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강유전체의 불안정한 구조로 여겨졌던 도메인 벽이 오히려 가장 안정적인 상태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도메인 벽의 유무에 따라 0과 1의 정보를 저장하는 고밀도 반도체 메모리 소자 개발에 길이 열렸다. UNIST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 이준희 교수팀은 강유전체에서 ‘대전된 도메인 벽’이 가장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여겨지는 벌크 영역보다 더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양자역학 기반 계산을 통해 입증했다고 22일 밝혔다. 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해 물질 내부의 분극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다. 이 소재 내부에는 서로 다른 분극 방향이 만나는 경계면인 도메인 벽이 형성되는데, 형성에 필요한 에너지가 높고, 일단 생겨도 쉽게 사라져 불안정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 교수팀은 산화하프늄(HfO₂) 강유전체의 특정 결정 방향에서 형성되는 대전된 도메인 벽(charged domain wall)이 오히려 벌크 영역보다 낮은 총 에너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확인했다. 고체물리학 상식에 반하는 이 같은 현상은 ‘음의 구배 에너지’라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 덕분이다. 분극 방향이 급격히 바뀌는 도메인 벽에서는 보통 구배 에너지가 양의 값을 가져 벽 형성을 방해한다. 하지만 산화하프늄의 경우, 특정 진동 모드에서 이 에너지가 음수로 바뀌며 도메인 벽이 형성되기 쉬운 조건이 만들어졌다. 이처럼 음의 구배 에너지가 대전으로 인해 생긴 정전기 에너지를 일부 상쇄하고, 나머지 에너지는 도핑을 통해 보상하면, 전체적으로는 벌크보다 더 안정적인 도메인 벽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결론이다. 이준희 교수는 “강유전체내 대전된 도메인 벽이 에너지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는 조건을 이론적으로 규명한 연구” 라며 “도메인 벽의 유무를 각각 0과 1의 정보로 저장하는 고밀도 메모리 소자 개발에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UNIST의 파완 쿠마르(Pawan Kumar) 연구원과 딥티 굽타(Dipti Gupta) 연구원이 각각 제1저자와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물리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4월 22일자로 출판됐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논문명: Negative Gradient Energy Facilitates Charged Domain Walls in HfO2)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1.연구배경 강유전체 내부에는 자발적인 분극 방향이 서로 다른 영역들이 존재하며, 이 경계를 ‘도메인 벽(domain wall)’이라고 부른다. 이 구조는 소재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노전자소자나 광전소자 분야에서 유망한 기능 구조로 주목받고 있다. 도메인 벽은 분극 방향이 나란한 경우 중성(neutral) 벽으로 분류되지만, 분극의 수직 성분이 불연속인 경우에는 전하가 축적되는 ‘대전된 도메인 벽(charged domain wall, CDW)’이 형성된다. 이때 벽 중심에 쌓인 전하로 인해 강한 내부 전기장이 생기며, 일반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구조로 간주된다. 최근에는 페로브스카이트(BaTiO₃, PbTiO₃ 등)나 플루오라이트(HfO₂, ZrO₂ 등) 구조의 강유전체에서, 도핑이나 산소 결함, 이온 빈자리 등을 통해 CDW를 일정 부분 안정화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외부적인 보상만으로는 완전한 안정화를 달성하기 어렵고, 이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내재적 보상 메커니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연구내용 연구팀은 산화하프늄(HfO₂) 강유전체에서 대전된 도메인 벽(charged domain wall, CDW)이 벌크보다 더 안정적인 상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양자역학 기반 계산을 통해 규명했다. 도메인 벽에 축적된 결합 전하가 정전기 에너지를 증가시키지만, 벽 내부의 특이한 구조적 성질이 이 에너지를 음의 탄성 에너지로 상쇄해 전체적으로는 에너지 이득이 발생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혔다. CDW는 두 도메인이 마주하는 방식에 따라 head-to-head(HH) 또는 tail-to-tail(TT) 구조로 나뉜다. 이는 분극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극”이나 “–극”이 중심에 마주보는 구조다. HH 구조에서는 양(+)의 분극이 마주보기 때문에 양전하가, TT 구조에서는 음(–)의 분극이 마주보기 때문에 음전하가 도메인 벽에 축적된다. 이렇게 중심에 전하가 몰리면 강한 내부 전기장이 생기며, 일반적으로 도메인 벽이 불안정해지는 원인이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구배에너지가 이러한 에너지적 불안정성을 상쇄할 수 있음을 보였다. 구배 에너지는 도메인 벽이 형성될 때, 분극이 공간적으로 얼마나 급격히 바뀌는지를 나타내는 일종의 탄성 에너지다. 일반적인 강유전체에서는 이 값이 양수이기 때문에 도메인 벽이 생기면 에너지가 증가하게 된다. 마치 휘게 만들수록 더 큰 저항이 생기는 바이올린 줄과 같다. 반면 산화하프늄의 경우, 구배 에너지가 음수가 되어 도메인 벽이 형성될수록 전체 에너지가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자극을 주면 가볍게, 그리고 독립적으로 눌러지는 피아노 건반처럼, 도메인 벽이 외부 조건 없이도 형성되고 안정화될 수 있는 구조임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화하프늄에서 [001]과 [011] 결정 방향으로 형성된 CDW는 벌크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지며, 특히 Nb(나이오비윰)나 Y(이트륨) 같은 원소로 도핑을 통해 도메인 벽 내의 결합 전하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었다. 실제로 HH 구조에서는 Y 도핑, TT 구조에서는 Nb 도핑을 통해 안정화가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이 방식은 기존 실험에서도 구현 가능한 조건이어서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 확인된 CDW 구조 중 하나는 약 1.33 eV의 전자 밴드갭을 갖고 있어, 전자와 정공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광전소자나 신호 검출 소자 등에서 매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특성이다. 3.기대효과 이번 연구는 현재의 강유전체 및 메모리 소자 기술이 가진 주요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기초 과학과 반도체 산업 모두에 중대한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된 도메인 벽을 안정화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성능·저전력 메모리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는 강유전체 재료가 가진 핵심적인 난제를 해결하며, 차세대 전자소자를 혁신하고 새로운 기능성 재료의 발견을 견인할 잠재력을 지닌다. 경제적으로도, 본 연구 결과는 첨단·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메모리 기술에 기여함으로써 빠르게 성장하는 반도체 산업을 뒷받침할 수 있다.
|
[붙임] 용어설명 |
1.강유전체 (Ferroelectrics) 강유전체는 자발적인 전기 분극을 나타내는 물질로, 외부 전기장을 가함으로써 그 분극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자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강자성체의 행동과 유사하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이 제거된 후에도 분극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휘발성 메모리, 커패시터, 압전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2.대전된 도메인 벽 (Charged domain walls) 강유전체에서 대전된 도메인 벽(CDWs)은 서로 다른 분극 방향을 가진 영역(도메인)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로, 도메인 벽을 가로지르는 급격한 분극 변화로 인해 결합 전하를 가지며 국소적인 전기장을 형성한다. CDW는 강유전체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외부 전기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특성 덕분에 비휘발성 메모리 등 다양한 전자 소자에의 응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
[붙임] 그림설명 |
그림2. 구배 에너지와 도메인 벽 방향에 따른 안정성 비교 (a), (b)는 각각 [001] 및 [011] 방향에서의 포논 분산 곡선을 나타낸다. 일부 모드에서 음의 주파수가 관찰되며, 이는 해당 방향으로 도메인 벽이 자발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임을 의미한다. (d)는 도메인 벽의 구조에 따른 구배에너지 비교한 결과다. [011] 방향 도메인 벽이 가장 낮은 에너지를 나타내며, 형성 및 안정화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구조임을 보여준다. 그림2. 구배 에너지와 도메인 벽 방향에 따른 안정성 비교 (a), (b)는 각각 [001] 및 [011] 방향에서의 포논 분산 곡선을 나타낸다. 일부 모드에서 음의 주파수가 관찰되며, 이는 해당 방향으로 도메인 벽이 자발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임을 의미한다. (d)는 도메인 벽의 구조에 따른 구배에너지 비교한 결과다. [011] 방향 도메인 벽이 가장 낮은 에너지를 나타내며, 형성 및 안정화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구조임을 보여준다. 그림 3. [001] 방향 도메인 벽에서 도핑 비율에 따른 분극 분포 변화 (a), (c)는 각각 25% 및 50% 도핑된 도메인 벽 구조를 나타낸다. 도메인 벽 중심에 Y(이트륨) 또는 Nb(나이오븀)를 치환 도핑함으로써 head-to-head(HH), tail-to-tail(TT) 구조에서 축적되는 전하를 보상하는 방식이다. (b), (d)는 해당 구조에서 계산된 분극 성분의 분포를 나타내며, 도핑량이 증가할수록 벽 중심의 전기적 비대칭성이 감소하고, 전체적으로 평탄한 분극 프로파일이 형성됨을 보여준다. 이는 도메인 벽이 더 안정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조건임을 의미한다. 그림 4. 대각선으로 기울어진 [011] 방향 대전된 도메인 벽에서 도핑 비율(25%, 50%)에 따른 분극 분포의 변화. 도메인 벽에서 도핑 비율(25%, 50%)에 따른 분극 분포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도핑 비율이 증가할수록 벽 중심에서의 급격한 분극 변화가 완화되며, 도메인 벽의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
![]()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