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김정섭"

UNIST 도시환경공학과 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휩쓸어!

UNIST 도시환경공학과 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휩쓸어!

UNIST 도시환경공학과 연구진들이 한국지리정보학회에서 시상하는 각종 학회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지리정보학회는 11. 6일(금) 제주에서 열린 ‘2021 추계학술대회’ 정기총회에서 학회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시상식을 진행했다. 이날 학회상 수상자 명단에는 도시환경공학...

도시의 미래, 울산의 미래

도시의 미래, 울산의 미래

도시(都市)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고을(도읍)을 의미하는 도(都)와 시장을 의미하는 시(市)가 합쳐진 용어이다. 형태적으로는 다수의 인구가 모여서 거주하는 고밀의 성읍, 기능적으로는 상품을 사고파는 시장이 결합된 공간을 도시라 지칭한 것이다. 성읍 형태(form)...

울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준비

울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준비

울산이 1962년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어 대한민국 산업화의 중추적 역할을 감당해온지 벌써 반세기를 훌쩍 넘겼다. 1997년 인구 100만의 광역시로 승격된 이후에도 울산은 지속적인 발전과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악취가 나고 더러워 아무도 찾지 않던 태화강은 태화강 살리...

전세소멸 시대? 임대차시장 주거안정을 위한 준비

전세소멸 시대? 임대차시장 주거안정을 위한 준비

최근 임대차3법 도입에 따라 해당 제도가 주택임대차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기존에 2년간 보장이 되던 임대차기간을 추가로 2년 더 임차인이 계약갱신을 요구할 수 있어 최소 4년간의 안정적인 거주를 보장해주는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임대차계약 갱신 시 전월...

철도 인프라와 연계한 시민주도 도시계획

철도 인프라와 연계한 시민주도 도시계획

최근 ‘울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국가교통위원회 심의를 통과하고 국토교통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는 반가운 뉴스를 접했다. 지난 9월7일자로 고시된 계획 내용을 보면, 2030년까지 4개 노선 48.25㎞ 구간에 총사업비 1조3316억원을 투자하여 도시철도망(트램...

지방정부 주도의 맞춤형 주거정책은 없는가

지방정부 주도의 맞춤형 주거정책은 없는가

2020년 상반기 뉴스의 핵심 키워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었다면 하반기에는 부동산이 될 것 같다. 신종코로나로 인한 보건과 경제 위기 이슈가 부동산 가격 급등과 대책 발표에 묻히고, 부동산 민심을 잡기 위한 여야 공방이 지속되고 있다. 여당은 속도...

부동산문제 어떻게 봐야 하나

부동산문제 어떻게 봐야 하나

코로나19로 너도나도 경제가 어렵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는 코로나19 위기라는 말이 무색하게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였다. 급기야 정부는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 정책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다. 수십 년간 지속되어온 부동산 불패 신화가 코로나19 경제위기...

울산도 주거복지센터가 필요하다

울산도 주거복지센터가 필요하다

코로나19로 경제활동이 위축되면서 세계 주요 도시들에서 주거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실직, 폐업, 소득감소가 일반화되면서 다수의 월세 세입자들이 월임대료를 지불하지 못하고 퇴거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해외 많은 국가와 도시들은 임차인의 주거안정을 위한 퇴거유...

디지털 트윈과 스마트 산업도시 전환

디지털 트윈과 스마트 산업도시 전환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취임 3주년 대국민 특별연설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한국판 뉴딜’ 추진을 선언했다.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는 미래 선점투자”라고 강조하고 “5G 인프라 조기 구축과 데이터를 수집, 축적, 활용하는 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국가적 사업...

뉴노멀 시대 지역 상생협력

뉴노멀 시대 지역 상생협력

울산의 인구는 주민등록인구수 기준으로 2015년 11월 117만4051명을 기록하여 정점을 찍었고, 2017년부터는 본격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0년 3월 기준 114만4563명으로 정점 대비 3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울산이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도시 기능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