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덩어리 효소, 알고 보니 나노 기계였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물리학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28일(현지시각) 공개됐다. UNIST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Tsvi Tl...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물리학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28일(현지시각) 공개됐다. UNIST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Tsvi Tl...
분자들이 뭉쳐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은 일종의 ‘분자 기계(molecular machine)’다. 유연하게 움직이면서 주어진 기능을 수행해 생명체를 작동시키는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들 단백질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설명하는 새로운 가설...
스티브 그래닉(Steve Granick) 자연과학부 특훈교수(IBS 첨단연성물질연구단장)와 연구진이 효소의 이동 기작에 대해 기존 가설을 뒤집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진은 그간 무작위 방향으로 운동하며 확산한다고 여겨졌던 효소가 박테리아처럼 방향성을 갖고 움직인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