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미래전략원이 16일 오후, 대학본부 경동홀에서 제1회 미래 에너지 혁신 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에는 울산시,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수력원자력, HD현대중공업, 울산대 등 산·학·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환경 변화 속 에너지 산업 전환과 대응을 논의했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재생 확대 과정에서 풀어야 할 난제를 차례로 짚었다. 김강원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정책실장은 전력망 문제를 첫 번째 과제로 지적했다. 호남 지역은 발전소를 새로 세워도 송전망이 이미 포화 상태라 수도권으로 전력을 보내기 어렵다. 송전선 건설은 주민 반대에 막혀 있고, 배터리 저장장치 보급 속도도 더디다고 했다.
전기요금 부담도 우려로 제기됐다. 김 실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를 인용해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가 태양광 MWh당 96.6달러, 해상풍력 161달러로, 원전 53.3달러, 석탄 75.6달러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재생 단가는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급격한 확대는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다.
임한권 교수(탄소중립실증화연구센터장)는 주민 수용성을 세 번째 과제로 꼽았다. 그는 “아일랜드는 AI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면서 전기요금은 오르고, 기대했던 일자리는 늘지 않았다”며 지역사회와의 갈등 가능성을 사례로 들었다. 재생 확대가 주민에게 실질적 이익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 관계자는 햇빛·바람연금, RE100 산업단지 조성 같은 정책을 내놓았다. 주민에게 체감할 수 있는 보상을 제공해야 수용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국제 캠페인이다.
김준범 울산대 화학공학부 교수는 에너지 믹스의 균형을 강조했다. 그는 “몇 년 전 우리나라가 원전을 줄이고 가스발전을 늘렸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가스 가격이 오르며 직격탄을 맞았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변수에 대비하려면 다양한 에너지원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번 포럼은 UNIST가 지역과 산업계를 아우르며 미래 에너지 혁신을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문가들은 전력망, 요금, 주민 수용성이라는 세 가지 과제를 공통적으로 지적했고, 해법은 균형 잡힌 에너지 전략에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한편, U미래전략원은 지난 5월에 출범해 산업 구조 변화와 인구 문제, 기후 위기 등 현안에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설계하는 싱크탱크로서 역할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