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release

2024. 8.2.(월)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값싼 주석염화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UNIST 김동석 교수팀, 장시간 열과 자외선 견디는 고효율 구현
불안정한 산화상태 해결… 주석 전구체 처리로 안정성 향상

저렴한 주석염화물을 사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UNIST(총장 박종래) 탄소중립대학원 김동석 교수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조임현 박사 공동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개선했다. 값싼 주석(IV) 염화물을 주석산화물 위에 반응시켜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였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고효율을 위해서는 전자가 잘 흐를 수 있도록 돕는 박막인 전자수송층의 표면 결함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결함은 태양전지의 효율뿐만 아니라 안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주석 염화물을 물에 녹여 산화물층에 도포했다. 처리 과정에서 형성된 수산화주석이 산화물 주석의 상층부를 완전히 산화시키고, 산이 재결정화를 이뤄내 전자 이동성을 개선했다.

화학용액증착법은 주석산화물층을 형성하는 기술로, 표면에 자연스럽게 결함이 생긴다. 주석이 완전히 산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박막을 형성한 후 결함을 줄이는 처리는 고효율과 장기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핵심 기술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증시험 통과가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전자수송층을 개선해 소자의 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열과 자외선에도 견디는 성능을 입증했다.

김동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주석산화물의 뭉침현상을 억제하고 결정성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며 "이 기술이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지원 연구원과 신윤섭 박사는 “값싼 주석염화물을 사용해 고효율, 고강도, 저비용을 동시에 실현해 에너지 산업에 긍정적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Advanced Energy Materials에 7월 3일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 Post-Treated Polycrystalline SnO2 in Perovskite Solar Cells for High Efficiency and Quasi-Steady-State-IV Stability)

자료문의

대외협력팀: 서진혁 팀장, 권익만 담당 (052)217-1222

탄소중립대학원: 김동석 교수 (052)217-3037

  • [연구그림1] 재결정화에 의해 결정 배향이 일정해진 주석 산화물의 TEM 이미지
  • [연구그림2] 장기 안정성 (25 ℃ 25% RH) 과 열 안정성 (25 ℃) 시험 결과 및 소자의 효율 그래프
  • [연구진 사진]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김동석 교수, 송지원 연구원, 신윤섭 박사, 김민성 연구원, 윤창현 연구원, 이재휘 연구원, 이동민 연구원
 

[붙임] 연구결과 개요, 용어설명, 그림설명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연구배경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대체에너지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기존의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상용화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전자전달층(elelctron transport layer)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화학용액증착법(Chemical bath deposition)은 밀도가 높고 균일한 주석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증착법으로 뛰어난 전자이동도와 안정성이 높은 특성을 가진다. 또한 기존에 쓰이던 티타늄산화물은 광촉매 특성이 높아 계면간의 결함을 유발하는 반면, 주석산화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광촉매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자이동도가 약 250배 가량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석산화물은 필역적으로 생성되는 산소 공공과 표면결함으로 인해 변형이 가해질 때 쉽게 균열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태양전지의 성능저하를 야기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주석산화물 박막 위에 산화상태가 높은 주석을 처리하였고 그를 통해 표면결함을 억제하여 소자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준안정상태의 전압-전류 곡선에서 발생하는 효율 저하를 최소화하였다.

2. 연구내용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주석(IV) 염화물은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수산화기(-OH)결함을 억제하였다. 또한 물과의 반응으로 생긴 수산화주석이 표면과 결합하여 주석산화물 나노입자를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부산물인 염산이 산화물끼리의 입자를 재결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상대적인 다중접합이 표면을 더 부드럽게하고 전자의 이동을 원활히 하였다. 결과적으로 표면처리된 소자는 25.56%(인증효율 24.92%)를 달성했고 65℃의 열안정성 시험에서 1000시간 동안 80%의 초기성능 유지를 기록했다.

3. 기대효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상용화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증시험 통과는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65℃의 열과 자외선에 노출에 장시간 견딤으로써  소자의 인증시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한다. 또한 값싼 주석염화물을 사용함으로써 고효율 고강도 저비용을 동시에 구현하는데 의의가 있다.

[용어설명]
1.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페로브스카이트에서 생선된 전자-정공 쌍이 각각 회로를 통해 나뉘어서 흐르게 된다. 이 중 전자의 흐름에 유리한 물질로 증착된 박막을 뜻한다.

2. 화학용액증착법(chemical bath depositon)

화학 전구체 용액을 사용하거나 고체 표면에 얇거나 두꺼운 필름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기술이다. 비교적 간단하고 복잡한 인프라나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100℃ 이하의 저온에도 안정적이고 일관된 박막 형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3. 산소 공공(oxygen vacancy)

산소 공공 결정 구조에서 산소원자나 이온이 빠져 비어버린 자리를 의미한다. 두 개의 전하를 가진 산소 음이온 하나가 사라지면, 전기적 중성을 맞추기 위해 자유전자가 생성된다.

4. 표면 결함(surface defect)

재료의 표면에서 발생하며 결정 구조의 표면 재구성 또는 산화로 생성된다. 표면 결함은 재료의 기계적, 전기적 및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림설명]

그림1. 재결정화에 의해 결정 배향이 일정해진 주석 산화물의 TEM 이미지

무질서한 비정질 주석 산화물이 재결정화를 이루어 다결정의 산화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2. 장기 안정성 (25 ℃ 25% RH) 과 열 안정성 (25 ℃) 시험 결과 및 소자의 효율 그래프

장기 안정성과 열안정성이 초기 효율 80%의 성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전류-전압 곡선에서 각 17.2%, 25.3%를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