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로드니 루오프"

탄소는 세상에서 가장 매력적인 원소!

탄소는 세상에서 가장 매력적인 원소!

풀러렌,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지난 한 세대 동안 나노과학을 상징해 온 ‘탄소 3형제’다. 1990년대 이후 탄소 3형제를 대상으로 400여 편의 논문을 쓴 이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지금까지 그의 논문들이 인용된 횟수를 다 합치면...

그래핀으로 다이아몬드 박막 만드는 데 다가서다

그래핀으로 다이아몬드 박막 만드는 데 다가서다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graphene)’으로 아주 얇은 ‘다이아몬드 박막(diamane)’을 만들 길이 열렸다. 다이아몬드 박막은 반도체 성질을 조절할 수 있고, 열 전도도가 우수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물질이지만 인공적으로 합성하기 매우 어렵다. 로...

UNIST Magazine 2017 봄호 발행

UNIST Magazine 2017 봄호 발행

UNIST는 4차 산업혁명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2017년 봄, UNIST 소식지는 이 주제를 중심으로 UNIST를 소개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 3D 프린팅, 사물인터넷, 게놈 등 미래 삶을 바꿔놓을 각종 연구가 정리돼 UNIST의 역동적인 연구활동을...

구리(Cu)서 자란 그래핀, 쉽게 분리되는 이유 밝혔다

구리(Cu)서 자란 그래핀, 쉽게 분리되는 이유 밝혔다

구리 표면 위에서 자라난 그래핀은 깔끔하게 분리해야 소재로 쓸 수 있다. 그래핀 연구자들이 투명 테이프로 흑연에서 그래핀만 살짝 떼낸 이유도 바로 여기 있다. 그런데 굳이 투명 테이프까지 동원하지 않아도 구리와 그래핀을 분리할 수 있다. 구리 표면에 그래핀이 붙은 습도...

UNIST 연구자 3명, ‘재료·화학공학 톱 300 과학자’에 선정

UNIST 연구자 3명, ‘재료·화학공학 톱 300 과학자’에 선정

논문 인용지수 기준으로 ‘재료·화학공학 톱 300 과학자’ 중 3명이 UNIST 소속으로 드러났다. 이차전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연구자로 꼽히는 조재필 교수 외에도 탄소 재료 분야의 석학인 로드니 루오프(Rodney S. Ruoff) 교수와 크리스토퍼 비엘라프스키(...

꽃피는 청춘 UNIST에 터를 잡다

꽃피는 청춘 UNIST에 터를 잡다

구민 연구원은 ‘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어린 시절 꿈을 이루기 위해 UNIST에 입학했다. 4년간 캠퍼스에서 기초 실력을 차근차근 쌓은 그녀는 졸업 후 진로를 대학원 진학으로 잡았다. 국내 명문대부터 해외 유학까지 선택지는 많았지만, 그녀의 마음에는 오직 UNIST만...

국가대표 과학자 김광수 교수 근원을 탐구하다

국가대표 과학자 김광수 교수 근원을 탐구하다

한 분야에 10년 이상 몰두하면 전문가가 되고, 20년 이상 몰두하면 장인이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올해로 과학자의 길을 걸은 지 만 30년이 되는 김광수 교수는 어떨까? 원자에서 분자로, 그리고 분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삼라만상과 인간의 인지에 관한 근원을 탐구하는...

분자로 치매 정복! 최초에 도전하다

분자로 치매 정복! 최초에 도전하다

새 시대에는 새로운 답이 필요하다. 아무도 하지 않았던 남다른 시도가, 경험하지 못한 특별한 시선이 세상을 바꾼다. 치매 치료제 연구도 마찬가지다. 하나의 원인에만 집중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원인을 동시에 잡는 ‘멀티타겟 치료제’라는 새 패러다임을 제시한 인물이 있...

“이제는 두뇌순환시대”… UNIST의 인재전략!

“이제는 두뇌순환시대”… UNIST의 인재전략!

UNIST의 인재유치 전략이 한국 미래를 이끌 사례 중 하나로 소개됐다. 과학전문채널인 <YTN 사이언스>가 3부작 다큐멘터리 ‘대한민국 과학자’에서 UNIST의 인재정책을 비중 있게 다뤘다. ‘대한민국 과학자’는 세계과학정상회의에 맞춰 해외에 나가 있는 한...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

과학자들의 세계에서는 다른 연구자의 논문을 참고할 때 꼭 기록을 남겨야 한다. 다른 연구자가 인용한 횟수를 기록한 ‘인용 횟수’는 해당 논문이 얼마나 좋은 연구인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UNIST 자연과학부에는 인용 횟수 100회를 넘긴 논문이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