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교원 9명이 ‘2025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 연구자(HCR)’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 상위 1% 수준으로 평가받는 연구자로, 서울대에 이어 국내 두 번째 규모다. 지난해보다 2명 증가했다.
클래리베이트(Clarivate)는 현지 시각으로 지난 12일, ‘2025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 HCR)’ 6,868명 명단을 공개했다. 2014년부터 2024년까지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에 등재된 SCI 논문 피인용 수를 기준으로 평가했다. 22개 분야별 영향력과 인용 성과를 종합했다.
올해 국내 HCR 연구자는 총 76명이다. UNIST는 9명을 배출하며 국내 대학 규모 2위로 순위가 상승했다. 젊은 연구자가 다수 포진한 지역 대학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UNIST 선정자는 △로드니 루오프(Ruoff, Rodney S.) 특훈교수 △석상일 초빙특훈교수 △김광수 연구교수 △백종범 특훈교수 △이현욱 교수 △조승우 교수 △양창덕 교수 △정후영 교수 △신태주 교수 등 총 9명이다. 전년도 7명 중 7명이 포함됐고, 올해 백종범 교수 재진입, 신태주 교수 신규 선정이 뒤를 이었다.
HCR 명단에 최장기간 이름을 올린 연구자는 로드니 루오프 특훈교수다. 2014년 첫 발표 이후 12년 연속 포함된 것이다. 재료과학·화학·물리학 경계를 넘나든 연구로 국제적 명성을 굳혔다. 올해는 크로스필드 부문에 새겨졌다.
석상일 초빙특훈교수와 김광수 연구교수도 크로스필드 부문 8년 연속 선정 기록을 이어갔다. 석 교수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 세계적 석학이라면, 김 교수는 기계학습·양자이론 기반 신소재 설계 분야 석학이다. 지속적 성과를 증명하며 경쟁력을 보여줬다.
백종범 특훈교수는 그래핀과 2차원 소재 분야 글로벌 권위자다. 2018년 이후 6년 연속 HCR 반열에 올라 총 7회를 기록했다. 작년 한 해 제외 후 다시 진입했다.
이현욱 교수는 이차전지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전문가다. 크로스필드에서 6년 연속 선정 후, 올해 재료과학 분야에 합류하며 7년 연속 타이틀을 유지했다.
조승우·양창덕·정후영 교수도 크로스필드에서 각각 5년과 4년 연속 자리를 지켰다. 조승우 교수는 유전자 가위 기술 기반 생명공학 성과로 평가받고 있고, 양창덕 교수는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정후영 교수는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기술 고도화에 몰입해 연구 성과를 냈다.
올해 최초 선정된 신태주 교수는 방사광 가속기 기반 첨단 구조 분석 기술 전문가다. 반사광 분석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신소재 구조를 규명했다.
박종래 총장은 “초격차 기술은 도전적 연구를 추진해 온 연구자들과, 그들의 연구 몰입을 뒷받침한 연구중심대학에서 비롯됐다”며 “UNIST는 이러한 개척자 정신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견고하게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내 대학 중 HCR 선정 결과는 서울대 16명, UNIST 9명, 성균관대 7명, 한양대 6명 순이다. 국가별 규모는 미국 2,670명, 중국 1,406명, 영국 570명, 독일 363명, 호주 312명이다. 기관별로는 중국 과학원 258명, 하버드대 170명, 스탠퍼드대 141명, 칭화대 91명 순으로 조사됐다.
2025 HCR 전체 명단과 분석·평가, 선정 방식은 클래리베이트 공식 웹사이트(https://clarivate.com/highly-cited-researche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