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2. 09. 12. (월)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용량 배터리 만들 '실리콘 음극재', 추우면 잘 깨진다

이현욱 UNIST 교수팀, 배터리 물질 개발 논문 2편 Nano Letters 게재
∙ 논문① 싱가포르 난양공대 공동, 배터리 음극재인 실리콘의 온도별 팽창 관찰
∙ 논문② 진성환‧로드니 루오프 교수 공동, 액체상 관찰 실시간 TEM 기법 제안

고용량‧고속충전을 향한 배터리 개발에 중요한 논문 2편이 나왔다. 차세대 배터리 후보 물질인 ‘실리콘 연구’와 새로운 배터리 물질을 찾아낼 ‘투과전자현미경(TEM) 기법’에 관한 내용이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논문 2편을 잇달아 발표했다. 차세대 배터리의 음극 소재(음극재)로 꼽히는 ‘실리콘’의 온도별 충‧방전 특성을 분석한 결과와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액체 물질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신기술이다.

온도에 따른 실리콘 충방전 시 특성 관찰

실리콘 특성에 관한 첫 번째 논문은 싱가포르 난양공대의 이석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했으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인력양성사업 프로그램에서 지원했다. (논문명: Temperature-dependent fracture resistance of silicon nanopillars during electrochemical lithiation)

실리콘은 상용화된 음극재인 흑연보다 10배 정도 용량이 크다. 이 덕분에 고용량 배터리 소재의 후보로 손꼽혔지만, 치명적 단점이 있었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팽창하면서 단일 입자와 전자가 파괴된다는 점. 이들이 깨진 표면을 따라 고체 전해질 계면이 형성되면 리튬 이온 전달이 느려진다는 것도 문제다.

이현욱 교수는 “실리콘을 차세대 음극재로 쓰려면 부피 팽창으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라며 “이번 연구에는 온도별로 실리콘 음극재의 부피 팽창과 파괴 거동을 분석해 실리콘의 구조적 안정성 개선안을 찾고자 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방향성이 다른 3종류의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에 전자빔(E-beam)으로 다양한 지름의 실리콘 나노 기둥을 제작했다. 나노 기둥을 중심으로 배터리 셀을 조립했고, 여기에 전기를 충‧방전하며 리튬과 실리콘 웨이퍼의 전기화학반응을 살폈다. 그 결과, 실리콘 웨이퍼의 결정면 방향에 따라 각 나노 기둥은 리튬 충전 후 서로 다른 부피 팽창 거동을 보였다.

제1저자인 염수정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실리콘 결정면의 특징에 따라 각각 둘, 넷, 여섯 방향으로 팽창하는데, 저온이나 상온 이상의 환경에서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며 “높은 온도에서는 부피 팽창의 방향성이 줄어들고, 0이하에서는 팽창 방향성이 증가해 나노 기둥이 쉽게 파괴됐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영하 20℃ 이하의 저온 환경에서 리튬 충‧방전을 거친 실리콘 나노 기둥의 파괴 거동도 분석했다. 그러자 상온에서는 리튬 이온을 두 번 충전해도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300나노미터() 지름의 실리콘 나노 기둥이 저온 환경에서는 100% 파괴됐다.

이현욱 교수는 “이번 연구를 미루어 보면, 겨울철 저온 환경에서 충‧방전 시 실리콘 음극에서는 부피 팽창과 파괴가 나타날 수 있다”며 “저온에서 실리콘 음극의 기계적 거동을 규명하고 파괴를 완화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논문2] Nano Letters 속표지 그림

두 번째 논문은 차세대 배터리 물질을 찾아내는 도구인 TEM 기법의 발전시킨 내용이다. 단결정 그래핀을 이용해 액체 상태의 물질이 움직이는 모습을 원자 단위까지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것. 이 연구는 진성환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와 로드니 루오프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UNIST 특훈교수)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논문명: Using Single-Crystal Graphene to Form Arrays of Nanocapsules Enabling the Observation of Light Elements in Liquid Cel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은 전자빔을 쏘아서 물질을 관찰하는 현미경으로, 광학현미경보다 수천 배가량 높은 배율로 물질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대상이 액체일 경우 증발되지 않도록 높은 진공상태에 둬야 한다. 이 때문에 약 50나노미터(㎚) 두께의 ‘질화 실리콘 막’이나 탄소 원자 하나 두께의 ‘그래핀’을 이용해 액체를 감싸서 내부 물질을 분석해왔다.

그런데 질화 실리콘 막의 두께는 관찰대상을 가리는 수준이라 해상도 높은 이미지를 얻기 어려웠다. 또 그래핀을 사용할 경우 액체를 가두는 부분의 모양과 위치, 크기가 달라져 일정한 조건에서 물질 관찰이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액체 캡슐을 개발했다. 질화 실리콘 막의 원하는 위치에 수백 나노미터 크기로 구멍을 일정하게 뚫은 뒤 단결정 그래핀을 합성해 코팅한 것. 2개의 막 사이에 액체를 두고 겹치면, 액체가 구멍을 덮은 그래핀 두 막을 위아래로 부풀리면서 그래핀 사이에 가둬진다. (그림3 참조)

진성환 교수는 “질화 실리콘 막보다 100배 얇고 3배 이상 강한 단결정 그래핀을 사용해 액체를 가둠으로써 TEM 이미지의 해상도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며 “액체 캡슐의 크기와 위치, 모양을 자유롭게 조절해 동일 액체 조건에서 물질을 여러 차례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새로 개발한 액체 캡슐을 쓰면 전자빔을 투과하는 액체의 두께가 기존보다 훨씬 얇아 가벼운 원소나 고분자, 바이러스 관찰에도 유리할 전망이다. 이현욱 교수는 “그간 관찰하지 못했던 가벼운 화합물의 액상 합성과정과 운동 메커니즘을 명확히 밝혀 배터리 물질 개발에 속도를 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붙임 : 연구결과개요, 용어설명, 그림설명, 연구자 이력사항. (끝)

자료문의

대외협력실: 김학찬 실장, 박태진 담당 (052)217-1231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 (052)217-2593

  • [논문1 연구그림] 실리콘 나노 기둥을 충전하면 부풀고(왼쪽), 방전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오른쪽)
  • [논문1 연구그림] 상온에서 충방전할 때(왼쪽)보다 저온에서 충방전할 때(오른쪽) 실리콘 나노 기둥이 심하게 파괴된다
  • [논문1, 2](교신저자) 이현욱 교수
  • [논문1](제1저자)염수정 연구원
  • [논문2 연구 그림] 질화 실리콘 막에 단결정 그래핀을 코팅해 만든 액체 캡슐의 개념도
  • [논문2] Nano Letters 속표지 그림
  • [논문2](제1저자)이찬희 연구원
  • [논문2](교신저자)진성환 교수
  • [논문2](교신저자)로드니 루오프 교수
  • 교수님 프로필
  • 교수님 프로필
 

[붙임] 연구결과 개요 ①

<논문1 정보>

논문명

Temperature-dependent fracture resistance of silicon nanopillars during electrochemical lithiation

저 자

염수정 박사과정(제1저자/UNIST), 이현욱 교수(교신저자/UNIST)

 
1. 연구배경

실리콘의 단위 무게당 이론 용량은 3,579mAh/g으로 상용화된 흑연 음극보다 10배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덕분에 ‘고에너지밀도 배터리 소재’로 주목받으며 특히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을 위한 차세대 음극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실리콘 음극은 충전 시 약 4배에 달하는 ‘부피 팽창’과 ‘입자 파괴’라는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장기적 관점에서 배터리 수명이나 안정성에 큰 위험 요소가 되므로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실리콘 소재의 충‧방전 시 기계적 거동을 분석한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결정성 실리콘의 비등방성 팽창과 파단점 발생에 따른 파괴 현상에 대한 이해’는 실리콘 단일 입자부터 전극에 이르는 구조적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 조건(−20~40℃)에서 실리콘 나노 기둥의 충‧방전 시 나타나는 팽창 방향성 특성과 파괴 거동을 다루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실리콘의 팽창과 파괴 거동은 구동 온도에 따른 리튬 확산 속도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상온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는 기존 방향성을 가지던 실리콘 나노 기둥의 팽창 특징이 사라져 등방성 팽창을 보이는 것을 확인한 뒤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반도체 소재로 쓰이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에 전자빔 식각 공정을 통해 다양한 직경(200~1900㎚)의 실리콘 나노 기둥을 제작해 진행했다. 실리콘 나노 기둥을 충‧방전 후 팽창 거동을 관찰한 것. 충전을 통해 리튬화된 결정질 실리콘 기둥의 비등방성 팽창 현상은 저온(−20℃)에서 더 우세해지고 고온(40℃)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참고로 각 실리콘 웨이퍼는 <100>, <110>, <111)의 방향성을 가지며, 충전 시 리튬화된 실리콘 기둥은 각각 두 방향, 네 방향, 여섯 방향으로 팽창한다. 팽창 시 표면에서 압축‧인장력 차이로 발생하는 파단점으로부터 실리콘 기둥의 파괴가 일어난다.

특히 결정질 실리콘이 저온에서 리튬화된 경우, 비정질 실리콘의 상태로 진행되는 2차 리튬화 반응 후에도 100% 파괴됐다. 반면 비정질 실리콘을 상온에서 리튬화하면 결정질 실리콘보다 우수한 내파괴성을 보였다. 두 가지 결과는 실리콘 음극의 저온 구동 시 위험성을 입증했다.

3. 연구내용

이번 연구에서는 실리콘 음극 소재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충‧방전 중 일어나는 팽창과 파괴 현상이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뤘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온도에 따른 부피 팽창 경향과 파괴 거동 분석에 따라 저온 구동 환경에서 실리콘 소재를 포함한 전지의 위험성을 입증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 주행해야 하는 전기차의 배터리 소재로서 충‧방전 시 실리콘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림 설명>

그림1. 다양한 결정 방향을 가진 실리콘 나노 기둥의 온도별 비등방성 팽창 경향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결정면 방향은 총 3종(110, 111, 100)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자빔 식각 공정으로 실리콘 웨이퍼상에 다양한 직경의 실리콘 나노 기둥을 제작해 충전(리튬화 반응)시킨 후 관찰했다. 흰색 화살표는 팽창 방향, 노란색 화살표는 충전 시 발생한 파단점이다. <110> 실리콘 나노 기둥의 경우 대각선 두 방향, <111>의 경우 여섯 방향, <100>에서는 네 방향으로 비등방성 팽창하는 경향이 있으며 팽창의 방향성은 고온에서 줄어든다. 저온 환경에서 충전 후 파단점 발생이 두드러진다.


그림2. <111> 방향 실리콘 나노 기둥의 충방전 테스트 및 구조 파괴 분석 결과
(a) 실리콘 웨이퍼‧리튬 금속 파우치셀 충‧방전 테스트 조건. 첫 번째 포메이션 사이클은 상온(RT)에서 진행한 후 두 번째 충전은 각각 다른 온도(상온, 저온:−20℃)에서 진행되었다. 저온 충전시 충분한 리튬화를 유도하기 위해 상온 보다 더 낮은 값의 컷오프 전압을 설정하였다.
(b)-(c) 첫 번째 충‧방전(포메이션) 사이클 전후 <111) 실리콘 나노 기둥 이미지. 충전 후 부피 팽창으로 인해 기존 구조 보다 직경이 더 증가했으나 방전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d)-(e) 상온 및 저온 환경에서 두 번째 충전 후 <111> 실리콘 나노 기둥 이미지. 상온과 다르게 저온 테스트 후에는 나노 기둥의 파괴가 두드러지며 파괴 비율은 그래프(f)에 나타나 있다.
(g) 저온 환경에서 두 번째 충전 후 <111> 실리콘 나노 기둥을 고배율로 관찰한 이미지. 기둥 옆면을 따라 파단점의 관찰이 쉽다.

 

[붙임] 연구결과 개요 ②

<논문2 정보>

논문명

Using Single-Crystal Graphene to Form Arrays of Nanocapsules Enabling the Observation of Light Elements in Liquid Cel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주저자

이찬희 박사과정 (1저자/UNIST), 이현욱 교수 (교신/UNIST), 진성환 연구교수 (교신/UNIST), Rodney S. Ruoff 교수 (교신/IBS, UNIST)

 
1.연구배경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은 소형 액체 컨테이너 (액체 셀)를 사용해 나노 단위의 액체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을 관찰하는 도구로 각광 받았다. 전자현미경의 고진공 상태에서도 액체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액체와 고체/기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호작용 분석에 사용됐다. ‘질화 실리콘 막’과 ‘그래핀 막’을 이용해 액체를 두 막 사이에 가두고 액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질화 실리콘 막의 경우, 막과 액체층이 두꺼워 전자빔 분산이 일어난다. 또 분해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미지 콘트라스트(Contrast)가 좋은 무거운 금속 화합물을 관찰하는 데에 주로 쓰였다. 높은 분해능을 얻고자 그래핀 막을 이용한 액체 셀이 개발되기도 했지만, 액체 셀의 위치와 모양, 크기를 제어하기 어려워 일정한 조건에서 물질을 관찰하기 어려웠다.

2.연구내용

이번 연구에서는 질화 실리콘을 기판으로 사용해, 원하는 위치에 수백 나노미터로 구멍을 일정하게 뚫은 뒤 단결정 그래핀을 코팅했다. ‘단결정 그래핀이 코팅된 질화 실리콘 기판’ 두 개를 액체 사이에 두고 겹치면, 액체가 구멍을 덮은 그래핀 두 막을 위아래로 부풀리면서 그래핀 사이에 갇힌다. (액체 캡슐 형태, 아래 그림3 참조)

이 방식으로 액체를 가두면, 액체 속에 있는 나노 물질(실리콘 나노입자)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단결정 그래핀의 두께는 탄소 원자 하나 정도이기 때문에 액체 셀의 막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탄성이 좋은 특성은 액체 셀을 크게 부풀리지 않아 고진공에서 액체층을 얇게 유지할 수 있었다. 얇은 막과 얇은 액체층은 투과전자현미경의 전자빔 투과를 우수하게 해 고분해능을 얻을 수 있으며, 가벼운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도 원자 단위에서 관찰을 가능하게 했다.

또 이 구조는 질화 실리콘 기판에 원하는 위치와 크기, 모양대로 구멍을 뚫을 수 있고 그 구멍 하나 전체에 개별 액체 셀이 형성되므로 액체 셀의 기하학적 구조도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조절 가능한 특성은 기존 액체 셀 연구와 차별화되는 점이며 앞으로 액체 셀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라 나노 물질의 물리적 거동 특성을 분석할 것으로 기대된다.

3. 기대효과

이번 연구를 통해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액체 셀 구조가 제안됐다. 이 구조는 기존 액체 셀의 문제를 보완하고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새로운 구조는 액체 셀의 두께를 줄여서 중금속 화합물이 아닌 경(輕)원소 화합물의 원자 배열까지 볼 수 있는 고해상도를 구현했다. 또 액체 셀의 기하학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높은 해상력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물질의 현상들, 즉 가벼운 원소들로 이루어진 화합물의 합성, 운동, 반응 메커니즘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생물학의 바이러스, 세포 및 고분자 등 다양한 나노 재료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에 기여할 전망이다.

<그림 설명>

그림3. 이번 연구에 활용된 액체 셀의 구조적 모식도.
액체는 그래핀 두 막 사이에 가두어져 있으며(액체 캡슐 형태), 액체 내부에 실리콘 나노 입자가 유동하고 있다.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실리콘 나노 입자가 물과 기체 사이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운동하는지 정량화했다. 이 구조를 통해 가벼운 원소 화합물의 원자배열을 볼 수 있는 고해상도를 실현했으며 개별 액체 셀의 위치와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림4.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속표지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