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가진 개념 중에 한 가지만 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소유, 열등감 중 하나일 것이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만만치 않다. 소유 개념이 없으면 인류사회의 많은 문제가 해결되겠다 싶다가도, 우리를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열등감 같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세계적 거장이 된 박찬욱 영화감독이 존경한다고 얘기한 일본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이 만든 ‘산책하는 침략자’란 영화가 있다. 최근 국내 연극무대에도 올려졌다.
지구를 침공한 외계인은 지구인이 갖고 있는 선과 악, 자산, 가족 같은 개념들을 하나씩 빼내어 모은다. 지구를 완전하게 점령하기 위해서는 지구인의 개념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개념을 빼앗긴 지구인들은 이상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장면 중 하나는 집을 소유한다는 개념을 외계인에게 빼앗긴 젊은 청년이 그날부터 갑자기 너무나 행복해지는 것이다. 늘 자기 집을 자랑했었던 청년은 집의 소유라는 개념을 빼앗기고는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연설을 거리에서 하는가 하면 이전에 비해 훨씬 성숙한 인간으로 이전과는 다른 행복감을 느끼는 듯 보인다.
열등감도 인간의 개념으로 분류하고 싶다. 열등감을 인류가 가진 심리적 본능으로 생각하게 되면, 그것을 해결할 길이 영원히 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 인간의 거의 모든 마음의 병은 열등감과 연결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것은 여러 심리문제들을 떠올려 보면 쉽게 상상할 수 있다. 그런데 열등감의 배경에는 경쟁에서 비롯된 순위, 등수 개념이 있다. 뭐든지 타인과 경쟁해서 이겨 높은 순위에 올라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결국 인간으로 하여금 열등감을 갖게 만든 것이다. 오죽 힘들었으면 영특한 인류가 2등이란 개념을 만들었겠는가. 모두 1등만 할 수는 없지만 2등도 1등 못지않게 좋다는, 괜찮다는 위로를 스스로에게 해 주는 인간의 위대한 발명품인 셈이다. 1등 외 모든 것을 빼는 대신 2등을 더한 것이다.
‘산책하는 침략자’에서 지구인들의 모든 개념을 파악한 외계인은 본격적으로 지구를 침공한다. 그런데 명감독의 영화에는 늘 반전이 있다. 자세한 전개와 설명은 없지만 외계인이 물러간 폐허 속 막사에 한 여성이 말없이 누워 있다. 외계인은 이 여성에게서 사랑이라는 개념을 빼앗으려다 실패했는데, 여성의 사랑이 지구를 지켜낸 것이다.
산책하는 침략자 영화의 반전에 반전을 하나 더 더하고 싶어졌다. 소유와 열등감 중 하나를 빼는 대신 생태를 매개로 소유와 열등감을 합치는 것이다. 생태로 합쳐 보니 모두 연결돼 홀로 소유하는 대신 공유할 수 있게 되고, 아래 위로 나누어 열등감 가지지 않고 대신 옆으로 서서 같은 눈높이로 서로 사랑하게 된다. 외계인이 지구인으로부터 빼내가지 못한 마지막 개념은 실은 ‘생태’였을 것이다.
<본 칼럼은 2022년 9월 9일 서울신문 25면 ‘[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외계인은 지구를 점령할 수 없다’ 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