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News Center UNIST News Center
KOREAN ENGLISH
  • HOME
  • 콘텐츠
    • 전체기사
    • 뉴스
    • 피플
    • 연구
    • 지역사회 공헌
    • 기고
    • 언론 속 UNIST
    • ‘U미래전략원’ 출범 “동남권 성장동력 찾는다” 1 일 전
    • UNIST-고려대, 전략기술 공동연구 협약 체결 2 일 전
    • UNIST-현대제철(주), 자성 소재 개발 파트너십 체결 5 일 전
    View all
    • ‘U미래전략원’ 출범 “동남권 성장동력 찾는다” 1 일 전
    • UNIST-고려대, 전략기술 공동연구 협약 체결 2 일 전
    • UNIST-현대제철(주), 자성 소재 개발 파트너십 체결 5 일 전
    View all
    • 석상일 초빙특훈교수, 독일 ‘훔볼트 연구상’ 수상 6 일 전
    • 정의주 학부생, 제61회 변리사 시험 합격 2 개월 전
    • 원자력공학과 배영인 연구원, 산업부 장관 표창 2 개월 전
    View all
    • “하나를 가르치면 알아서 둘 배우는 AI”… 멀티 모달 학습법 개발 5 일 전
    • 마스크 뚫고 호흡기 건강 위협하는 오존 오염… “농촌도 문제다” 1 주 전
    • “당신 팔의 경직도는 19”…로봇이 경직도 정량 진단! 2 주 전
    View all
    • UNIST 빛낸 14명, ‘2024 학생 공로포상’ 영예 5 개월 전
    • UNIST,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선정…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6 개월 전
    • “사랑의 양념 버무려 나눔 실천했다” UNIST, ‘혜진원 김장 봉사’ 참여 6 개월 전
    View all
    • [목요칼럼]명확하지 않기에 강하다-전략적 모호성의 힘 6 일 전
    • [배성철칼럼]의료 AI의 차별성과 확장성 7 일 전
    • [다산칼럼] 2050년의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2 주 전
    View all
    • 구부려야만 보인다…이미지 숨기는 필름 개발 2 개월 전
    • 친환경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2 개월 전
    • UNIST, 물분자 회전 양성자 터널링 강화 규명 2 개월 전
    View all
  • 온라인 기자실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뉴스센터 안내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
Menu
  • HOME
  • 콘텐츠
    • 전체기사
    • 뉴스
    • 피플
    • 연구
    • 지역사회 공헌
    • 기고
    • 언론 속 UNIST
    • ‘U미래전략원’ 출범 “동남권 성장동력 찾는다” 1 일 전
    • UNIST-고려대, 전략기술 공동연구 협약 체결 2 일 전
    • UNIST-현대제철(주), 자성 소재 개발 파트너십 체결 5 일 전
    View all
    • ‘U미래전략원’ 출범 “동남권 성장동력 찾는다” 1 일 전
    • UNIST-고려대, 전략기술 공동연구 협약 체결 2 일 전
    • UNIST-현대제철(주), 자성 소재 개발 파트너십 체결 5 일 전
    View all
    • 석상일 초빙특훈교수, 독일 ‘훔볼트 연구상’ 수상 6 일 전
    • 정의주 학부생, 제61회 변리사 시험 합격 2 개월 전
    • 원자력공학과 배영인 연구원, 산업부 장관 표창 2 개월 전
    View all
    • “하나를 가르치면 알아서 둘 배우는 AI”… 멀티 모달 학습법 개발 5 일 전
    • 마스크 뚫고 호흡기 건강 위협하는 오존 오염… “농촌도 문제다” 1 주 전
    • “당신 팔의 경직도는 19”…로봇이 경직도 정량 진단! 2 주 전
    View all
    • UNIST 빛낸 14명, ‘2024 학생 공로포상’ 영예 5 개월 전
    • UNIST,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선정…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6 개월 전
    • “사랑의 양념 버무려 나눔 실천했다” UNIST, ‘혜진원 김장 봉사’ 참여 6 개월 전
    View all
    • [목요칼럼]명확하지 않기에 강하다-전략적 모호성의 힘 6 일 전
    • [배성철칼럼]의료 AI의 차별성과 확장성 7 일 전
    • [다산칼럼] 2050년의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2 주 전
    View all
    • 구부려야만 보인다…이미지 숨기는 필름 개발 2 개월 전
    • 친환경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2 개월 전
    • UNIST, 물분자 회전 양성자 터널링 강화 규명 2 개월 전
    View all
  • 온라인 기자실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뉴스센터 안내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
Home 콘텐츠 연구

그래핀, 이차전지 전극소재로 사용해 세 마리 토끼 잡는다

백종범(48) 교수(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공동 연구팀은 쇠구슬을 이용해 흑연을 얇게 깨뜨리는 기계화학적공정(볼밀링)으로 리튬이차전지 음극 소재에 사용 가능한 그래핀을 개발했다.

그래핀을 이차전지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기존 전극소재보다 높은 용량, 빠른 충?방전 속도 그리고 안정성을 확보해 이차전지 전극소재의 국산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UNIST(총장 조무제) 백종범(48) 교수(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공동 연구팀은 쇠구슬을 이용해 흑연을 얇게 깨뜨리는 기계화학적공정(... 더보기

2014.09.30By 이 종현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UNIST 학부생, 잡음 없이 안정적인 고주파 신호 생성기 개발

성태호 씨 세계적 권위의 IEEE 학술지 ‘T-CAS II’ 9월호에 논문 발표

연구 중인 성태호(22)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학부생

UNIST(총장 조무제) 학부생이 스마트 폰 등 최신 IT 기기의 고속 동작에 필수적인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하 고주파 신호)’를 잡음 없이 안정적으로 생성하는 핵심 반도체 부품을 개발했다. 성태호(22) 학부생(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4학년)은 이번 연구결과를 세계적 권위의 IEEE(국제전기전자기술... 더보기

2014.09.05By 이 종현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UNIST ‘핵융합 플라즈마 안정성 및 구속성 연구센터’ 개소

UNIST ‘핵융합 플라즈마 안정성 및 구속성 연구센터’ 개소

UNIST(총장 조무제)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핵융합 기초연구 및 인력양성지원사업’의 거점연구센터 선정된 ‘핵융합 플라즈마 안정성 및 구속성 연구센터(센터장 박현거 교수)’를 1일(월) 개소하고, 프랑스 원자력청(이하 CEA)과 함께 핵융합 플라즈마 연구에 나서기로 했다. UNIST는 이날 오... 더보기

2014.09.03By 이 종현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UNIST, 국내 최초 엔비디아의 쿠다(CUDA) 연구센터 선정

정원기 교수팀, “NVIDIA와 연구 협력을 강화해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것”

UNIST, 국내 최초 엔비디아의 쿠다(CUDA) 연구센터 선정

국내 최초로 엔비디아(NVIDIA)의 CUDA(쿠다) 연구센터가 UNIST(총장 조무제)에 둥지를 튼다. 정원기 교수(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실이 엔비디아 본사(미국 캘리포니아 주 소재)가 선정하는 CUDA 연구센터로 7일(목) 선정됐다. 현재 전 세계 147개 연구실이 CUDA 연구센터로 선정됐으며,... 더보기

2014.08.22By 이 종현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불가능이라 여기던 테라헤르츠 대역 상용화 이끌다

김경록 교수팀, 실리콘 소자서 테라헤르츠 대역 초고주파 동작 세계 최초 입증

불가능이라 여기던 테라헤르츠 대역 상용화 이끌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통신 속도를 1,000배 빠르게 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김경록(39) UNIST(총장 조무제) 교수(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팀은 실리콘 소자에서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의 초고주파가 동작하는 것을 세계 최초 입증했다. 또 이를 이론화하고 도표화해(... 더보기

2014.08.22By 이 종현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UNIST, 이차전지 연구의 현재와 미래 선도

UNIST-삼성SDI, 미래형 이차전지 연구 선도에 나서

UNIST, 이차전지 연구의 현재와 미래 선도

UNIST는 삼성SDI와 함께 `미래형 이차전지 연구센터(센터장 조재필 교수)`를 설립해 기존의 리튬이차전지를 대체할 새로운 이차전지의 원천기술 공동 연구에 나선다. 특히 삼성SDI는 신설될 ‘미래형 이차전지 연구센터’에 5년 간 총 2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삼성SDI는 이차전지 분야 세계 점유율... 더보기

2014.08.04By 이 종현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UNIST, 10분내 고속충전이 가능한 플렉서블 이차전지 개발

UNIST, 10분내 고속충전이 가능한 플렉서블 이차전지 개발

기존 플랙서블 전지와 비교하여 10분 이내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면서도 전지 두께도 1mm 이내로 얇게 만들 수 있는 플랙서블 이차전지 원천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하였다. 이번 성과로 인해, 향후 얇고 가벼우면서도 충전이 빠른 고성능 플렉서블 이차전지의 상용화 시기를 크게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 울산과학기... 더보기

2014.07.31By unistnews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실리콘 스펀지 마찰 효과를 이용한 고효율 나노발전기 개발

실리콘 스펀지 마찰 효과를 이용한 고효율 나노발전기 개발

실리콘 스펀지를 마찰시켜 기존보다 전기 생산 효율을 최대 20배까지 높이는 새로운 고효율 나노발전기가 개발됐다. 백정민(36) UNIST 교수(신소재공학부)와 김상우(41) 성균관대 교수(신소재공학부) 공동 연구팀은 실리콘 스펀지를 금속 전극과 마찰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 나노발전기를 개발해 재료과학... 더보기

2014.06.10By unistnews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엘리베이터 안에서도 휴대폰 사용과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고?

엘리베이터 안에서도 휴대폰 사용과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고?

선박 또는 엘리베이터 내에서 휴대폰 연결이 지연되거나 끊기는 일은 사라질 전망이다. 변영재(44) UNIST(총장 조무제) 교수(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팀이 현대중공업과 함께 두꺼운 금속을 통과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 개발로 두꺼운 금속으로 이루어진... 더보기

2014.06.05By unistnews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3차원 고분자 다공구조 구현해 새로운 이론 영역 개척

3차원 고분자 다공구조 구현해 새로운 이론 영역 개척

국내 연구진이 미세한 구멍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3차원 구조를 고분자로 구현해 신약 개발을 위한 단백질의 분리와 정제에 활용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UNIST(총장 조무제) 김경택(41) 교수(자연과학부)가 포항가속기연구소(소장 조무현) 신태주(43) 박사와 함께 연구한 결과를 ‘네이처’ 자매지인 ‘네... 더보기

2014.05.29By unistnews연구
Share 0
Tweet 0
Share 0
«‹104105106107108›»

Global News

  • New Smartphone App Offers Convenient Way to Diagnose Sleep Apnea
  • [Korea Bizwire] June, 4, 2024

  • New study finds clue to predict pancreatic cancer's progression and metastasis
  • [Korea Biomedical Rev.] June, 4, 2024

  • Study reveals promising technology for sepsis treatment using functional magnetic nanoclusters
  • [Phys.org] May,27, 2024

Popular

  • “항암제도 상처치료제도 쏙쏙 전달”.. 무독성 하이드로젤 개발

    “항암제도 상처치료제도 쏙..

    1월 24, 2025
  • [2025 학위수여식] “과학기술과 사회 잇는 리더로 거듭나길”… 학위수여식 개최

    [2025 학위수여식] “과학기술..

    2월 20, 2025
  • 조윤경 교수, ‘네이처’에 소개된 UNIST 여성 과학자

    조윤경 교수, ‘네이처’에 소..

    3월 12, 2025

Newsletter

이메일 뉴스레터 구독신청하기

<뉴스레터 구독신청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울산과학기술원은 뉴스레터 구독신청 등을 희망하는 기업 및 개인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1. 수집 개인정보 항목 : 이메일
2.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뉴스레터 발송
3. 개인정보의 이용기간: 구독해제시까지
4. 귀하는 뉴스레터 발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동의 거부 시 뉴스레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시겠습니까?
  • UNIST Daily
  • UNIST Newsletter
  • For Journalists

Hot Video

[UNIST Webinar] AI enabled Computational Imaging for Biomedical Applications
logo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저작권보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유니스트길 50
대표전화:052-217-0114 /입시상담:052-217-1120
  • 콘텐츠
    • 뉴스
    • 피플
    • 연구
    • 포토&비디오
    • 기고
    • 언론 속 UNIST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UNIST Newsletter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