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그린수소를 더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생체 에너지 대사 조효소를 이용해 전력 소모를 줄인 기술이다. 만든 수소는 기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곧장 액상 유기물에 저장할 수 있어 수소 생산 비용 뿐만 아니라 저장·운반 비용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송현곤 교수팀은 생체 조효소 FAD를 전극 표면에 입혀 저전압으로 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바로 액상 유기물에 저장할 수 있는 전기화학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백금(Pt) 전극과 팔라듐(Pd) 전극으로 구성돼 있다. 백금 전극에서 포름산(HCOOH)이 산화돼 나온 전자가 반대편 팔라듐 전극의 수소이온(H⁺)과 만나 수소(*H)를 만든다. 이때 만들어진 수소는 팔라듐 금속막을 그대로 통과해, 그 뒤편의 액상 유기물 속에 저장된다. 연구팀은 FAD 조효소를 양쪽 전극에 입혀 반응 효율을 높이고 수소 생산을 위한 전기 소모를 줄였다. 실제 수소 생산·저장 시 시스템의 전압을 측정했을 때 약 0.6V의 낮은 셀 전압을 기록했다. 기존 보다 약 65% 감소한 수치다. 수명도 기존 대비 8배 늘어나 100시간 이상 연속 작동에서도 성능 저하가 없었다. 셀 작동 전압이 높을수록 전력 소모가 많고 수명이 준다. 기체 상태 수소를 액상 유기물에 주입하는 별도 공정이 필요 없는 것도 이 기술의 장점이다. 제 1저자인 이지수 연구원은 “액상 유기물에서 수소를 저장할 때는 기체 상태의 수소(H₂)를 고압으로 주입하거나 반응 조건을 맞추는 추가 공정이 필요한데, 이 기술은 전극에서 발생한 수소를 원자 형태(H)로 바로 액상 유기물에 저장한다”라고 설명했다. 전극에 입혀진 FAD(플라빈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는 원래 세포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 분자(ATP) 생산을 돕는 조효소다. 전자와 양성자(H⁺, 수소이온)를 모두 옮길 수 특성이 있다. 개발된 시스템에서 이 조효소가 양쪽 전극에 필요한 맞춤형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다. 이 조효소는 수소가 팔라듐 전극 쪽에서는 수소 이온이 전극 표면에 더 잘 달라붙게 유도한다. 반면 백금 전극에서는 수소 중간체를 전극 표면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표면에 수소 중간체가 남아 있으면 포름산이 접근하지 못해 반응이 지연된다. 수소가 나오는 쪽은 팔라듐 전극이지만, 백금 전극에서의 반응도 활성화돼야 전체 시스템의 전력 소모가 줄어든다. 송현곤 교수는 “생체 분자가 가진 전자·양성자 운반 특성을 전기화학 시스템에 접목해, 수소 생산과 저장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됐다”며 “고압 용기 없이 수소를 저장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수소 활용 기술의 토대를 마련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응용 촉매 B: 환경과 에너지(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and Energy)’ 에 7월 2일자로 온라인에 게재됐다. 연구 수행은 UNIST 하이드로 스튜디오(hydro*studio)의 이노코어(InnoCore) 프로그램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받았다. (논문명: FAD-mediated modulation of hydrogen adsorbates for low-voltage hydrogen production and hydrocarbon hydrogenation)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1.연구배경 현대 사회의 탄소중립 달성과 에너지 전환을 위해선 고효율의 친환경 에너지 기술 확보가 필수다. 그중 수소는 연소 없이도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차세대 에너지 캐리어’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물 전기분해 방식은 높은 전압과 귀금속 촉매 의존도, 그리고 생산된 수소의 저장 문제 등 여러 한계를 안고 있다. 특히 물 속 산소를 발생시키는 반응(OER)은 이론적으로 1.23V 이상의 전압이 필요해, 셀 전압을 낮추더라도 1V 이하로는 작동이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OER 대신 열역학적으로 더 유리한 포름산 산화 반응 등 유기 산화 반응을 활용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반응 중 생성되는 일산화탄소 중간체가 귀금속 표면을 막아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생성된 수소는 보통 고압이나 액화 상태로 저장해야 해, 관련 인프라와 안전성 확보가 추가로 요구된다. 연구팀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생체 내 ‘프로톤 결합 전자 이동(PCET)’에 관여하는 조절자 분자를 촉매 표면에 도입해, 전극 반응 경로를 제어하고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방식으로 저전압·고효율 수소 생산 및 저장 시스템을 제안했다. 2.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생체 대사에 쓰이는 조효소 FAD(플라빈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를 전극 표면에 고정해 전기화학 반응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구현했다. 연구진은 FAD를 백금(Pt)과 팔라듐(Pd) 촉매 표면에 전착하고, 포름산 산화반응(FAOR)과 수소 발생반응(HER)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XPS, EXAFS, EQCM)과 계산(DFT)을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Pt 전극에서는 FAD가 수소 중간체(*H)를 제거해 반응 경로를 정리했으며, FAD-*H 결합 에너지가 기존보다 약 0.96 eV 낮아짐 확인했다. Pd 전극에서는 FAD가 Pd 표면에 전자를 공급해 수소이온(H⁺) 흡착량을 3배 이상 늘렸고, 수소 생성 반응을 효과적으로 촉진했다. 이 시스템은 10 mA/cm²의 전류 밀도에서도 셀 전압은 기존(1.7V) 대비 1.1V 감소한 0.6 V 이하로 유지하며, 100시간 이상(기존 대비 약 8배 연장)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또한, Pd 금속막을 통해 생성된 수소를 액상 유기물(톨루엔) 속에 저장하는 액체유기수소운반체(LOHC) 시스템도 함께 구현해, 수소 생산과 저장을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동시에 가능케 했다. 3.기대효과 본 연구는 기존 OER 대체반응으로 FAOR을 음극 반응을 활용해 수전해 셀 전압을 낮춤으로써 전기 분해 에너지 소비를 대폭 절감하였다. FAD 분자는 *H 흡착·방출 에너지를 제어함으로써 Pt 음극의 FAOR 과전압을 최소화하고 Pd 양극의 수소 생산·저장 과전압을 크게 저감함으로써, 전체 수소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켰다. 이를 통해 저전압·고효율 친환경 수소 생산·저장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차세대 그린 수소 에너지 시스템의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생체모사형 촉매의 설계 원리를 확립하여 LOHC 수소화의 전기화학적 원천 기술 확보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붙임] 용어설명 |
1.액상 유기수소 운반체 (LOHC) 액체 상태의 유기 화합물을 수소 운반체로 사용하여, 수소를 화학 결합 형태로 저장한 후 상온·상압에서 운반하는 기술이다. 기체 상태 수소나 수소 자체를 액화해 운반 저장하는 것보다 안전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2.플라빈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FAD) 세포 내 에너지 생산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생체 조효소. FAD는 2H+ 및 2e-를 얻어서 FADH2로 환원되거나, 역으로 산화될 수 있다. 3.포름산 산화반응(FAOR) 포름산 산화반응은 포름산(HCOOH)이 산화되어 이산화탄소(CO2)와 수소 이온(H+) 및 전자를 생성하는 화학 반응이다. 수전해의 물 산화 반응(OER)보다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다. 4.양성자 결합 전자 전달 (Proton-coupled electron transfer) 한 원자로부터 다른 원자까지 전자와 양성자의 전달을 포함하는 화학반응이다. |
[붙임] 용어설명 |
그림1. 생체 조효소 FAD를 활용한 저전압 수소 생산·저장 원리 (왼쪽) 백금(Pt) 전극에서 포름산(HCOOH)이 산화돼 이산화탄소(CO₂)와 수소이온(H⁺)이 생성되고, FAD가 수소 중간체(*H)를 제거해 전극 표면을 정리한다. 팔라듐(Pd) 전극에서는 FAD가 전자 분포를 조절해 수소이온의 흡착을 촉진하고 수소 발생 반응을 유도한다. (오른쪽) 전체 시스템 구조도. 생성된 수소가 액상 유기물(톨루엔)에 저장되는 과정을 보여줌. 그림2. 계산화학을 통한 FAD의 수소 흡착·탈착 반응 경로 규명 FAD를 전극에 입힌 경우(분홍 실선)는 기존 Pt 전극(분홍 점선)보다 수소 흡착 에너지가 낮아져 포름산 산화시 표면에 불필요하게 남아 있는 *H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좌측 그림). 반면, Pd 전극에서는 FAD가 전자를 공급하여 H+ 흡착을 촉진함으로써 수소 생성·저장 반응을 가속화한다 (우측 그림). |
![]()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