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으로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친환경차 세금 감면’이라는 혜택까지 받고 있는 착한-디젤엔진 자동차가 하루아침에 우리의 건강을 해치고 미세먼지와 발암물질이라는 무서운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나쁜 자동차가 되었으니 말이다. 이제 더 이상 디젤자동차를 소비자가 구매할 때마다 디젤엔진 엔지니어의 등에서 천사의 날개가 돋는 따위의 사기광고는 등장하지 않을 것이다.
덕분에 하이브리드차가 요즘 디젤자동차를 대신해 ‘친환경’ 이미지를 한참 획득 중이다. 자동차 기업들은 열심히 하이브리드 모델의 가짓수를 늘리고 있는데 하나같이 푸른색이나 녹색이 가미된 디테일이나 배지, 로고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재미있는 것은, ‘진짜 친환경이 맞습니까’라는 물음에 ‘그렇다’는 답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는세상에 없다는 점이다. 전기 동력을 함께 쓰는 것일 뿐, 내연기관 자동차의 구조와 형식을 그대로 쓰고 있기 때문에, 배출가스의 절대량이 일반 자동차에 비해 낮은 것이지, 0(제로)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얼마지 않아 ‘하이브리드카’ 또한 ‘청산’의 대상이 될 것이다. 비교대상이었던 내연기관 자동차가 세상에서 사라지고, ‘100% 친환경’을 주장할 수도 있는 전기자동차가 주어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수소연료전지자동차라는 또 하나의 미래차 장르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수소차도 수소충전을 통해 전기를 직접 생산하는 방식이라는 점만 다를 뿐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점에서 전기자동차라는 분류에 수렴한다. 하지만 수소차는 친환경자동차의 모습을 담는 해결책이 아니다. 우리는 수소가 물과 공기 등 지구상 어디에도 존재하는 물질이라고 생각하여 청정에너지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전기분해를 통해 산소와 수소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물’만 있으면 가는 자동차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다. 천만에! 생산 효율과 비용의 문제로 현재 대부분의 수소는 또하나의 화석연료인 천연가스, 즉 ‘LNG’를 태워서 만들고 있다.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수소 생산과 저장시설, 수소차 충전소 같이 막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유사업을 갖고 있는 대기업에게는 ‘오일에서 수소’로 콘텐츠를 바꿔 비교적 쉽게 미래의 ‘밥줄’이 될지 모른다는 ‘환상’이 심겨져 있다. 국가의 에너지 정책에서도 통제 관점에서 수소가 매력적이다. 태양광 충전판을 설치하면 누구나 생산할 수도 있고 전 국민이 밤낮으로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에 자동차의 연료까지 흡수당하는 것보다 ‘수소’라는 별도 체계를 통해 요금과 세금을 관리하기 쉽기 때문이다. 만약 위와 같이 현재의 에너지산업에 유리하고, 국가에게는 통제하기 쉬운 에너지가 ‘수소’라는 이유로 화석연료인 가스를 태워서 만들 수밖에 없는 ‘수소’를 ‘친환경 에너지’라 포장하고,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를 개발하고 보급하려 한다면, ‘언 발에 오줌 누기’ 밖에 되지 않는다.
전기자동차를 부정적으로 관망하는 측은 전기에너지가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것이므로 친환경적일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전기에너지는 수력, 파력, 조력, 풍력, 태양열, 지열 등 수많은 방식으로 대체 생산이 가능한 사실상의 무공해-무한 자원이다. 또한 전기차로 가득 채워진 도시에서는 더 이상 발암물질, 미세먼지를 내뿜지 않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고, 기술의 발전속도에 따라서는 무선 전력 송출 등으로 충전이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수소연료 저장소라는 거부감 강한 잠재요소를 도시 곳곳에 두지 않아도 된다. 이 같은 이유로 전기는 궁극적으로 친환경적일 수밖에 없다.
얼마전, 벤츠와 BMW도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을 중단했다. 세계적 자동차기업들과 여러 선진국들까지 수소연료전지차와 충전소, 인프라에 대한 개발중단을 선언함으로써, 이제 나홀로 ‘수소연료전지차’ 개발과 친환경이미지 선전에 열을 올리고 있는 우리나라와 어떤 도시의 모습은 무언가 애처롭다. 아, 우리처럼 기득권 집착이 강한 일본과 토요타가 유일한 경쟁자이자 동반자가 된 사실을 빠뜨릴 뻔 했다. 그 둘만의 경쟁에서도 이미 토요타는 ‘미라이’라는 일반인용 양산차를 팔고 있으니, 사실상 꼴찌가 된 셈이라는 점도! 언발에 오줌은 그만 누고 미래를 진지하게 생각하면 좋겠다.
정연우 UNIST 디자인·공학 융합전문대학원 교수
<본 칼럼은 2016년 6월 14일자 경상일보 18면에 ‘[경상시론]미래 모빌리티와 대한민국-디젤차, 하이브리드차, 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차’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