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행동과학자들이 발벗고 나섰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동일 교수팀과 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 심리학과 설선혜 교수팀이 63개국 255명의 국제 연구진과 함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어두운 미래를 강조하는 메시지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 공유에는 효과적이나, 정책 지지나 개인 신념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오히려 나무심기 캠페인 같은 활동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부정적인 메시지가 무력감을 유발해 행동 변화를 방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국제 연구팀은 11가지 심리적 메시지가 대중의 기후 인식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메시지는 기후변화로 인한 어두운 미래, 기후 과학자 의견, 타인의 우려, 미래 세대에 대한 영향 등을 포함했다.
연구팀은 기후변화에 대한 행동 유도가 어려운 과제임을 확인했다. 다른 메시지로도 실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사람들은 다양한 기후 메시지에 다르게 반응했으며, 국가마다 반응도 달랐다.
연구는 기후 위기 대응에 만능 해결책이 없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각 메시지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맥락에서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다. 과학자와 정책 입안자들이 각 청중에게 맞춘 메시지를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동일 교수는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를 이끄는 메시지 전략을 이해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와 정책이 함께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 2월 7일 Science Advances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