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방사능 재해로부터 국민호보와 국토환경 보전을 위해 원자력안전법에 의거해 국내 환경방사능 감시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 환경방사능 감시는 1960년 초 강대국들의 지상핵실험으로 인한 방사능낙진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측정의 필요성이 대두됐고, 1963년부터 서울을 비롯해 전국 8개 지역에 방사능측정소를 설치해 공기부유진, 낙진, 그리고 빗물을 채취,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 후 7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핵실험이 중지되어 감시 기능의 중요성이 상실돼 가는 듯 했으나, 국내 고리원자력발전소 운전 및 미국 TMI원전사고를 계기로 원전 주변지역 환경방사선 감시활동이 착수되고, 뒤이어 발생한 체르노빌 원전 사고(1986년)로 그 중요성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90년대에는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IERNet)구축, 원자력법 정비 등 감시체계에 변화도 있었다.
2000년에 접어 들어서는 뉴욕 세계무역센터(WTC) 테러가 발생하여 방사능테러대응에 대한 감시체계가 강화됐으며, 2006년 북한 제 1차 지하핵실험 실시를 계기로 핵실험탐지측정소 3곳, 제논 포집기 전용차량 제작, 대기방사능자동감시망 구축, 지방방사능측정소/간이측정소 증설 등 전국환경방사능감시망 확충사업이 시작됐다.
또한 2009년 북한 제2차 핵실험,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2013년 북한 제 3차 핵실험 등을 통해 확충사업이 탄력을 받는 효과도 가져왔다.
이러한 변천을 통해 그 중요성 및 새로운 의미가 더해지면서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감시, 전국토 환경방사능감시, 해양방사능 감시로 총 3가지 감시체제를 갖췄으며, 지방방사능측정소 15곳, 간이방사능측정소 113곳, 핵실험탐지측정소 3곳, 대기방사능자동감시망 15곳 등을 구축해 공기부유진, 낙진, 강수, 상수, 토양지표식물의 전베타방사능, 감마핵종 방사능과 공간감마선량률을 주기적으로 측정해 준위 변동을 감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방사능 감시의 결과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모든 국민이 언제든 볼 수 있으며, 모바일 앱을 설치하면 자신이 위치한 곳에서의 방사선량을 알 수도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 방사능감시 체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도 인정하는 세계적 수준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지난 50여 년간 수행되어 온 국내 환경방사능 감시 체제는 국내외 사건·사고와 국민적 요구의 증대로 감시망이 대폭 확대됐으며 첨단 무인시스템의 도입, 정밀 계측장비의 확충, 교차분석 및 교육·연구를 통한 품질 신뢰도 향상을 이루며 국내 환경방사능안전 확립에 이바지했다.
하지만 방사능 오염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안전성에 대한 요구는 앞으로 더욱 더 부각될 것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지역적으로 골고루 위치한 훌륭한 인프라, 오랜 기간 운영되면서 축적된 노하우와 인력풀을 활용해 기존 프로그램의 심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현재 미미한 부분인 화학적인 전처리가 따르는 일부 핵종분석에 대하여는 차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며, 다양한 핵종분석을 위한 새로운 장비 도입도 선행돼야 한다. 더불어 해외사례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환경방사능 감시체제를 갖춘다면 최근 방사능에 대한 국민적 두려움을 해소하는 동시에 국가 환경방사능 감시에 대한 신뢰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동한 UNIST 원자력공학과 박사과정
<본 칼럼은 2015년 5월 26일 울산매일신문 15면에 ‘국내 환경방사능 감시 현황’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