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가 ‘AI 캠퍼스’로의 전환을 예고했다. AI 기술을 활용한 교육, 연구, 행정 혁신의 변화를 함께 알린 인물은 이세돌 특임교수다.
이세돌 교수는 11일, 4공학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는 인간의 직관과 통찰을 대체할 수 없다”면서도, “AI와 인간의 협력이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낸다”고 강조했다. 이어 “AI 시대 핵심은 AI를 잘 다루는 사람이 아니라, AI와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했다.
그는 알파고와의 대결을 떠올리며, AI는 고정관념에 구애받지 않고 창의성을 발휘한다고 평가했다. 결국 AI와 협업함으로써 편견을 깨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학생들에게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 올해 1학기부터 ‘과학자를 위한 보드게임 제작’ 강의를 맡아, 학생들이 창의력과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
박종래 총장은 “이 교수는 AI와 인간의 협력 관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인물”이라며, “AI로는 불가능한 백캐스팅 전략으로 통찰을 줬기 때문에 창의적인 통찰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캠퍼스 전반에 걸친 AI 기술 접목 계획을 밝혔다. AI 기반 교육 혁신에 나서며 AIX 융합형 인재 양성, 연구 인프라 확충, 행정 혁신 등 다방면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할 방침이다.
이는 국내 대학 중 최초 시도로 특히 AI 융합 교육과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울산 지역 산업체를 대상으로 실무 중심 AI 교육을 통해 지역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전략이다. 올해 상반기부터는 AI 플랫폼 시범 구축과 활성화 프로그램이 시작되며,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AI 활용 교육과 지역 산업체 실무 중심 교육이 제공된다.
또한, AI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강화하고, 자체 AI 시스템인 소형언어모델(sLM)과 자율화 실험실(Autonomous Lab)을 개발·구축해 AI 기반 연구 환경을 확장할 예정이다.
박 총장은 “‘통찰적 AI 사용자’ 양성이 중요하다”며 “최종적으로는 AI 허점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AI 지배자’를 배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1인 1 생성 AI 체계’를 도입해 학생들이 AI를 직접 활용하며 실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UNIST는 창의적 통찰력, 융합적 연결력, 글로벌 리더십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GRIT Growth 플랫폼’을 마련하고 있다. 이세돌 교수는 GRIT 정신을 실천한 인물로, 그의 도전 정신과 통찰력은 Pioneers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