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커피 포트 전원을 태양광으로 켠다. 빵 굽는 토스터는 원자력 전기를 사용한다. 물론 한국전력에서 보내 집으로 들어오는 전기 에너지원이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전기를 사용할 때 선호하는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풍력, 원자력, 태양광, 수력, 화력, 바이오에너지 발전 전기를 골라서 쓰는 것처럼 되고 다르게 책정된 전기료를 납부한다. 방마다 사용하는 전기 에너지원이 다를 수 있고, 요리하고 운동할 때 원하는 전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버스나 지하철 요금을 낼 때도 다른 에너지원에 해당되는 곳에 카드를 가져다 대어 다르게 책정된 요금을 지불한다. 에너지원에 따라 전기료가 다르지만 큰 차이는 없게 할 수도 있다. 너무 복잡한 것이 싫은 시민은 지금과 동일한 요금체계를 선택할 수도 있다. 국가 전체 에너지 공급체계는 지금과 동일하고 전력은 구별 없이 공급되지만, 개인의 선택사용 옵션, 요금과 관련된 전력운영 연계 체계만 별도로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다른 에너지원보다 요금이 높은데도 선택된 에너지원에 추가 납부돼 확보된 전기료는 국가전력체계와 한전의 적자를 해결하는 데 쓸 수 있다. 사용자 의지로 추가 납부된 전기료 중 일부는 해당 에너지 연구와 관련 사업에 투자될 수도 있다. 향후 수익이 발생하면 공익 목적의 예산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추가 납부한 개인에게 수익으로 되돌려 주는 것도 가능하다. 평생 전기 사용을 줄이고 아껴 쓴 개인은 연금처럼 수익금을 매달 지불받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왜 이런 체계를 상상하는가? 자동차는 전기차로 급격하게 대체되고 있고 디지털시대 데이터센터 소비전력은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전기를 소비하는 대중은 자신이 원하는 전기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전기를 사용할 때마다 원자력, 풍력, 태양광, 바이오, 수력, 화력발전 중 에너지 대안이라고 믿는 것을 선택해 자신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해당 전기료를 다르게 납부함으로써 선호하는 에너지원에 대한 지지를 표시할 수 있다. 매 시간 어떤 에너지원이 국민들에게 선택되는지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런 데이터 자체가 엄청난 가치가 돼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일별, 월별, 연별로 선택된 에너지원이 집계되므로, 별도로 에너지원 선호도 여론조사가 필요 없다. 에너지 정책 갈등도 지금과는 다르게 해결될 수 있다. 세계 어떤 나라도 채택한 적 없는 ‘에너지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후변화 위기시대 국제기구와 정부협의체에서 결정한 정책을 지키는 것 외에 기후위기 극복을 실천할 길이 개인에게는 특별히 없다. 기후위기 시대에는 정책을 잘 따르는 모범국민, 유엔 가이드라인을 잘 지키는 모범 세계시민보다 스스로 실천하는 대중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본 칼럼은 2022년 7월 1일 서울신문 25면 ‘[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안방은 태양광, 부엌은 원자력 전기 ’ 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