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혁신적인 기업가인 엘론 머스크의 전기자동차(테슬라), 태양에너지(솔라시티), 우주개발(스페이스 엑스), 배터리(기가팩토리) 기업은 기존의 경쟁규칙을 무력화하는 파괴적인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시장은 이같이 혁신적인 제품을 과감하고, 창의적이고, 빠르게 조직화해 시장을 지배하려는 파괴적 혁신능력을 보유한 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글로벌 혁신기업들은 제조, 생산에 있어서도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정보기술,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기술을 결합해 제조부터 고객까지의 전체 가치사슬을 동시에 동기화하는 4차 산업혁명을 적극 받아들여 이점을 취한다. 세계 최대의 이차전지 생산 공장인 엘론 머스크의 기가팩토리는 컴퓨터의 CPU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최고의 스마트 공장으로 지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 특히 지방 제조업은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한국 기업들은 1990년대 전자산업이 아날로그 기술에서 디지털로 바뀌는 변화 과정에서 만들어낸 혁신역량을 바탕으로 일본 전자기업과의 경쟁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최근의 글로벌 혁신경쟁에서는 뒤처지고 있고 새로운 혁신역량의 출현은 아직 확실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 기업의 경쟁력은 전통적으로 제조, 생산 역량에 기반하고 있다. 최근에는 제조역량의 이점이 다시 부각되고 있는데 독일, 일본, 중국, 싱가포르 등 글로벌 혁신을 이끄는 국가들이 제조업 중심 경제를 유지한다는 점은 우연이 아니다. 미국도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을 통해 제조업을 다시 불러들이고 있다. 이런 점에서 GDP의 30%(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에 달하는 한국 제조업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미래의 자산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제조역량을 스마트화하고 혁신역량을 결합하여 한국만의 독특한 경쟁력을 창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조와 연구개발이 동일한 지역에서 밀접하게 연계되는 내부 집적(internal agglomeration)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집적을 통해 혁신활동에 동반되는 불확실성을 빠르게 해소하고 4차 산업혁명 과정에서 수반되는 조정 활동의 비용과 시간을 줄이며 활동에 대한 통제를 높이고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정보를 원활히 교류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 기반은 대부분 지방에 배치된 반면 기술혁신을 위한 연구기능은 서울, 수도권 등 일부지역에 편중돼 내부집적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의 연구개발비는 44조원에 이르는 반면 그 외 지방은 15조원에도 못 미치고 있다. 한국 제조업의 허브인 울산의 경우 2차 산업의 매출액이 전국 10% 수준인데 울산에 투자된 기업 연구개발비는 7900억원으로 총 기업 연구개발비 51조원의 0.15% 수준(매출액 비율 대비 66배 차이)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제조와 연구개발의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하며 더 나아가 기업 내에서 제조-연구의 집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정부 ·기업의 의사 결정자들도 이러한 불균형을 인지하고 산학융합지구 조성 등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인식과 노력 수준이 글로벌 시장에서 큰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대기업은 제조·연구의 집적효과를 보다 심각하게 고려해 기업 내의 연구개발 체계를 재조정하고 제조시설이 있는 지방에 연구기능을 신설,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이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지역에 소재한 이공계 중점대학(DGIST, GIST, KAIST, UNIST, 포항공대), 정부출연연구소의 지속적인 확대 및 활발한 산학협력 활동이 필요하다. 대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은 유출효과(spillover effect)를 통해 자연스럽게 지방 중소기업의 연구역량 강화로 연결될 것이다.
지방 제조업에 제조·연구 연계, 기업·공공기관 연계, 대·중소기업 연계의 복잡한 다중 선 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술과 경영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시너지를 유도해 낼 수 있도록 지방의 산업계에 혁신문화와 기술경영 교육이 확산돼야 한다.
최영록 울산과학기술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본 칼럼은 2017년 5월 31일 이데일리에 ‘[칼럼]4차산업혁명과 지방 제조업 생존전략’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