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라는 이름의 여성이 여행을 떠났다. 길을 가다 강 너머에서 진흙더미를 발견했다. 케어는 진흙으로 형상 하나를 만들었다. 이때 주피터가 나타나 무엇을 만들었냐고 물었다. 케어는 아직은 잘 모르겠다고 하면서 주피터에게 자기가 만든 형상에 혼을 불어넣어 달라고 부탁했다. 주피터는 케어의 부탁대로 혼을 불어넣어 주었다.
케어는 기뻐하며 주피터에게 감사했다. 형상이 혼을 가지게 되었으므로 자신처럼 케어라고 이름 짓고 싶었다. 그러자 주피터는 혼을 준 것은 자신이므로 주피터라고 해야 한다고 했다. 이때 가이아가 나타나 케어가 만든 형상은 자신의 일부인 진흙에서 가져왔으므로 가이아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셋은 이름으로 다투다 사투르누스를 찾아가 물었다. 그는 한 가지 묘안을 제안했다. 형상이 혼을 가지고 살다 죽으면 그 혼을 주피터가 도로 가져가고 몸은 가이아가 가져가면 되니까 형상이 혼을 가지고 사는 동안에는 케어가 소유하면 어떠냐고 했다. 사투르누스의 묘안에 셋은 모두 찬성했다. 그다음 셋은 형상의 이름을 누구의 이름도 아닌 ‘호모’(Homo)로 지었다. 셋은 사투르누스에게 감사해하면서 어떻게 그런 생각을 했냐고 물었다. 사투르누스는 별것 아니라는 표정을 지으며 모든 것은 시간의 문제 아니냐고 반문했다.
독일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의 책 ‘존재와 시간’에 실린 케어(Care), 주피터(Jupiter), 가이아(Gaia·Earth), 사투르누스(Saturn)의 우화다.
케어는 강을 따라 바다까지 여행을 이어 갔다. 케어는 바다에서 울고 있는 한 아이를 발견했다. 아이에게 우는 이유를 물었지만 아무런 대답 없이 서럽게 울기만 했다. 케어는 아이 손을 잡고 주피터에게 가 울음을 그치게 해 달라고 부탁했다. 주피터는 아이의 울음을 달래기는 이미 늦었다면서 대신 필로소피란 현자를 소개해 줬다. 현자는 아이의 눈을 보지도 않고 알 수 없는 어려운 말만 했다. 케어는 다시 가이아를 찾아가 부탁했지만 그는 자신의 능력 밖이라면서, 대신 뉴욕에 있는 공동체들의 우두머리를 소개했다.
공동체 지도자는 구성원 대표를 소집해 끝없이 회의만 했다. 기다리다 지친 케어는 사투르누스에게 갔지만 역시 아이디어가 없다면서 해결사 사이언스와 이코노미를 소개해 줬다. 두 해결사는 울고 있는 아이에겐 관심 없고 상담 후 지불하는 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지 물었다.
케어는 절망했다. 어쩔 수 없이 아이 손을 꼭 잡고 여행을 이어 갔다. 바다를 건너고 산을 넘어 광활한 늪에 도달했다. 시간도 이곳에선 멈춘 듯 보였다. 우거진 숲 사이로 햇살이 따뜻한 날 피곤한 몸을 잠시 쉬어 가자 생각했다. 그러곤 아이를 꼭 품어 주었다. 그러자 아이는 울음을 그치고 이제 자신이 부끄럽지 않다고 환하게 웃으며 또렷하게 말했다. “제 이름은 이산화탄소예요.”
<본 칼럼은 2022년 8월 12일 서울신문 25면 ‘[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제 이름은 이산화탄소예요”’ 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