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News Center UNIST News Center
KOREAN ENGLISH
  • HOME
  • 콘텐츠
    • 전체기사
    • 뉴스
    • 피플
    • 연구
    • 지역사회 공헌
    • 기고
    • 언론 속 UNIST
    • “제대로 끊어야 산다”.. 세포 분열 직전 DNA 연결고리 자르는 효소 규명 17 시간 전
    • 레이저 포인터로도 생체 조직 깊숙이 들여다본다!.. 광학 영상 기술 개발 2 일 전
    • UNIST, 오사카 엑스포서 ‘미래 도시 설계’ 제시 2 일 전
    View all
    • UNIST, 오사카 엑스포서 ‘미래 도시 설계’ 제시 2 일 전
    • UNIST, 2025 APEC 대학 리더스 포럼 참가 5 일 전
    • “감사의 마음을 담아” 생활관자치회, 감사 편지 증정식 개최 5 일 전
    View all
    • 임치현·이경호 교수, 교육부장관 표창 ‘스승의 날 유공교원’ 6 일 전
    • 석상일 초빙특훈교수, 독일 ‘훔볼트 연구상’ 수상 2 주 전
    • 정의주 학부생, 제61회 변리사 시험 합격 2 개월 전
    View all
    • “제대로 끊어야 산다”.. 세포 분열 직전 DNA 연결고리 자르는 효소 규명 17 시간 전
    • 레이저 포인터로도 생체 조직 깊숙이 들여다본다!.. 광학 영상 기술 개발 2 일 전
    • 다기능성 박막으로 탠덤 태양전지 효율· 내구성 모두 잡았다! 6 일 전
    View all
    • UNIST 빛낸 14명, ‘2024 학생 공로포상’ 영예 5 개월 전
    • UNIST,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선정…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6 개월 전
    • “사랑의 양념 버무려 나눔 실천했다” UNIST, 혜진원 김장 봉사 6 개월 전
    View all
    • [목요칼럼]명확하지 않기에 강하다-전략적 모호성의 힘 2 주 전
    • [배성철칼럼]의료 AI의 차별성과 확장성 2 주 전
    • [다산칼럼] 2050년의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3 주 전
    View all
    • 구부려야만 보인다…이미지 숨기는 필름 개발 2 개월 전
    • 친환경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2 개월 전
    • UNIST, 물분자 회전 양성자 터널링 강화 규명 2 개월 전
    View all
  • 온라인 기자실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뉴스센터 안내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
Menu
  • HOME
  • 콘텐츠
    • 전체기사
    • 뉴스
    • 피플
    • 연구
    • 지역사회 공헌
    • 기고
    • 언론 속 UNIST
    • “제대로 끊어야 산다”.. 세포 분열 직전 DNA 연결고리 자르는 효소 규명 17 시간 전
    • 레이저 포인터로도 생체 조직 깊숙이 들여다본다!.. 광학 영상 기술 개발 2 일 전
    • UNIST, 오사카 엑스포서 ‘미래 도시 설계’ 제시 2 일 전
    View all
    • UNIST, 오사카 엑스포서 ‘미래 도시 설계’ 제시 2 일 전
    • UNIST, 2025 APEC 대학 리더스 포럼 참가 5 일 전
    • “감사의 마음을 담아” 생활관자치회, 감사 편지 증정식 개최 5 일 전
    View all
    • 임치현·이경호 교수, 교육부장관 표창 ‘스승의 날 유공교원’ 6 일 전
    • 석상일 초빙특훈교수, 독일 ‘훔볼트 연구상’ 수상 2 주 전
    • 정의주 학부생, 제61회 변리사 시험 합격 2 개월 전
    View all
    • “제대로 끊어야 산다”.. 세포 분열 직전 DNA 연결고리 자르는 효소 규명 17 시간 전
    • 레이저 포인터로도 생체 조직 깊숙이 들여다본다!.. 광학 영상 기술 개발 2 일 전
    • 다기능성 박막으로 탠덤 태양전지 효율· 내구성 모두 잡았다! 6 일 전
    View all
    • UNIST 빛낸 14명, ‘2024 학생 공로포상’ 영예 5 개월 전
    • UNIST,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선정…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6 개월 전
    • “사랑의 양념 버무려 나눔 실천했다” UNIST, 혜진원 김장 봉사 6 개월 전
    View all
    • [목요칼럼]명확하지 않기에 강하다-전략적 모호성의 힘 2 주 전
    • [배성철칼럼]의료 AI의 차별성과 확장성 2 주 전
    • [다산칼럼] 2050년의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3 주 전
    View all
    • 구부려야만 보인다…이미지 숨기는 필름 개발 2 개월 전
    • 친환경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2 개월 전
    • UNIST, 물분자 회전 양성자 터널링 강화 규명 2 개월 전
    View all
  • 온라인 기자실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뉴스센터 안내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
Home 콘텐츠 전체기사

‘관절염’ 고치는 법, ‘개구리’ 연구로 찾았다

박태주 생명과학부 교수팀, 연골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ITGBL1’발견

아프리카발톱개구리 연구…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10일자 게재

아프리카발톱개구리의 발생 과정을 관찰해 연골 형성 유전자를 찾아내고, 이를 관절염 치료에 이용할 방법을 찾아낸 박태주 교수팀의 모습. 앞줄 오른쪽이 박태주 교수, 왼쪽이 권태준 교수다. | 사진: 김경채

관절염을 치료할 유전자를 개구리 연구로 찾아냈다. 연골(軟骨)은 한 번 손상되면 쉽게 회복되지 않는데, 이 유전자를 조절하면 연골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향후 관절염 세포치료제나 바이오 신약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박태주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발생 연구를 통해 ‘인... 더보기

2018.10.11By 박태진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배터리 역사 쓰는 스승과 제자의 ‘충분히 멋진’ 도전!

[UNIST MAGAZINE] Our Idol Scientist, 존 굿이너프 교수 편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아버지라 불리는 존 굿이너프 UT오스틴 교수와 해수전지 기술을 개척한 김영식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 그림: 레모

존 바니스터 굿이너프(John Bannister Goodenough)라는 이름은 낯설지만, 그의 업적은 모두에게 익숙하다. 스마트폰에서 전기차까지 생활 곳곳에 쓰이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상업화를 가능하게 만든 사람이 바로 존 굿이너프 교수기 때문. 그의 제자인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김영식 교수는 차세대... 더보기

2018.10.10By 박태진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레이저 두 개’로 분자를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

[UNIST MAGAZINE] Brilliant Thinking: 토마스 슐츠 교수팀의 CRASY 기술 편

4차 하모닉 제너레이션(Fourth Harmonic Generation). 800㎚의 레이저 파장을 200㎚로 바꿔 분자를 이온화시킨다. 이온화된 분자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움직이는데 이때 질량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 사진: 토마스 슐츠 교수팀

분자에 레이저(Laser)를 쏘면 회전을 시작한다. 어떤 분자인지에 따라 회전하는 모습도 각기 다른데, 이걸 관측해 분자 구조와 질량을 모두 파악하는 멋진 기술이 있다. 2011년 토마스 슐츠 교수가 개발한 ‘상관 회전 정렬 분광학(Correlated Rotational Alignment Spectros... 더보기

2018.10.09By UNIST MAGAZINE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그들은 왜 노벨상을 받았나?”… 2018 노벨 물리학상 대중강연 열린다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과 물리학 트랙, 11일(목) 오후 5시 30분 108동서 강연 개최

박혁규 교수와 프랑소와 암블라흐 특훈교수가 강사로 나설 예정

“그들은 왜 노벨상을 받았나?”… 2018 노벨 물리학상 대중강연 열린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으로 선정된 광학 기술을 쉽게 풀어주는 특강이 열린다. UNIST 자연과학부와 생명과학부 교수이자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소속의 전문가 두 명이 연사로 나서는 귀한 강연이다. 물리학 트랙과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은 11일(목) 오후 5시 30분부터 108동 U110호에서 ‘2018 노벨... 더보기

2018.10.08By 박태진뉴스
Share 0
Tweet 0
Share 0

내 것도 아닌, 네 것도 아닌

누구의 것도 아닌 공공재·공공장소

‘선점’해서 이득 취하려는 생각보단 후대 위해 아끼고 배려하는 마음을

내 것도 아닌, 네 것도 아닌

최근 선생님들이 모인 사석에서 흥미로운 이야기가 오고 갔다. 대학의 주인, 특히 국공립대학의 주인이 누구인가에 관한 질문이 주제였다. 나는 등록금을 내는 주체이자 대학이라는 교육서비스의 목표인 학생을 마음 속에 떠올렸다. 그렇지만 다른 분들은 생각이 달랐다. 대학은 ‘공공재’이기 때문에 교육 및 연구에... 더보기

2018.10.07By 이 재연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NEST의 매력에 푹 빠져사는 UNISTAR

[UNIST MAGAZINE] UNISTAR Interview: 김희 경영학부 17학번

김희 학생이 자폐아동의 엄마 역할을 맡았던 연극 포스터(왼쪽, NEST 제공)과 김희 학생(촬영: 안홍범)

연극 동아리 NEST(Never Ending STory)가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창작극 ‘우리 집은 아들이 둘이에요’를 무대에 올렸다. 자폐를 앓는 아들과 치매를 겪는 남편을 돌보는 ‘민호 엄마’는 작품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이다. 희망을 잃지 않고, 역경을 헤쳐 나가는 엄마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해낸... 더보기

2018.10.05By UNIST MAGAZINE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창업을 위한 실험

위성통신사 이리듐 실패 원인, 수요에 대한 섣부른 예측 때문

제품 개발 전 시장성 확인 필요

창업을 위한 실험

이리듐은 1991년 모토롤라가 주축이 돼 전세계 47개 주요 통신사가 총 52억불을 투자한 초대형 프로젝트이다. 인공위성으로 연결된 지구전역을 커버하는 이동통신시스템 개발이 목적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SK텔레콤이 참여했다. 러시아, 미국, 중국에서 15개의 로켓을 구입해 지상의 기지국을 대신할 66개의... 더보기

2018.10.05By 황 윤경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디자인과 공학, 마리아주의 맛과 가치

공학-디자인 결합의 중요성, ‘디스쿨’‘마리아주’서 재확인

무관심 걷고 연관의 끈 묶어야

디자인과 공학, 마리아주의 맛과 가치

축구경기에서 어떤 선수가 매우 희박한 성공률을 넘어 골을 넣을 때 ‘그림 같은 득점장면’이라거나 ‘슛이 예술이다’라는 말을 한다. ‘그림같다’는 것은 곧 가장 높은 수준, ‘극찬’의 표현이다. 사전을 찾아보면 기술, 공학의 궁극적 경지를 의미하는 단어가 바로 ‘Art’다. 영어로 최고 혹은 최신 기술은... 더보기

2018.10.04By 정 연우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4차 산업혁명 기반 해오름동맹 원자력 안전 혁신 플랫폼 구축!

2일(화) 오후 12시 UNIST서 ‘해오름동맹 원자력 혁신센터’ 개소식 개최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원자력 안전 혁신에 앞장서고자 6개 대학 동맹

4차 산업혁명 기반 해오름동맹 원자력 안전 혁신 플랫폼 구축!

UNIST는 2일(화) 오전 11시 제4공학관(110동)에서 ‘해오름동맹 원자력 혁신센터’ 개소식을 열고 4차 산업혁명 기술기반 원자력 안전 혁신 연구와 지역 상생의 본격적 출발을 알렸다.   해오름동맹 원자력 혁신센터(Haeroum Alliance Nuclear Innovation Center... 더보기

2018.10.02By 김 석민뉴스
Share 0
Tweet 0
Share 0

2019년 THE 세계 대학 평가서 “UNIST 국내 6위”

논문 피인용도는 96.3점으로 국내 1위, 세계 47위 차지

교육, 연구, 논문 피인용도, 산학 수입, 국제화 지표 전반적 향상

2019년 THE 세계 대학 평가서 “UNIST 국내 6위”

‘2019 THE 세계 대학 평가(이하 THE 평가)’에서 UNIST의 순위는 국내 6위, 세계 201~250위권으로 나타났다. 논문 피인용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국내 1위(세계 47위)를 차지했고, 5대 평가지표는 모두 전년보다 향상됐다. 지난 9월 27일(목) 공식 발표된 THE 평가에서 UNIS... 더보기

2018.10.01By 박태진뉴스
Share 0
Tweet 0
Share 0
«‹236237238239240›»

Global News

  • New Smartphone App Offers Convenient Way to Diagnose Sleep Apnea
  • [Korea Bizwire] June, 4, 2024

  • New study finds clue to predict pancreatic cancer's progression and metastasis
  • [Korea Biomedical Rev.] June, 4, 2024

  • Study reveals promising technology for sepsis treatment using functional magnetic nanoclusters
  • [Phys.org] May,27, 2024

Popular

  • “항암제도 상처치료제도 쏙쏙 전달”.. 무독성 하이드로젤 개발

    “항암제도 상처치료제도 쏙..

    1월 24, 2025
  • [2025 학위수여식] “과학기술과 사회 잇는 리더로 거듭나길”… 학위수여식 개최

    [2025 학위수여식] “과학기술..

    2월 20, 2025
  • 조윤경 교수, ‘네이처’에 소개된 UNIST 여성 과학자

    조윤경 교수, ‘네이처’에 소..

    3월 12, 2025

Newsletter

이메일 뉴스레터 구독신청하기

<뉴스레터 구독신청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울산과학기술원은 뉴스레터 구독신청 등을 희망하는 기업 및 개인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1. 수집 개인정보 항목 : 이메일
2.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뉴스레터 발송
3. 개인정보의 이용기간: 구독해제시까지
4. 귀하는 뉴스레터 발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동의 거부 시 뉴스레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시겠습니까?
  • UNIST Daily
  • UNIST Newsletter
  • For Journalists

Hot Video

[UNIST Webinar] AI enabled Computational Imaging for Biomedical Applications
logo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저작권보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유니스트길 50
대표전화:052-217-0114 /입시상담:052-217-1120
  • 콘텐츠
    • 뉴스
    • 피플
    • 연구
    • 포토&비디오
    • 기고
    • 언론 속 UNIST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UNIST Newsletter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