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원전해체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가 3일(금) 개소했다. UNIST는 원전해체 분야의 독창적인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해체 산업에 요구되는 전문 인력 양성과 관련 산업의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연구센터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원자력선진기술연구센터사업’에 선정돼 설립됐다. 센터는 최대 5년간 미래부로부터 31.5억원을, 울산시와 울주군에서도 10억원을 연구비로 지원받아 총 41.5억원을 확보했다.
이날 UNIST를 포함해 KAIST의 ‘방사성폐기물 다상 복잡계면 방사화학 연구센터’, POSTECH의 ‘SFR 안전성 향상을 위한 혁신기술 개발 및 검증 연구센터’ 개소식도 UNIST에서 공동 개최됐다. 울산이 원전 해체기술 연구개발 및 실증화 사업을 수행할 역량이 전국 최고이기 때문이다.
정무영 총장은 “전문 인력 양성부터 체계적으로 원전해체 기술 역량을 쌓아간다면 관련 분야의 국제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며 “지역의 관련기업과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울산이 원전해체 시장의 메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해체 시, 방사선이 발생하기에 이에 따른 안전성 확보가 가장 큰 과제이다. 연구센터는 해체 시 발생할 수 있는 인적 오류를 분석해 평가하고, 원전 해체 폐기물의 세슘 등 특정 방사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해 방사능 준위를 저감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해체 안전성과 방사능 오염을 제거하는 제염 효율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 해체 후 부지 환경의 안전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토양이나 지하수의 방사선 준위를 현장에서 조사하고 감시하는 핵심 요소기술을 개발하는 등 특화된 원전 해체 기술을 개발한다.
김희령 원전해체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장은 “울산은 산학연 간 해체 핵심기술 기반과 인력양성 교육 역량을 갖춘 원전해체 기술 연구의 최적지”라며 “지역의 적극적인 지원은 물론 다양한 분야 기술력을 가진 울산의 산학연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특화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센터 공동 개소식은 이날 오후 3시 UNIST 일원에서 개최됐으며, 미래부 원자력진흥정책과장, 한국연구재단 미래전략사업실장 등 연구센터 관련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미래부는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원자력 기술 분야에 대한 기초·원천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을 위해 ‘원자력선진기술연구센터사업’을 운영 중이다. 기존 7개 센터 외에 3개 센터가 이번에 추가 개소함으로써 총 10개의 연구센터가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