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먹는샘물(생수) 시장은 약 7,400억원 규모로 지난 10년간 매년 10%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확대되어 왔다. 이러한 증가 추세가 계속되면 2020년에는 1조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돈을 주고 물을 사먹는 일이 어색하게 여겨졌으나 이제는 오히려 자연스러운 일상이 됐다. 소위 현대판 봉이 김선달 사업에 전국적으로 70여개의 업체가 뛰어들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1991년 낙동강 페놀사고 이후에도 잦은 수원지 오염사고들이 있어왔고, 이로 인해 불거진 수돗물에 대한 불신은 먹는샘물 시장의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수돗물의 가격을 1톤(1,000 리터)당 천원 정도로 본다면, 먹는샘물을 음용수로 소비할 경우 거의 천배가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먹는샘물의 수질은 안전할까? 먹는샘물은 주로 지하 암반수를 취수해 사용하기 때문에 지표수를 원수로 하는 수돗물에 비해 인간의 활동으로부터 야기되는 오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은 매우 적다. 그러나 지하수는 지질학적인 요인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오염원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유기물의 함량은 낮지만 토양이나 암석으로부터 기인하는 무기물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우리 몸에 무해한 미네랄 성분들이 대부분이지만 유해 중금속이 포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실 먹는샘물의 수질 기준 위반사례는 꾸준히 있어 왔다. 지난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된 국감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매년 10~20여 차례의 위반 건수가 있었으며, 기준 초과 오염물질들도 병원성 세균, 발암성 소독부산물(브롬산염), 중금속 등으로 다양했다. 최근 한 제품이 악취문제로 논란이 되면서 먹는샘물의 안전성에 관한 이슈가 도마 위에 올랐고, 그 이후 먹는샘물 오염사건들이 잇따라 보도되면서 파장이 더욱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얼마 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조사 결과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우라늄이 검출됐다고 밝힌바 있고, 환경부의 일제점검을 통해 기준치가 초과된 비소가 검출된 제품이 적발되기도 했다. 한편 최근 악취문제로 논란이 되었던 제품에 대해, 그 원인이 당초에 지목되었던 PET용기가 아닌 취수원 오염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먹는샘물은 기본적으로 원수의 수질이 양호하다는 점을 담보로 간단한 정수처리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수돗물의 제조공정이 응집, 침전, 여과, 고도처리(오존산화 및 활성탄 흡착), 소독 등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먹는샘물의 제조공정은 여과와 소독으로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처리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먹는샘물의 경우 원수의 오염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먹는샘물 제조업체들이 소규모로 영세해 정기적인 수질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수돗물의 경우는 보통 먹는물 수질기준 전체 항목에 대해 매달 검사하고 일부 항목들에 대해선 매주 혹은 매일 점검한다.
먹는샘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행정당국의 보다 철저한 관리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지자체는 관내의 먹는샘물 제조업체들에 대해 연 2회 이상 정기 수질검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위반 사례로 적발된 업체들에 대한 행정처분도 지나치게 약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여러 차례 적발된 업체에 대해 부과하는 가중처벌의 강도를 높여, 위반 사항 및 빈도에 따라 최고 허가 취소까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심사 기준을 엄격하게 해 자격미달의 업체에 대한 무분별한 허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창하 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
<본 칼럼은 2017년 10월 30일 울산매일신문 16면에 ‘[시론 칼럼] 먹는샘물 안전한가?’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