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이 과해 망상이 돼도 속지만 않으면 현실이다.”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라이프니츠의 말이다. 하지만 속지 않기란 무척 어렵다. 망상이라 아무리 얘기해도 들리지 않는다. 보이는 것 모두 일상과 같아 망상이라고 받아들이기 어렵다. 익숙하니 오히려 속는다. 이와 달리 일상이 뒤집히는 변화도 있다. 비유하자면 가상현실, 증강현실 디지털 안경만 껴도 세상이 바뀐다. 보이는 것이 일상과 다르니 절대 속지 않는다고 믿지만 사실은 현실이다. 전자는 현실 같은 상상 세계고, 후자는 상상 같은 현실 세계다.
현실 같은 상상 세계와 상상 같은 현실 세계를 수학과 물리학 이론으로 표현한 과학자가 바로 아인슈타인이다. 각각 특수상대성과 일반상대성이론이었다. 특수상대성이론은 로렌츠 좌표변환으로 시간과 공간을 바꿔 엄청난 물리학적 상상이 가능한 세계로 이끈다. 블랙홀, 우주 기원, 시간여행 같은 것이다. 하지만 이 이론으로 상상한 세계는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중력도, 질량 간 인력도 작용한다. 유클리드기하학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와 달리 일반상대성이론이 이끈 세계는 차원 자체가 다르다. 쉽게 상상할 수 있는 세계가 아니다. 지금 알고 있는 세계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인접한 두 물체 간의 관계일 뿐이다. 유클리드기하학과 힘이란 중력에서 벗어나 ‘지오데식’이란 새로운 기하 평면에서 떠다니듯 움직인다. 작용하는 힘이 없으니 바로 옆 존재를 통해서만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함께하는 바로 옆 생명이라 말하는 듯하다.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은 원래 없었는데 인류가 발명한 후 믿어 스스로 중력의 힘에 구속돼 왔다고 말한다. 중력과 같은 예를 사회에서 찾으면 중앙집중 권력이다. 지금 사회의 모든 현상은 뉴턴역학의 중력을 이용해 물리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을 없애 중앙집중 권력이 사라진 사회를 상상하도록 도와준다. 권력형 정부와 국제기구, 중앙집중형 은행, 그리고 자본으로부터 벗어난 인류를 상상할 수 있다. 이는 중앙집중을 벗어난 분산형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블록체인과 맥을 같이한다.
뉴턴역학을 이었지만 한계를 극복한 일반상대성이론을 현실 세계에서 물리적으로 실현한 모델이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 세계에서는 중앙집중형 힘인 권력은 사라진다. 오직 만나서 거래한 순간만 중요하다. 바로 옆 존재와의 관계만 중요하니 권력에서 벗어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로 옆 생명과의 관계가 생태계 복잡성의 출발이라 주장한 심층 생태학과 닮았다. 거래한 블록체인 장부가 세계 속 모든 관계를 설명하니 말이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세계는 이제 막 시작됐을 뿐이다. 새로운 세상이 열리기 전 저항과 부작용도 생기고 있다. 암호화폐 코인 거래가 대표적인 예다. 블록체인 가면을 쓴 자본의 속임수다. 자본주의가 그렇게 쉽게 사라지겠는가. 하지만 한번 태동한 큰 움직임은 모든 중앙집중형 권력의 근원이었던 자본을 서서히 밀어낼 것이기에 새로운 세계질서의 형성을 기대할 만하다고 아인슈타인이 속삭이는 듯하다.
<본 칼럼은 2023년 5월 26일 서울신문 “[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일반상대성이론의 예언”이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