 현재 태양전지 시장의 주를 이루는 실리콘 태양전지와는 다르게 다양한 조성 조합을 통해 광·전기적 특성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얇고 가볍게 제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정 과정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실리콘이 가진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로써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이러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취약점으로 지적되는 수분·열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대한 내구성 개선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 표면에 있는 유·무기 양이온과 할로겐 이온의 공극결함(원래 원자가 있어야 할 자리가 비어있는 결함)과 결정립 경계 간2)에서의 결함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저해하는 주된 요인이다.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을 위해서는 결함제어 연구가 필연적이다. 이를 위한 해결책 중 하나로 페로브스카이트 표면에 보호층(passivation layer)3)을 형성하여 결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성능 저해 요소를 차단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부 환경 요인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2차원 루델스덴–포퍼 구조4)의 보호층을 사용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해당 물질은 배향(정렬 방향)에 따라 전하 수송 성능에 큰 차이를 보이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이를 이용해 태양전지의 안정성과 효율을 동시에 향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팀은 진공증착 기반의 2차원 루델스덴–포퍼 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 보호층을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위에 형성시켜 안정성뿐만이 아니라 효율까지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이번에 합성한 이 루델스덴-포퍼 구조 보호막은 기존 루델스덴-포퍼 구조 보호막과 달리 배향이 통일된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액 기반의 공정 방법(용액공정)으로는 보호층의 배향 제어가 제한적인데, 본 연구팀은 진공증착 공정 도입을 통하여 보호층의 구조적·전기적 특성을 성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원인 역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태양전지 효율을 18.5%에서 21.4%까지 향상했으며, 이로써 진공증착 공정 기반으로 제작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광전변환효율(전지에 도달한 태양광 중 전기로 변환된 비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또한, 봉지막 공정 없이 60%−70%의 상대 습도 조건 및 80 °C의 가열 환경에서 각각 1,000시간과 500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태양전지 성능을 측정한 결과 광전변환효율 감소폭이 크게 개선된 향상된 내구성을 확인했다.

3.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정렬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증착 기반의 페로브스카이트 보호층 기술은 수분·열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성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전하 수송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한 다양한 광전자소자(발광다이오드, 광센서 등)에 적용되어 관련 분야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을 포함한 대부분의 박막이 OLED, 광학코팅, 투명전극 제조 등 기존의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진공증착 기술로 제작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해 보임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업화와 대면적화의 가속화가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용어설명

1.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erovskite solar cell, PSC)

태양광을 흡수해 자유전자를 형성하는 광활성층을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로 사용하는 태양전지를 일컫는다. 현재 태양전지 시장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 공정이 대체적으로 간단하여 낮은 생산비용 및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차세대 태양전지로써 각광받고 있다.

한편, 페로브스카이트는 페로브스카이트라는 천연광물의 결정구조(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양)를 닮은 물질을 총칭하는 말이다. 통상적으로 태양전지에 쓰는 페로브스카이트는 유·무기 양이온과 할로겐 원소로 조합된다. 이 물질 조합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띤다.

2. 결정립계(grain boundary)

결정립(grain)의 경계인 결정 결함. 내부의 원자 배열 상태가 규칙적인 물질을 결정성이 있다, 또는 결정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결정성 물질은 작은 결정 알갱이(grain)들이 뭉쳐진 다결정 구조다. 다결정 물질들은 마치 보도블록에서 블록 사이 틈과 같은 결정립계(grain boundary)가 있다. 이 경계면은 외부자극을 받아 분해되는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어 결정립계 결함으로도 불린다.

3. 보호층(passivation layer)

반도체 소자 혹은 박막 위에 형성되는 피막으로 외부 유해 요인으로부터 소자 혹은 박막을 보호하고 화학 작용이나 부식을 막아 손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4. 2차원 루델스덴포퍼(RuddlesdenPopper) 구조

2차원 층상 구조를 갖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일종으로 2차원의 유사 페로브스카이트 층과 층간의 양이온으로 구성되어있다. 2차원 루델스덴–포퍼 구조는 독특한 구조와 물성을 갖고 있어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차원 물질은 두께가 매우 얇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불완전 화학결합이 없는 안정한 물질을 말한다.

5. 진공증착(vacuum deposition)

진공 상태에서 증착 재료를 증발시켜 증기로 물체 표면에 얇은 막을 입히는 공정을 지칭한다. 주로 전자 부품의 반도체 피막형성에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OLED 제조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붙임] 그림설명

그림1. 보호피막을 포함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a) 모식도 및 (b) 전류-전압 곡선.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 박막 위에 2차원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진공증착 기반의 2차원 보호피막(BABr (V))을 포함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붉은색)에서 가장 우수한 광전변환효율을 보인다. 그래프 상단의 면적이 넓을수록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 많음을 의미한다.

그림2. 2차원 보호층을 포함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결정 구조와 전자 수송 개략도. 페로브스카이트층에서 생성된 자유전자가 구조적 정렬이 잘 이루어진 진공증착 기반의 2차원 보호층(BABr (V))을 통해 원활히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3. 보호 피막의 수분, 열 보호 기능 검증. (a) 수분 노출 (b) 열 노출 환경에서 노출 시간별 정규화된 광전변환효율의 변화. 수분과 열 노출 환경에서 모두 진공증착 기반의 2차원 보호층(BABr (V))을 포함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가장 적은 광전변환효율 감소 폭을 보여 소자 내구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