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인 포름산으로 전환하는 생산 시스템이 나왔다. 기존보다 전력 소모를 1/4 수준으로 줄이고, 생산량은 세 배 가까이 늘어난 시스템이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와 에너지화학공학과 권영국·이재성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포름산으로 바꾸는 초저전압 전기화학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산화탄소에 전기를 가해 포름산으로 바꾸면 온실가스를 줄이면서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막대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짝반응인 ‘산소 발생 반응’의 비효율성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로 포름산을 만드는 반응시스템에서는 짝반응을 통해 산소가 나오는데, 이 산소 생산에 전체 전력의 70~90%가 쓰이고 시스템 구동 전압이 2 V(볼트)까지 올라가게 된다. 연구팀은 문제의 산소 발생 짝반응을 포름알데히드 산화(FOR) 짝반응으로 대체한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0.5 V의 낮은 전압에서도 양쪽 전극에서 높은 효율(음극 96.1%, 양극 82.1%)로 포름산을 생산할 수 있다. 시스템 구동 전압이 1/4 수준으로 낮아지면 전력 소모도 그만큼 줄어든다. 또 포름산 총생산 속도는 0.39 mmol/cm²·h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시스템보다 3배 가까이 많은 양이다.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을 짝반응으로 쓰면 짝반응 전극에서도 산소가 아닌 포름산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에 꼭 필요한 구리·은 복합 촉매를 새롭게 개발한 덕분에 이 같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었다.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에 쓰던 기존 촉매의 경우 활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새 촉매를 이용한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은 암모니아, 과산화수소, 수소를 전기 없이 만드는 친환경 자가구동 시스템 개발에도 쓸 수 있다. 실제로 연구진은 이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을 질산염 환원 반응, 산소 환원 반응, 수소 발생 반응과 각각 결합해 암모니아, 과산화수소, 수소를 전기와 오염물질 배출 없이 생산해냈다. 조승호 교수는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의 가장 큰 비효율을 없애고, 한정된 전기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이산화탄소 전환 외에도 다양한 친환경 화학 공정 기술에 쓸 수 있는 만큼 환경 문제와 자원 순환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신소재공학과 김효석 연구원, 장원식 박사, 이진호 박사,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호정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종합화학 분야의 저명 국제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인터내셔널 에디션(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에 10월 1일 자로 온라인 공개됐으며, 표지 논문으로도 선정돼 정식 출판을 앞두고 있다. 연구 수행은 UNIST 이노코어(InnoCORE) 프로그램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논문명: Energy-Efficient Dual Formate Electrosynthesis via Coupled Formaldehyde Oxidation and CO2 Reduction at Ultra-Low Cell Voltage) |
|
|
|
[붙임] 연구결과 개요 |
|
1.연구배경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CO₂RR)은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₂)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및 연료로 전환하는 친환경 기술로, 탄소 저감과 에너지 전환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CO₂RR을 통해 생산되는 물질 중 포름산은 시장 수요와 응용 범위가 넓어 상업성이 높지만, 실용화를 가로막는 큰 한계가 존재한다. 바로 산소 발생 반응(OER)의 비효율성이다. CO₂RR 시스템의 짝반응으로 쓰이는 OER은 반응 속도가 느리고 전위가 높아, 전체 셀 전압을 과도하게 끌어올려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게 만든다. 이에 따라 OER을 대신할 대체 산화 반응을 모색돼왔다. 요소, 암모니아, 하이드라진 등의 저분자 산화 반응은 전압을 낮출 수 있지만 부산물로 저부가가치 물질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알코올을 이용한 산화 반응은 더 낮은 전위에서 작동하지만 여전히 높은 구동 전압이 필요해 에너지 효율이 충분치 않았다. 따라서 낮은 전압에서 작동하며 동시에 부가가치가 높은 생성물을 내는 새로운 산화 반응의 개발이 CO₂RR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로 남아 있었다. 2.연구내용 연구팀은 낮은 전압에서 작동하면서도 수소와 유기산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알데히드 산화 반응(AOR)에 주목했다. 특히 알데히드 중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HCHO)는 가격과 공급 안정성이 우수하며, 반응 과정에서 촉매를 재활성화할 수 있는 환원력을 지닌다는 점에서 이상적인 반응물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포름알데히 산화를 위한 촉매를 개발했다. 구리 (Cu) 및 은 (Ag)를 주 활성원소로서, 전기화학적 증착 및 환원 과정을 통해 구리 폼 위에 Cu-Ag가 균일하게 섞인 바이메탈 (bimetal) 형태의 고성능의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 (Formaldehyde oxidation reaction, FOR) 촉매를 개발했다. 실시간 라만 분석과 전기화학 측정을 통해, Cu는 반응 시작 전위를 낮추고, Ag는 포름알데히드의 흡착을 촉진한다는 역할 분담을 규명했다. 두 금속의 시너지 효과로 촉매는 0.1~0.5 V_RHE의 낮은 전위에서 94.4%의 페러데이 효율과 7.52 mmol h⁻¹ cm⁻²의 생산 속도를 달성했다. 또한 반응 중 포름산 축적이 촉매 표면의 흡착을 방해해 비활성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최초로 보고했다. 이 촉매를 기반으로 연구팀은 양극에서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FOR), 음극에서 CO₂RR이 동시에 일어나는 새로운 전기화학 시스템을 구축했다. BiOCl 나노시트 촉매를 음극에, Cu–Ag 촉매를 양극에 적용한 결과, 0.5 V의 낮은 전압에서 음극 96.1%, 양극 82.1%의 효율로 포름산이 생성됐으며, 총 생산 속도 0.39 mmol h⁻¹ cm⁻²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OER 기반 시스템 대비 1.5 V 이상 낮은 전압으로, 에너지 효율과 생산성이 대폭 향상된 결과다. 마지막으로, 연구팀은 FOR의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해 이를 수소 발생 반응(HER), 질산염 환원 반응(NO₃RR), 산소 환원 반응(ORR)과 결합해, 외부 전원 없이 수소, 암모니아,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자가구동형 전기화학 시스템도 제시했다. 3.기대효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CO2RR와 FOR를 결합한 고효율 전기화학 시스템은 초저전압에서도 양극과 음극 양측에서 저부가가치의 환경오염 주요 물질들인 이산화탄소와 포름알데히드를 고부가가치 물질의 포름산으로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 탄소중립형 에너지 솔루션을 제시하는 사례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전기화학적 촉매 합성 기술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FOR 뿐만 아니라 다른 전기화학적 촉매 반응을 위한 고효율 촉매 합성 전략에 활용될 수 있어, 촉매 연구 분야의 학문적 및 산업적 확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FOR을 다재다능한 음극 반응으로 확립함으로써 고부가가치 화합물합성과 전기 생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다목적 시스템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환경 문제 해결과 자원 순환에 기여하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공정의 산업적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 |
|
[붙임] 용어설명 |
|
1.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CO2RR) 외부 전기에너지를 통해 전자를 받아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 포름산, 메탄, 에틸렌 등과 같은 유용한 탄소 화합물 또는 연료로 전환하는 전기화학적 환원 반응이다. 2.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 (FOR) 외부 전기에너지를 통해 포름알데히드를 고부가가치의 포름산으로 전환하고 동시에 수소를 생산하거나 전기화학 전지의 셀 전압을 낮추는데 활용되는 전기화학적 산화 반응이다. 3.라만 분석 라만 산란(Raman Scattering) 현상을 이용하여 물질의 화학적 구조, 분자 진동, 결정 구조 및 성분을 비파괴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이며, 주로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이라고 불린다. 4. 페러데이 효율 전기화학적 반응에서 전류를 사용해 원하는 반응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일으켰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총 사용된 전기에너지 중 원하는 반응에 쓰인 전기에너지의 비율이다. |
|
[붙임] 그림설명 |
|
그림 1. 이산화탄소를 포름산으로 바꾸는 시스템 비교(상단)과 개발된 촉매의 구조(하단) 산소 발생 반응(OER)을 짝반응으로 사용하는 기존 이산화탄소 전환 시스템(왼쪽)과 포름알데히드 산화 반응(FOR)을 적용한 새 시스템(오른쪽) |
|
UNIST 홍보팀 news@unist.ac.kr TEL : 052)217-1230FAX : 052)2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