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공학과 전정환 교수팀이 지난달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현대자동차그룹 자율주행 챌린지’ 본선에서 3위를 차지했다. 첫 출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성과를 거둔 것이다.
‘FAST(Future Autonomous Systems Team)’팀은 전정환 교수 로보틱스 및 모빌리티 연구실의 이정은(팀장), 김은총, 이성재, 이효재, 허성준, 정희돈 학생들로 구성, 이번 자율주행 챌린지에 참가했다.
현대차 자율주행 대회는 2010년부터 매년 열려온 국내 최대 자율주행 경진대회로, 국내 대학들의 자율주행 기술 연구와 인재 양성을 목표로 개최됐다. 이번 대회는 ‘AI 엔드 투 엔드(End to End, E2E)’ 자율주행 기술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기존 규칙 기반 자율주행 방식과 달리, AI가 주행 데이터를 학습해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로, 글로벌 자율주행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FAST’팀은 2월 예선에서 16개 팀 중 상위 8팀에 올라 본선에 진출했고, 본선은 경기 화성시 K-City와 동일한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이뤄졌다. 도심 연속교차로, 특수상황 대처, 고속도로 주행 등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며 실력을 입증했다.
특히, 6개월 짧은 준비 기간을 거쳐 첫 도전장을 내밀고 3위에 올라 상금 500만 원을 받았다. 자율주행 경진대회 경험은 없었지만, 집중적인 연구와 개발로 단기간에 성과를 이뤘다. 이번 성과는 UNIST 자율주행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현대차그룹은 대회 운영을 위해 참가팀에 개발비 일부와 자율주행 차량 개발용 MORAI 시뮬레이터 플랫폼을 제공했다. 또한, 현대차와 기아차, 42dot 연구원들이 기술 지원으로 협력했다.
전정환 교수는 “소프트웨어와 AI 중심으로 변화한 자율주행 경진대회에 자율주행 차량 보유 없이 첫 출전에서 3위라는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다”며 “앞으로 UNIST 자율주행 기술 연구로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FAST’팀 연구개발은 울산시 지원 ‘UNIST 미래모빌리티연구센터’, 과기부 인공지능대학원 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소상공인 경제생태계 연구센터’, 중기부 그린벤처 프로그램, 그리고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으로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