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기술 패권의 시대다. 인공지능, 반도체, 바이오, 양자, 우주 등 첨단기술이 곧 안보인 시대에 과학기술이 국가의 역량을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기술은 최근 몇 년간 국가적 아젠다로 자리 잡았다. 2016년 알파고 쇼크 이후의 인공지능, 2019년 무역 갈등으로 인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가 그랬다. 2020년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바이오가 급부상했고, 2022년엔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탄소중립이, 2023년에는 다시 반도체가 주목받았다. 우주, 양자 등 미래 기술을 향한 경쟁은 학계에 국한되지 않는다. 초격차 기술 확보를 향한 관심이 커지면서 연구중심대학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미래 기술과 인재 배출의 산실을 확보하는 것이 각국의 지상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연구중심대학이란 ‘연구를 통해 교육하는 대학’이다. 교수와 학생들이 연구에 함께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육이 이뤄지는 게 특징이다. 연구를 통해 교수와 학생이 성장하고 새로운 지식의 창출로 이어져 혁신의 원천이 된다. 연구중심대학 모델은 19세기 독일에서 확립됐다. 베를린대를 시작으로 신학, 법률 등 교양교육에 머물던 고전적 대학은 새로운 연구자를 육성하고 미래의 지식을 창안하는 공간으로 거듭났다. 이 모델은 미국, 일본 등으로 전파되며 현대에 이르렀다.
연구중심대학에서 시작된 혁신은 우리 삶을 바꿔왔다. 모더나를 창업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앞장선 MIT 로버트 랭어 교수가 대표 사례다. 앞서 3차 산업혁명의 시작점에는 인터넷의 효시가 된 알파넷 개발자인 UCLA 레너드 클라인록 교수가 있었다.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은 딥러닝 기술을 제창한 토론토대학 제프리 힌턴 교수의 영향이 컸다. 세계적 연구중심대학들은 혁신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다. 이들은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10년 너머의 미래를 준비한다. 누구보다 먼저 준비하기에, 코로나19와 같은 위기를 기회로 바꿔내는 힘을 갖고 있다. 기술 패권을 노리는 이들이 현대 과학기술의 성장을 견인하는 연구중심대학의 육성에 집중하는 이유다.
우리도 1970년 KAIST의 설립을 시작으로 연구중심대학 육성에 힘써온 역사가 있다. 산업화 시대를 이끌 인재를 공급하고, 국가의 미래를 준비해온 우리 대학의 역할이 없었다면 반도체, 통신 등 대한민국 선도 산업의 눈부신 오늘도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한발 더 나아가야 한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정부 R&D 투자 규모는 세계 5위 수준이다. GDP 대비 연구개발 예산 비율도 1위 이스라엘을 바짝 뒤쫓고 있다. 과거 연구중심대학의 태동기와 비교하면 규모 면에서 크게 성장했다. 국가의 미래를 준비하는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원을 집중해온 결과다. 최근엔 급증한 R&D 예산의 관리 효율을 높이려는 정책 당국의 노력도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과학기술 R&D 투자의 근원적 중요성이 훼손되어선 안 된다는 걱정도 유념해야 한다.
문제는 우리 대학들의 역량이다. 세계대학 순위에서 국내 대학들은 순위가 뒤처져 있어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단적으로 양대 평가인 THE, QS의 최근 결과에서 국내 대학은 100위 내에 각각 3개, 5개만 이름을 올렸다. 가장 높은 순위의 서울대는 QS 41위, THE 56위에 머물렀다. HCR 수, SCIE 논문 게재 및 피인용 수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 과학기술 연구 역량은 12∼17위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된다.
세계 2∼5위 수준의 정부 연구개발 투자에 비춰보면 아쉬운 결과다. 왜 우리의 대학들은 세계를 선도하는 대학의 목록에 들지 못하는가. 결국 이는 산업화 시대에 형성된 대학의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전략이 종언을 고하고 있다는 뜻이다. 한국의 연구중심대학은 선진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고 이를 산업계에 체화하는 데 있어 뛰어난 모습을 보여줬지만, 이제 그 이상으로 넘어가야 하는 때가 된 것이다.
대한민국이 기술 패권 시대를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학이 먼저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 우리 연구중심대학은 어떻게 퍼스트 무버로 도약해야 할까. 세계 최고의 연구중심대학들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지금의 역량을 갖출 수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은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그 위에서 우리의 현실에 맞는 전략을 세우고,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
<본 칼럼은 2023년 9월 21일 동아일보 “[전문가기고]왜 연구중심대학인가?”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