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가 HD현대그룹과 손잡고 조선·해양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본격화한다.
UNIST는 지난 20일 경기도 성남 HD현대글로벌 R&D센터에서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로보틱스 등 HD현대그룹 주요 계열사와 울산대 등 5개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조선·해양산업 AI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UNIST와 HD현대그룹은 조선·해양산업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데이터 생태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지역 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양측은 조선·해양 분야의 핵심 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 데이터를 ‘디지털 국가 전략자산’으로 전환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는 자원으로 활용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왼쪽부터 배경훈 부총리, 정영근 HD현대로보틱스 상무, 김형관 HD한국조선해양 사장, 박종래 UNIST 총장, 금석호 HD현대중공업 사장,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유치와 노바투스아카데미아 설립, AI 최고경영자 과정 운영 등 그동안 AI 기반 첨단 연구·교육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해 온 것이 HD현대그룹과 조선·해양 분야 AI 선점을 위해 협력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됐다. 양측이 AI 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로 하는 과제가 맞물렸다는 점도 상호 협력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HD현대중공업은 ‘AI 기반 선박 설계·공정 자동화’ ‘스마트 조선소 구축’이라는 현장의 디지털 전환 수요가 있었다. UNIST는 AI 연구·교육 인프라를 기반으로 현장 문제 해결형 AI 기술에 강점을 쌓아왔다.
하지만 산업용 AI가 확대 적용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 기업마다 데이터 형식과 품질이 달라 활용이 어렵고, 보안 체계도 충분히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산업 데이터가 AI 학습과 현장 실증으로 이어지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UNIST와 HD현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을 공동으로 마련하기로 했다.
산업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기밀을 보호할 수 있는 보안 및 거버넌스 환경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협력을 확대한다. 현장에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실무형 AI 인재도 양성한다.
UNIST는 AI·조선 융합 전문인력 양성을 핵심 축으로 삼아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교육·연구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성엽 UNIST 산업AI 추진단장은 “중국의 거센 추격 속에서 한국 조선산업이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학계·산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산업 AI 연구소 설립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한 기술 실증과 현장 적용 모델을 만들기에는 울산이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박종래 총장은 “AI 기반 혁신으로 주력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산업 고도화와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